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늙어가는 한국? 70대 이상 인구, 20대 인구 사상 첫 추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늙어가는 한국? 70대 이상 인구, 20대 인구 사상 첫 추월

17개 시도 중 8곳 이미 초고령사회·서울 등 8곳은 고령사회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20대 인구를 추월했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402명으로 20대 인구 619만7486명보다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래 사상 처음이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평균 수명 증가가 맞물리면서 '늙어가는 한국'의 실상이 나타났다.

70대 이상 노인 > 20대

전 연령대에서 가장 인구 수가 많은 연령대는 50대(869만5699명)였다. 50대 인구는 전체 연령대에서 16.94%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40대(792만 명, 15.44%), 60대(763만 명, 14.87%), 30대(658만 명, 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10대 미만(6.49%) 순이었다.

지금의 저출산 기조를 고려하면 앞으로 10대 이하 연령대가 성인이 되어갈 때 고령자 비중은 지금보다 더 커질 것이 확실시 된다. 2014년만 해도 10대 인구는 60대, 70대 이상보다 많았으나 이제는 10대 미만 다음으로 비중이 작아졌다.

인구를 크게 중년인 40대를 중심으로 나눠 보면, 40대 이하(2867만9520명)는 전년(2934만1647명)에 비해 66만2127명(-2.26%) 줄어들었다. 반면 50대 이상은 2264만5809명으로 집계돼, 전년(2209만7391명)보다 54만8418명(2.48%) 증가했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402명으로 20대 인구 619만7486명보다 많았다. ⓒ행정안전부

17개 시도 중 8곳 이미 초고령사회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되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73만411명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44만3121명(5.00%)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18.96%를 차지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 이상일 때 고령 사회로, 20% 이상일 때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17년 14%를 넘어 고령 사회가 됐다(14.21%).

지역별로 보면 이미 17개 시도 중 전남(26.10%), 경북(24.68%), 전북(24.11%), 강원(23.99%), 부산(22.63%), 충남(21.34%), 충북(20.85%), 경남(20.60%) 등 8곳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대구(19.64%), 서울(18.47%), 제주(17.94%), 대전(16.97%), 인천(16.58%), 광주(16.48%), 울산(15.92%), 경기(15.57%) 등 8곳은 고령사회였다. 세종(11.01%) 단 1곳이 유일하게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였다.

226개 시군구별로 고령 현황을 보면, 75개 시 지역 중 8곳(10.67%)이 고령화사회, 32곳(42.67%)이 고령사회, 35곳(46.67%)이 초고령사회였다.

군 지역 82개 가운데 고령사회는 5곳(6.10%)이었다. 나머지 77곳(93.90%)이 이미 초고령사회였다. 지방소멸 위기감이 지역 사회를 뒤흔드는 배경이다.

구 지역 69개 가운데는 5곳(7.25%)이 고령화사회였다. 36곳(52.17%)은 고령사회, 28곳(40.58%)은 초고령사회였다.

▲지난해 시군구별 고령인구 현황 붉은색은 고령 사회를, 보라색은 초고령 사회를 나타낸다. 전국 대부분이 초고령 사회다. ⓒ행정안전부

생산가능인구 비중 급속 감소

반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세는 지속됐다. 지난해 생산가능인구는 3593만1057명으로 전년 대비 35만97명(-0.96%) 감소했다. 25~49세가 해당하는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1790만728명으로 전년 대비 26만3240명(-1.45%) 줄어 들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 가운데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0.01%였다. 2014년만 해도 해당 비중은 73.16%였다.

핵심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34.88%였다. 2014년에는 이 비중이 38.76%에 달했다.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내년도 초등학교 입학예정인 6세 인구(2017년 1월 1일~12월 31일 출생)는 36만4740명으로 전년(41만3162명) 보다 4만8442명 줄어들었다. 감소율이 두 자릿수(-11.72%)에 이르렀다.

초등학교 입학예정 인구는 지난 2021년 반짝 증가(3845명)한 후 내리 2년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4년부터 보면 지난 10년 간 증가세가 관측된 해는 2016년과 2017년, 2018년, 2021년 등 4개년에 불과하다.

올해 4월 10일로 예정된 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투표권이 있는 18세 이상 인구는 4438만549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18세와 19세 인구는 각각 56만7451명(1.28%), 47만2121명(1.06%)으로 10대 인구가 전체 선거인 중 2.34%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 보면 , 50대가 869만5699명(19.5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792만 명, 17.85%), 60대(763만 명, 17.19%), 30대(658만 명, 14.82%), 20대(620만 명, 13.96%), 70대 이상(632만 명, 14.24%), 10대(2.34%) 순이었다.

이를 21대 총선 당시 연령대별 선거인수 비중과 비교하면 60대는 21대 14.65%에서 22대 17.19%로 2.54%포인트 커졌다. 70대 이상은 12.67%에서 14.24%로 1.5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10~50대 비중은 모두 감소했다.

▲새해 첫 날인 1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 무료급식소에 노인들이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길게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한국 총인구 5132만…성별 격차 19만 명 이상으로 벌어져

지난해 한국의 총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5329명이었다. 전년 대비 11만3709명(-0.22%) 감소했다. 이에 따라 한국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사상 처음으로 줄어든 후 4년 연속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2556만5736명으로 전년 대비 7만1215명(-0.28%) 감소했다. 5년 연속 감소세다. 여성은 2575만9593명으로 전년 대비 4만2494명(-0.16%) 줄어들었다. 3년째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여남 인구 격차(여자-남자)는 19만3857명으로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를 추월한 이래 처음으로 19만 명 이상으로 벌어졌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2556만5736명으로 전년 대비 7만1215명(-0.28%) 감소했다. 5년 연속 감소세다. 여성은 2575만9593명으로 전년 대비 4만2494명(-0.16%) 줄어들었다. 3년째 감소했다. ⓒ행정안전부

지난해 출생자는 23만5039명이었고 사망자는 35만3920명이었다. 전년 대비 각각 1만9589명(-7.69%), 1만8711명(-5.02%) 감소했다.

이에 따라 출생자와 사망자의 차이인 주민등록 인구의 자연 감소분은 11만8881명으로 전년11만8003명)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선 후 2년째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26개 시군구 중 전년 대비 출생자가 증가한 곳은 45곳이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화성시(+228명, +3.48%), 경기 양주시(+176명, +14.14%), 충북 청주시(+124명, +2.62%) 등 10곳에서 출생자가 증가했다.

군 지역은 전남 강진군(+61명, +65.59%), 충북 증평군(+57명, +34.76%), 전북 완주군(+55명, +15.45%), 등 25곳에서, 구 지역은 서울 강남구(+280명, +13.53%), 부산 부산진구(+129명, +8.55%),

인천 서구(+122명, +3.44%) 등 10곳에서 출생자가 증가했다.

반면 전년 대비 출생자가 감소한 곳은 경기 용인시(-708명, -12.16%), 경기 수원시(-639명, -9.58%), 경기 성남시(-590명, -11.51%) 등 178곳이었다.

강원 횡성군(134명), 강원 정선군(93명), 경북 고령군(88명) 등 3곳은 출생자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출생자 성비는 105.06이었다. 여아(11만4620명))에 비해 남아(12만419명)의 출생등록이 5799명 더 많았다.

세대수는 증가 지속1인 가구가 대세

인구 감소세에 반해 세대수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1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세대수는 2391만4851세대로 전년 대비 0.8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평균 세대원수는 2.1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인 세대가 993만5600세대로 전체에서 41.55%를 차지, 전 세대 중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다음으로 2인 세대(586만6073세대, 24.53%), 4인이상 세대(408만3363세대, 17.07%), 3인 세대(402만9815세대, 16.85%) 순이었다. 한국의 표준 가족은 4인 가족이 아닌 1인 가구인 셈이다.

1인 세대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95만 세대(19.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0대(183만 세대, 18.44%), 30대(168만 세대, 16.87%), 50대(163만 세대, 16.45%), 20대(151만 세대, 15.25%), 40대(128만 세대, 12.93%), 10대 이하(4만 세대, 0.41%) 순이었다.

20~50대에서 남자 1인 세대가 여자보다 많았다. 20대의 경우 남자 1인 세대는 77.4만 세대였고 여자는 74.1만 세대였다. 30대는 105.9만 세대-61.8만 세대로 남녀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40대 남자 1인 세대는 82.9만 세대였고 여자는 45.6만 세대에 그쳤다. 50대는 98.6만 세대-64..9만 세대였다.

반면 10대 이하와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1인 세대가 많았다.

수도권 과밀화 여전

수도권 밀집화는 갈수록 더 심화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1만4265명으로 한국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50.69%). 비수도권 인구는 2531만1064명(49.31%)이었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보다 70만3201명 많았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 처음으로 비수도권을 추월했다.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1만4265명으로 한국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50.69%). 비수도권 인구는 2531만1064명(49.31%)이었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보다 70만3201명 많았다. ⓒ행정안전부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도(+4만1389명, +0.30%), 인천시(+3만96명, +1.01%), 대구시(+1만1269명, +0.48%), 충남도(+7082명, +0.33%), 세종시(+2934명, +0.76%) 등 총 5곳이다. 다만 이 가운데 대구의 경우 경북 군위군이 편입된 영향이 반영됐다.

경북도(-4만6168명, -1.78%), 서울시(-4만2338명, -0.45%), 경남도(-2만9335명, -0.89%), 부산시(-2만4450명, -0.74%), 전북도(-1만4850명, -0.84%) 등 12곳은 인구가 감소했다.

226개 시군구별로 보면 지난해(2022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곳은 총 53곳이다.

시 지역은 경기 화성시(+3만3528명, +3.68%), 경기 양주시(+2만4594명, +10.10%), 경기 평택시(+1만2493명, +2.16%) 등 21곳이다. 군 지역은 전북 완주군(+5405명, +5.85%), 경기 양평군(+2915명, +2.38%), 충남 예산군(+969명, +1.25%) 등 12곳이, 구 지역은 인천 서구(+3만5345명, +6.00%), 서울 강남구(+1만5771명, +2.98%), 대전 유성구(1만752명, +3.02%) 등 20곳이 인구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인천 남동구(-1만3766명, -2.72%), 경남 창원시(-1만2449명, -1.22%), 경기 안산시(-1만2352명, -1.93%), 대구 북구(-1만1288명, -2.62%), 경기 부천시(-1만160명, -1.29%) 등 17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주민등록 인구 이동률(당해 연도 주민등록 연앙인구 중 이동자 수의 비중, 연앙인구는 전년말 주민등록 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은 11.95%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권역별 이동현황을 보면 수도권에서 수도권(71만9973명),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4만2978명),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5812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6만9088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4만4743명), 인천시(+3만3535명), 충남도(+1만5875명), 충북도(+3904명), 세종시(+1692명) 등 5곳은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이루어졌다.

반면 서울시(-3만1554명), 경남도(-1만6314명), 부산시(-1만1443명) 등 12곳은 순유출이 나타났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