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의대생 97% 복귀했다는데, 강의 듣는 학생은 3%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의대생 97% 복귀했다는데, 강의 듣는 학생은 3%대

'수업 거부'로 집단행동 2탄…의대협 "투쟁 본격화할 것"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해 교육 현장을 떠났던 집단 휴학 의대생 97%가 복귀하면서 대량 제적 사태는 면했지만, 실제 강의를 듣는 학생은 극히 일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거부'를 통한 의대생들의 집단 행동 2탄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2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전국 40개 의대 중 15개 학교의 수강률을 자체 조사한 결과, 수업 참여율이 3.87%에 그쳤다고 밝혔다. 총 6571명 중 실제 수업에 들어간 학생은 254명에 불과한 것이다.

수강률이 가장 낮은 곳은 가천대(0.41%), 한림대(0.64%), 고려대(1.57%), 순천향대(2.01%) 순이었다. 연세대, 가톨릭대, 한양대 등의 수강률도 5% 안팎에 그쳤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전원 복귀라는 보도가 많았지만 실제 교실은 텅 비어 있다"며 "이제부터 투쟁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대협은 이미 각 학교 학생회장들과 논의해 단체 행동을 이어가기로 방침을 정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일부 대학에서는 복귀 후 곧바로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재휴학 상담을 진행하는 학생들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 전원 복귀 시 2026학년도 증원 무효'를 선언했던 교육부는 "단순 등록이 아닌, 정상적인 수업 참여까지가 복귀"라는 입장이다. 이달 중순까지 수업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뒤 증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얘기다.

일부 대학은 학칙에 따라 출석일수 부족이 누적되면 유급 또는 제적 처분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 대부분 의과대학으로 의대생들이 복귀한 가운데 1일 서울 시내 한 의대. 전국 의대들은 전날부터 복귀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시작했다. 다만 대부분은 대면 수업 대신 온라인 수업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서어리

매일 어리버리, 좌충우돌 성장기를 쓰는 씩씩한 기자입니다. 간첩 조작 사건의 유우성, 일본군 ‘위안부’ 여성, 외주 업체 PD, 소방 공무원, 세월호 유가족 등 다양한 취재원들과의 만남 속에서 저는 오늘도 좋은 기자, 좋은 어른이 되는 법을 배웁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