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시행을 앞두고 부산시가 비상수출 대책을 가동한다.
시는 지난 1월 마련한 ‘부산시 비상수출 대책 1.0’에서 한층 더 강화된 ‘부산시 비상수출 대책 2.0’을 1일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부산지역 수출기업들이 급변하는 관세정책 등 통상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경쟁력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시는 이번 대책을 통해 관세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 확대, 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대응체계 구축 등 5개 분야 10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핵심은 ‘관세 피해 긴급 대응’이다. 시는 관세 조치로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에 1개사 당 최대 8억 원(향토기업 9억 원)의 긴급운전자금을 1000억 원 한도로 지원한다.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서도 지방세납부 기한 연장, 징수·체납처분 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 세제지원을 추진한다.

무역금융 분야에서는 연간 수출실적 3000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에 대해 수출보험료 지원 대상을 5000개사로 늘린다. 수출 신용 보증료 지원 한도도 확대한다.
물류비 지원도 확대한다. 300개사를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300만 원을 지원하고 미주 지역의 공동물류센터를 5곳으로 늘린다.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에도 적극 나선다. ‘글로벌 사우스’ 지역 등 해외 진출 유망 국가를 중심으로 해외 전시회 참가, 무역사절단 파견을 확대하고 인증·지재권 확보에 소요되는 비용을 글로벌 전 지역에서 지원한다.
시는 부산경제진흥원,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산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관세 대응 119’ 상담창구를 운영해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자동차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긴급 운전자금지원과 해외 물류비 지원 등으로 시급한 애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핵심부품 연구개발 지원과 수출주도 미래차 혁신성장 기반 구축 등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현재의 통상위기 속에서 부산 기업은 부산이 직접 지켜낼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을 적시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