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탄핵심판에서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주장한 지 1분여 만에 '인원'이라는 표현을 세 번 반복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일 서울 종로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에서 "저는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써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같은 날 탄핵심판에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지난해 12월 4일 00시 30분경 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아직 의결정족수가 채워지지 않은 것 같다. 국회 문을 빨리 부수고 들어가라.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들었다고 증언한 데 대한 반박이었다.
윤 대통령은 이후로도 '국회의원 강제 구인' 지시 사실을 부인하는 취지의 발언을 이어갔는데, 1분여 뒤 계엄 당일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당시에 국회 본관을 거점으로 확보해서 (군이) 불필요한 '인원'을 통제한다는 목적으로 들어갔는데 소화기 분사를 받고 북측으로 밀려난다"며 '인원'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다시 30여 초 뒤 윤 대통령은 "어쨌든 그 상황에서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과 소통을 해서 그 안(국회 본관)에는 약 15명, 20명이 안 되는 '인원'이 들어갔고 밖에도 혼잡할 뿐 아니라 (국회 본관) 건물 안에도 굉장히 많은 '인원'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며 '인원' 단어를 두 번 더 추가적으로 언급했다.
과거에도 윤 대통령은 사람을 지칭할 때 '인원'이란 표현을 쓴 적이 종종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3일 4차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은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직접 신문하며 "특전사 요원들이 장관님 보시기에 본관 건물 바깥에 주로 마당에 있었나. 아니면 본관 건물 안으로 그 많은 '인원'이 다 들어갔나"라고 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2023년 5월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을 계기로 한 오찬 간담회에서도 윤 대통령은 "'인원'이 적어야 김치찌개도 끓이고 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