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이하 시대위)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전북 최대 규모의 거점도시 출범 가능성이 커졌지만 두 지역 의견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시대위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 완주군과 전주시가 통합하면 75만 인구를 가진 대도시가 탄생해 지역의 성장 거점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통합을 통해 △인구 유출 완화 △생활·행정구역 일치 △산업 시너지 효과 △지역 발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구체적으로 전주시와 완주군 모두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가 예상되고 산업단지 노후화 등으로 완주군의 경제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점을 들어 두 지역이 하나로 합쳐지면 자족 기능이 강화되고 지방소멸 위기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시대위의 분석이다.
특히 시대위는 중앙부처에 통합도시의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산업·지역개발 분야의 과감한 인센티브 부여와 특례시 지정, 행정구 구획 변경 등 폭넓은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전북자치도와 전주시는 시대위 결정을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전북자치도는 "도에서도 정부에 특례시 지정을 지속적으로 건의해왔고 이번 시대위 결정으로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전주시는 "통합 추진 과정에서 주민 공감대 형성을 최우선으로 삼겠다"며 "완주와 전주가 하나 되는 과정이 갈등이 아닌 화합의 길이 될 수 있도록 더 가까이 다가서며 더 많은 의견을 듣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완주군과 완주군의회는 강하게 반발했다.
완주군의회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시대위의 의견은 존중하지만 시대위도 통합이 주민 공감대를 전제로 한다고 밝혔듯 주민공감대 없이 진행되는 통합 논의는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은 “이번 통합 논의가 주민 주도로 이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관 주도로 진행되고 있다”며 “전북도와 전주시가 완주군민 간 갈등을 조장하면서 뒷짐지고 구경하고 있는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유희태 완주군수 역시 “일방적인 통합 추진은 절대 안 된다”며 “주민투표가 시행되면 군민들 사이에 격한 갈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만큼 행정안전부가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결과에 따라 통합 여부를 가려야 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시대위의 의견을 바탕으로 지방의회 의견 청취 또는 주민투표 절차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확인할 예정이다.
한편 완주·전주 상생발전 전주시민 협의위원회는 이와 관련해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완주군민협의회가 제안한 12개 분야 107개 상생발전 방안별 심의를 마쳤으며 △완주지역에 통합 시청사 및 시의회청사 건립 △행정복합타운 조성 △주민 동의 없는 혐오시설 이전 금지 △도로 확장 △농업발전기금 1000억 원 조성 △대규모 국가산단 조성 등 이외에도 균형 발전을 위한 주요 안건을 가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