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의대를 둔 각 대학이 정한 복귀 시한이 도래하며 의대생들의 복학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의대생들이 이달 말까지 복귀 시 의대증원 정책을 사실상 철회하겠다고 밝힌 정부는 의대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를 확인한 뒤 정책 철회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각 대학에 따르면, 31일로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 등 의대가 1학기 등록 신청을 마친다. 4월로 복귀 시한을 미룬 강원대·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로 복학 신청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이다.
현재 가톨릭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 등 빅5 의대생은 거의 전원 복학 신청을 했다. 고려대·조선대·중앙대와 거점국립대인 부산대·전남대·충남대 의대생도 마찬가지다. 다른 대학의 복귀 규모는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비슷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전체적인 큰 흐름이 등록쪽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상당수 의대생이 등록 자체는 하고 있다는 게 맞다"고 밝혔다. 다만 "어떤 대학은 전혀 등록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안다"고도 했다.
의대생 복귀가 대세로 자리잡는 모양새지만,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가 '등록 후 휴학'을 투쟁 방침으로 정하는 등 '복학한 뒤 수업을 거부하자'는 흐름도 있다.
의대를 둔 대부분 대학이 3학기 연속 휴학 금지 학칙을 두고 있어 지난해 2월경부터 휴학을 이어온 의대생이 이번에도 휴학할 경우 제적될 수 있으니, 일단 이를 피해보자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F학점 처리, 유급 등이 불가피하다.
교육부는 실제 의대생들이 '등록 후 휴학' 형태의 집단행동을 하면, 내년도 의대 증원 모집 정원을 증원된 인원인 5058명으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구 대변인은 이와 관련 "교육부의 공식 입장은 복귀율이나 의대 모집 인원과 관련해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라며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 볼 수 없다.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연속 2회 유급이나 합산 3~4회 유급이면 제적이 되는 학교도 있다"며 "등록했어도 결국 제적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환자단체인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이날 논평에서 "중증질환자들은 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의 용기 있는 결정에 응원과 지지를 보낸다"면서도 "무늬만 복귀는 안 된다"고 의대생들에게 완전한 복귀를 당부했다.
한편, 의대생들의 복귀 행보가 수련병원을 떠난 사직 전공의들에게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된다.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 등 빅5 병원 전공의는 393명으로 지난해 10월 230명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