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국토교통부 주관 ‘2025년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에서 전국 지자체들과 치열한 경쟁을 거쳐 K-드론배송 상용화 및 첨단 드론 행정서비스 두 분야 모두에서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이번 선정으로 대전시는 국비 7억 원을 확보했으며 드론을 활용한 의료물자 신속 배송과 3D 기반 스마트 교통관제 실증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의 응급의료물자 배송체계는 교통체증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대전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인항공기반 민·관·군 합동 의료체계 구축을 통해 응급 혈액·의료물자 등을 신속하게 배송할 수 있는 실시간 의료물자 배송체계를 실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국군대전병원과 ㈜태경전자 등과 협력해 약 10개월간 대전 도심에서 의료용 드론 배송을 실증한다.
특히 이번 사업은 군, 의료기관, 민간기업이 협력하는 전국 최초의 의료드론 프로젝트로 향후 재난·재해 대응 및 원격의료 확대 등 국가 의료체계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2D 기반 교통관제시스템은 실시간 교통변화에 대한 정밀한 대응이 어려운 한계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한 교통관제 혁신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시스테크와 협력해 카이스트에서 반석역까지 주요 도로 구간을 정밀 3D 모델로 구축한다.
광대역 3D모델 기반의 시스템은 교통 흐름을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최적화할 수 있어 미래형 자율주행도로 환경 구축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이 사업을 기존에 추진 중인 ‘자율주행 상용화지구 조성사업’과 연계해 스마트 교통관제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손철웅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은 “이번 사업은 전국 최초로 도심 내 의료체계와 자율주행 기반 교통행정에 드론을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전국 최초의 사례로 시가 드론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하는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도 정부의 드론 정책에 적극 참여하고 드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