메인화면으로
"국민의힘, 尹 출당해야" 5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국민의힘, 尹 출당해야" 50%

'정권 교체' 48%, '정권 재창출' 37%…이재명 32%, 김문수 12%

국민의힘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관계에 대한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고 정치적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이 50%라는 결과가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7~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0일 발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국민의힘과 윤 전 대통령의 향후 관계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다.

'중립적 입장에서 법적 절차를 지켜보는 것이 좋다'는 의견이 27%였으며 '계속 지지하고 정치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16%에 그쳤다.

이념 성향을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사이에서도 '계속 지지하고 정치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좋다' 34%, '출당시키고 정치적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좋다' 32%로 엇비슷했다.

윤 전 대통령을 파면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인용 결정에 대해선 '잘된 판결'이라는 응답이 64%로, '잘못된 판결'이라는 응답(28%)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진보층, 중도층에서는 '잘된 판결'(각각 95%, 78%)는 응답이 높았고, 보수층에서는 '잘못된 판결'(58%)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헌재의 탄핵 심판 과정에 대한 신뢰도는 '신뢰한다'는 긍정 인식이 69%로 나타났다. '신뢰하지 않는다'는 부정 인식은 28%에 그쳤다. 지난 주 조사에 비해 헌재 신뢰도가 23%포인트(P) 상승한 결과다.

헌재의 탄핵 심판 결과를 '수용한다'는 응답은 74%로, '수용하지 않는다'는 응답(2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보수층에선 '수용한다' 48%, '수용하지 않는다' 50%로 양분됐다.

헌재 판결을 계기로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변화에 대한 기대를 물은 질문에 '이전보다 민주주의가 발전할 것' 45%, '이전과 큰 차이는 없을 것' 29%, '이전보다 민주주의가 퇴보할 것' 21%로 집계됐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국정운영에 대해선 '잘할 것' 56%, '잘못할 것' 37%로 나타났다. '잘못할 것'이라는 응답은 진보층에서 59%, 보수층에서 80%로 크게 엇갈렸다. 중도층에선 '잘할 것' 52%, '잘 못할 것' 42%로 나타났다.

▲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3차 변론에 출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6월 3일 치러지는 차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감으로 가장 적합한 인물로는 이재명 32%, 김문수 12%, 홍준표 7%, 오세훈5%, 한동훈 5%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이재명 전 대표가 73%로 가장 높았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김문수 29%, 홍준표 16%, 오세훈 11%, 한동훈 11% 순으로 나타났다.

대선후보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호감이 간다'는 응답은 이재명 35%, 김문수 23%, 홍준표 21%, 오세훈 21%, 한동훈 19% 순이었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은 한동훈 75%, 홍준표 74%, 오세훈 73%, 김문수 68%, 이재명 62%로 나타났다.

대선 구도에 관해선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 48%, '정권재창출을 위해 여권 후보가 당선되어야 한다' 37%로 나타났다. 정권 교체론은 지난주보다 3%P 하락했고, 정권 재창출론은 4%P 상승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4%, 국민의힘 33%로 집계됐다. 국민의힘은 지난주와 동일했으며 민주당은 3%P 하락했다. 이어 조국혁신당 6%, 개혁신당 2%, 진보당 1% 순이었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진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24.9%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임경구

2001년에 입사한 첫 직장 프레시안에 뼈를 묻는 중입니다. 국회와 청와대를 전전하며 정치팀을 주로 담당했습니다. 잠시 편집국장도 했습니다. 2015년 협동조합팀에서 일했고 현재 국제한반도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