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20대 인구를 추월했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402명으로 20대 인구 619만7486명보다 많았다.
이 같은 결과는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 이래 사상 처음이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평균 수명 증가가 맞물리면서 '늙어가는 한국'의 실상이 나타났다.
70대 이상 노인 > 20대
전 연령대에서 가장 인구 수가 많은 연령대는 50대(869만5699명)였다. 50대 인구는 전체 연령대에서 16.94%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40대(792만 명, 15.44%), 60대(763만 명, 14.87%), 30대(658만 명, 12.81%), 70대 이상(12.31%), 20대(12.07%), 10대(9.06%), 10대 미만(6.49%) 순이었다.
지금의 저출산 기조를 고려하면 앞으로 10대 이하 연령대가 성인이 되어갈 때 고령자 비중은 지금보다 더 커질 것이 확실시 된다. 2014년만 해도 10대 인구는 60대, 70대 이상보다 많았으나 이제는 10대 미만 다음으로 비중이 작아졌다.
인구를 크게 중년인 40대를 중심으로 나눠 보면, 40대 이하(2867만9520명)는 전년(2934만1647명)에 비해 66만2127명(-2.26%) 줄어들었다. 반면 50대 이상은 2264만5809명으로 집계돼, 전년(2209만7391명)보다 54만8418명(2.48%) 증가했다.
17개 시도 중 8곳 이미 초고령사회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되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73만411명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44만3121명(5.00%)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18.96%를 차지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 이상일 때 고령 사회로, 20% 이상일 때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한국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17년 14%를 넘어 고령 사회가 됐다(14.21%).
지역별로 보면 이미 17개 시도 중 전남(26.10%), 경북(24.68%), 전북(24.11%), 강원(23.99%), 부산(22.63%), 충남(21.34%), 충북(20.85%), 경남(20.60%) 등 8곳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대구(19.64%), 서울(18.47%), 제주(17.94%), 대전(16.97%), 인천(16.58%), 광주(16.48%), 울산(15.92%), 경기(15.57%) 등 8곳은 고령사회였다. 세종(11.01%) 단 1곳이 유일하게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 이상)였다.
226개 시군구별로 고령 현황을 보면, 75개 시 지역 중 8곳(10.67%)이 고령화사회, 32곳(42.67%)이 고령사회, 35곳(46.67%)이 초고령사회였다.
군 지역 82개 가운데 고령사회는 5곳(6.10%)이었다. 나머지 77곳(93.90%)이 이미 초고령사회였다. 지방소멸 위기감이 지역 사회를 뒤흔드는 배경이다.
구 지역 69개 가운데는 5곳(7.25%)이 고령화사회였다. 36곳(52.17%)은 고령사회, 28곳(40.58%)은 초고령사회였다.
생산가능인구 비중 급속 감소
반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세는 지속됐다. 지난해 생산가능인구는 3593만1057명으로 전년 대비 35만97명(-0.96%) 감소했다. 25~49세가 해당하는 핵심 생산가능인구는 1790만728명으로 전년 대비 26만3240명(-1.45%) 줄어 들었다.
전체 주민등록 인구 가운데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70.01%였다. 2014년만 해도 해당 비중은 73.16%였다.
핵심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34.88%였다. 2014년에는 이 비중이 38.76%에 달했다.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내년도 초등학교 입학예정인 6세 인구(2017년 1월 1일~12월 31일 출생)는 36만4740명으로 전년(41만3162명) 보다 4만8442명 줄어들었다. 감소율이 두 자릿수(-11.72%)에 이르렀다.
초등학교 입학예정 인구는 지난 2021년 반짝 증가(3845명)한 후 내리 2년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2014년부터 보면 지난 10년 간 증가세가 관측된 해는 2016년과 2017년, 2018년, 2021년 등 4개년에 불과하다.
올해 4월 10일로 예정된 22대 국회의원 선거 때 투표권이 있는 18세 이상 인구는 4438만549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18세와 19세 인구는 각각 56만7451명(1.28%), 47만2121명(1.06%)으로 10대 인구가 전체 선거인 중 2.34%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 보면 , 50대가 869만5699명(19.5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792만 명, 17.85%), 60대(763만 명, 17.19%), 30대(658만 명, 14.82%), 20대(620만 명, 13.96%), 70대 이상(632만 명, 14.24%), 10대(2.34%) 순이었다.
이를 21대 총선 당시 연령대별 선거인수 비중과 비교하면 60대는 21대 14.65%에서 22대 17.19%로 2.54%포인트 커졌다. 70대 이상은 12.67%에서 14.24%로 1.5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10~50대 비중은 모두 감소했다.
한국 총인구 5132만…성별 격차 19만 명 이상으로 벌어져
지난해 한국의 총 주민등록 인구는 5132만5329명이었다. 전년 대비 11만3709명(-0.22%) 감소했다. 이에 따라 한국 주민등록 인구는 2020년 사상 처음으로 줄어든 후 4년 연속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2556만5736명으로 전년 대비 7만1215명(-0.28%) 감소했다. 5년 연속 감소세다. 여성은 2575만9593명으로 전년 대비 4만2494명(-0.16%) 줄어들었다. 3년째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여남 인구 격차(여자-남자)는 19만3857명으로 2015년 여자 인구가 남자를 추월한 이래 처음으로 19만 명 이상으로 벌어졌다.
지난해 출생자는 23만5039명이었고 사망자는 35만3920명이었다. 전년 대비 각각 1만9589명(-7.69%), 1만8711명(-5.02%) 감소했다.
이에 따라 출생자와 사망자의 차이인 주민등록 인구의 자연 감소분은 11만8881명으로 전년11만8003명) 처음으로 10만 명을 넘어선 후 2년째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26개 시군구 중 전년 대비 출생자가 증가한 곳은 45곳이었다. 시 지역에서는 경기 화성시(+228명, +3.48%), 경기 양주시(+176명, +14.14%), 충북 청주시(+124명, +2.62%) 등 10곳에서 출생자가 증가했다.
군 지역은 전남 강진군(+61명, +65.59%), 충북 증평군(+57명, +34.76%), 전북 완주군(+55명, +15.45%), 등 25곳에서, 구 지역은 서울 강남구(+280명, +13.53%), 부산 부산진구(+129명, +8.55%),
인천 서구(+122명, +3.44%) 등 10곳에서 출생자가 증가했다.
반면 전년 대비 출생자가 감소한 곳은 경기 용인시(-708명, -12.16%), 경기 수원시(-639명, -9.58%), 경기 성남시(-590명, -11.51%) 등 178곳이었다.
강원 횡성군(134명), 강원 정선군(93명), 경북 고령군(88명) 등 3곳은 출생자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출생자 성비는 105.06이었다. 여아(11만4620명))에 비해 남아(12만419명)의 출생등록이 5799명 더 많았다.
세대수는 증가 지속…1인 가구가 대세
인구 감소세에 반해 세대수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1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세대수는 2391만4851세대로 전년 대비 0.8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평균 세대원수는 2.15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인 세대가 993만5600세대로 전체에서 41.55%를 차지, 전 세대 중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다음으로 2인 세대(586만6073세대, 24.53%), 4인이상 세대(408만3363세대, 17.07%), 3인 세대(402만9815세대, 16.85%) 순이었다. 한국의 표준 가족은 4인 가족이 아닌 1인 가구인 셈이다.
1인 세대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95만 세대(19.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0대(183만 세대, 18.44%), 30대(168만 세대, 16.87%), 50대(163만 세대, 16.45%), 20대(151만 세대, 15.25%), 40대(128만 세대, 12.93%), 10대 이하(4만 세대, 0.41%) 순이었다.
20~50대에서 남자 1인 세대가 여자보다 많았다. 20대의 경우 남자 1인 세대는 77.4만 세대였고 여자는 74.1만 세대였다. 30대는 105.9만 세대-61.8만 세대로 남녀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40대 남자 1인 세대는 82.9만 세대였고 여자는 45.6만 세대에 그쳤다. 50대는 98.6만 세대-64..9만 세대였다.
반면 10대 이하와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1인 세대가 많았다.
수도권 과밀화 여전
수도권 밀집화는 갈수록 더 심화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1만4265명으로 한국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었다(50.69%). 비수도권 인구는 2531만1064명(49.31%)이었다.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보다 70만3201명 많았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 처음으로 비수도권을 추월했다.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인구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년 대비 인구가 증가한 시도는 경기도(+4만1389명, +0.30%), 인천시(+3만96명, +1.01%), 대구시(+1만1269명, +0.48%), 충남도(+7082명, +0.33%), 세종시(+2934명, +0.76%) 등 총 5곳이다. 다만 이 가운데 대구의 경우 경북 군위군이 편입된 영향이 반영됐다.
경북도(-4만6168명, -1.78%), 서울시(-4만2338명, -0.45%), 경남도(-2만9335명, -0.89%), 부산시(-2만4450명, -0.74%), 전북도(-1만4850명, -0.84%) 등 12곳은 인구가 감소했다.
226개 시군구별로 보면 지난해(2022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곳은 총 53곳이다.
시 지역은 경기 화성시(+3만3528명, +3.68%), 경기 양주시(+2만4594명, +10.10%), 경기 평택시(+1만2493명, +2.16%) 등 21곳이다. 군 지역은 전북 완주군(+5405명, +5.85%), 경기 양평군(+2915명, +2.38%), 충남 예산군(+969명, +1.25%) 등 12곳이, 구 지역은 인천 서구(+3만5345명, +6.00%), 서울 강남구(+1만5771명, +2.98%), 대전 유성구(1만752명, +3.02%) 등 20곳이 인구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인천 남동구(-1만3766명, -2.72%), 경남 창원시(-1만2449명, -1.22%), 경기 안산시(-1만2352명, -1.93%), 대구 북구(-1만1288명, -2.62%), 경기 부천시(-1만160명, -1.29%) 등 173곳의 인구는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주민등록 인구 이동률(당해 연도 주민등록 연앙인구 중 이동자 수의 비중, 연앙인구는 전년말 주민등록 인구와 당해 연말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은 11.95%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권역별 이동현황을 보면 수도권에서 수도권(71만9973명), 비수도권에서 비수도권(64만2978명), 비수도권에서 수도권(41만5812명), 수도권에서 비수도권(36만9088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기도(+4만4743명), 인천시(+3만3535명), 충남도(+1만5875명), 충북도(+3904명), 세종시(+1692명) 등 5곳은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이루어졌다.
반면 서울시(-3만1554명), 경남도(-1만6314명), 부산시(-1만1443명) 등 12곳은 순유출이 나타났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