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되게’와 ‘들입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되게’와 ‘들입다’

필자는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냈다. 경기도 여주가 고향인데, 거의 표준어와 비슷하지만 그곳 특유의 사투리가 있다. 충청도처럼 말 끝에 ‘~~유’를 붙이는 것도 그렇다. “됐어요.”보다는 “됐어유.”라고 한다. 지금도 친구들을 만나면 그 시절의 발음과 억양이 나온다. 그때는 ‘되게’라는 표현을 참으로 많이 했다. “이거 되게 맛있어.”, “이번에 부임한 여 선생님 되게 이쁘다!” 등등 늘 ‘되게’라는 말을 달고 다녔는데, 서울에 오니 별로 쓰지 않아서 이상했다. ‘되게’는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 표준어다. ‘아주 몹시’라는 뜻으로 ‘몹시’보다 강조의 의미가 강하다.

‘몹시’는 ‘더할 수 없이 심하게’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문으로는 “그 나라의 의술을 몹시 낙후하여 이질에도 사람이 죽곤 하였다.”, “아내는 코로나로 인하여 몹시 피곤한 모습으로 집에 돌아왔다”와 같이 쓴다. 유의어로는 ‘아주’, ‘상당히’, ‘무척’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몹시’보다 더 강조할 때 ‘되게’라는 부사를 사용해 왔다. 요즘 모 광고에서 “이거 되게 맛있네!”라고 하는 말이 나오는데, 어린 시절 생각이 나서 참으로 반가웠다. ‘되게’는 표준어임에도 자주 사용하는 단어는 아니다. ‘된통’, ‘되우’ 등과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아주 몹시’라는 의미로 쓰이기보다는 ‘걸죽하게(물기가 적어서 빡빡하게)’의 의미로 쓸 때가 많다. 예문을 보자.

그 사람 되게 좋아.

새끼줄로 되게 묶어라.

반죽을 너무 되게 했어.

등을 보면 각각 의미가 조금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반죽을 너무 되게 했어’처럼 ‘물기가 적어서 빡빡하게’라는 의미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모양은 동사처럼 보이는데, 부사인 것이 있다. ‘들입다’라는 말이다. 아침에 아내가 “들입다 먹어대더니 결국 탈이 났네.”라고 해서 이 단어가 생각났다. 우리말에서 용언(동사와 형용사)은 ‘ ~~다’로 끝난다. ‘예쁘다’, ‘먹다’, ‘가다’, ‘사랑하다’ 등과 같이 ‘다’로 끝난다. 그런데, ‘들입다’는 ‘다’로 끝나지만 ‘부사’이다. 외국인들이 헷갈리기 쉬운 것이다. ‘들입다’의 의미는 “무지막지라 정도로 아주 세차게”이다. “세차게 마구”라고 쓰이기도 한다. 예문을 보자.

우리 어머니는 싫다는 걸 내가 들입다 졸라서 써니한테 청혼했다가 거절당한 거야.

미처 이야기가 끝나기도 전에 그는 들입다 화부터 냈다.

이번 일은 들입다 고생만 했지 보람이 없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지막지하게’, ‘지나칠 정도로 세차게’의 의미를 담고 있다. 사람들은 이것을 ‘드립다’라고 쓰는 경우가 많다. 규정 표기는 ‘들입다’이다. 이 말은 조금 무모한 행위를 할 때 자주 사용한다. ‘들입다 뛰다’라고 하면 ‘들입다 뛰더니 결국 덫에 걸렸다’, ‘들입다 먹어대더니, 결국 탈이 나고 말았다’처럼 뭔가 지나친 경우에 사용한다.

날이 덥다고 들입다 냉수만 마시면 탈이 나게 마련이다.

이제 열흘 정도만 지나면 이놈의 더위도 조금 물러나지 않을까 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