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현대사는 이념갈등으로 인한 국가폭력으로 격심하게 얼룩지고 왜곡되어왔습니다. 이러한 이념시대의 폐해를 청산하지 못하면 친일청산을 하지 못한 부작용 이상의 고통을 후대에 물려주게 될 것입니다. 굴곡진 역사를 직시하여 바로잡고 새로운 역사의 비전을 펼쳐 보이는 일, 그 중심에 민간인학살로 희생된 영령들의 이름을 호명하여 위령하는 일이 있습니다. 이름을 알아내어 부른다는 것은 그 이름을 존재하게 하는 일입니다. 시간 속에 묻혀 잊힐 위기에 처한 민간인학살 사건들을 하나하나 호명하여 기억하고 그 이름에 올바른 위상을 부여해야 합니다. <프레시안>에서는 시인들과 함께 이러한 의미가 담긴 '시로 쓰는 민간인학살' 연재를 진행합니다. (이 연재는 문화법인 목선재에서 후원합니다) 편집자
은고개
비성골 민둥산이 잡목으로 울창해져도
총소리 사라지지 않는다
능선과 골이 사라지고 빌딩이 들어서도
슬픔은 사라지지 않는다
얼굴이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아버지 어머니 보고 싶습니다
서로 묶이고 무릎 꿇린 채
구덩이에 묻힌 혼들
뼛조각, 검정고무신으로 남았는데
그 여름 여전히 차갑게
속살을 감추고 우거졌는가
사라질 수 없는 흔적들 모시고
오가낭뜰에 내려앉아
아픔을 채록하는 검은 나비들
날개를 접었다 펼 때마다
그늘 깊은 숲을 두드리는
표정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