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대학 교문을 넘어 '공장의 불빛'으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대학 교문을 넘어 '공장의 불빛'으로

[시대에 저항하고 자연에 순응하다] 새로운 삶의 길, 노동운동

'불로 짓는 농사' 염농(焰農). 정확하게는 불로 짓는 '그릇 농사'라는 의미다. 현장 활동가로, 노동잡지 편집장으로, 서울·경기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노동의 세계에 근 30년을 몸담았던 신금호 선생이 은퇴 후 도예가의 길을 걸으며 사용하는 아호다.

1944년 생인 신 선생은 서울대 정치학과 출신 엘리트의 영예를 좇지 않고 '조국 근대화'가 빚어낸 불의에 몸과 머리로 맞서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의 길로 향했다. 팔순을 바라보는 지금도 '그릇빚음'을 잠시 멈춘 시간에 골프장 미화원으로 일하는 노동자다.

최근 주변의 권유로, 손자에게 꼭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서전에 꾹꾹 눌러 담았다. 젊은날 정면으로 마주했던 군사정권 시대상, 사회에 나와 겪었던 척박한 노동 현장의 기억을 농사짓듯 기록했다. 시대에 저항하고 자연에 순응한 어느 '백발 노동자'가 견뎌 살아온 이야기를 연재한다. 편집자

☞ 지난 연재 보기

살벌한 상황에서도 서울 각지에서 광주대단지로 쫓겨난 민중들의 분노가 무섭게 폭발하였고, 서울의 구로공단은 물론 부평과 부천, 인천의 공단에서도 나이어린 여성 노동자들의 억눌린 울분이 치솟아 하늘을 쳤다.

노동조합을 결성해 임금인상 등 근로조건을 개선하려는 여성 노동자들은 대열을 지어 앞으로 나아갔고, 맨바닥 콘크리트 위에 앉아 투쟁조직을 만들었다. 피눈물 속에 어깨를 맞대고 승리로 환희하는 곳도 있었지만 패배와 굴종으로 슬픔과 울분을 삼켜야만 하는 곳이 더 많았다.

노동자들은 공단 인근 교회와 가톨릭회관에 모였다. 기독교 도시산업선교회가 떴고 가톨릭 노동청년회가 자리하였다. 젊은 노동자들은 이곳에 모여 밤늦도록 토론하고 연구하고 노래하고 끼리끼리 짝지어 춤을 추었다. 동지가 돼 서로가 서로의 힘을 북돋웠다.

학생운동도 소리 없이 이들 자리에 스며들어 있었다. 사회 분위기가 암울해 이러한 움직임은 일반인의 눈에는 물론 학생운동 눈에도 쉬이 드러나지 않았다. 요행히 나는 일찍부터 이 큰 줄기 큰 흐름을 온몸으로 알고 있었다. 때로는 흐름 속에 섞이기도 했고, 이들의 노래도 배워 불렀다. 이것은 나의 대학시절 중 후반부의 일이었다.

군사독재 시대에 나는 학문탐구보다는 한 학기를 휴학하면서 도시 서민들의 생활, 농촌 농민들의 삶, 공장과 광산 노동자들의 노동현장 속으로 파고들었다. 그들의 생활현장에서 그들을 보려했고, 그 속에서 그들의 아픔과 고뇌를 함께 하려 했고, 그들의 삶의 눈으로 책을 보았고, 그 속에서 역사와 세계를 보았다.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 중국을 꼼꼼히 다시 보았다. 장정 시절 모택동이 쓴 <모순론>과 <실천론>의 필사본을 읽었고 베껴 돌렸다. 베트남 호지민의 삶과 투쟁도 보았고, 쿠바 체 게바라와 함께 카스트로의 '들어라 양키들아'란 외침도 다시 들었다. 프랑스 혁명은 물론 소련 사회주의 혁명의 역사도 다시 뜯어보았다.

특히 상대 경제학과 후배 박중희의 힘을 빌려 경제사도 공들여 공부했다. 민중사 속의 홍경래와 임꺽정도 다시 만났다. 드넓은 만주평원, 압록강 두만강과 간도 일대의 피눈물로 얼룩진 슬픈 항일무장투쟁의 역사도 들추어 보았다. 모두가 군사독재 정권이 꺼리고 배척해 반공법으로 엮어 넣을 빌미가 될 책들이고 이야기들이었다.

▲ 1969년 8월에 발생한 전국해상노조 조선공사지부 파업 ⓒ한국노총

복학한 후부터 나는 학생운동과 세계사 민중운동의 이념 한 가운데로 들어서 있었다. 그 속에서 나의 꿈, 나의 희망, 나의 길을 키워 나갔다. 드넓은 만주 벌판을 땀과 피와 눈물로 물들인 장쾌한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을 보았고, 동학 농민항거 역시 멀리서도 보고 가까이에도 다가가 보았다.

그러노라니 이제까지 내가 듣고 본 역사는 가진 자, 지배자, 미국 중심의 궁중역사요 벼슬아치들의 역사일 뿐이었다. 내가 본 나라와 겨레의 뿌리, 우리들 민중의 역사는 늘 민중들의 피와 눈물과 땀으로 붉게 물들여져 있었다. 그때 누구에게인가 이러한 노래를 들었다.

<어느 시인의 노래>

날아가는 까마귀야

시체보고 울지마라

몸은 비록 죽었으나

혁명정신 살아있다.

솔잎 꺾어 덮어주고

떠나가는 동지들아

뜻 이루는 그날까지

함께 싸워 나아가자

흩날리는 꽃잎들아

낙화됨을 설워마라

네가 지어 흙이 되면

녹음방초 우거진다

외교학과 홍세화로부터도 새로운 노래를 배워 불렀다. 나중에 보니 학생운동권에 널리 퍼져 있었다.

붉은 태양 솟아오르는 조국 하늘 아래

민족의 붉은 피로 물든 깃발이여

찬란한 승리의 그날이 오길

춤추며 외치는 동지가 있~다

서민의 바다, 노동자들의 땀의 현장으로 파고든 나는 평생을 그들의 삶과 함께 하려고 했다. 그들이 싸우면 나도 싸움에 끼어들어 죽어도 좋았다. 이것이 나의 문리대학 정치학도로서의 삶이었고, 관점이었고, 문리대 담을 넘어 법대, 상대는 물론 뜻을 같이하는 고려대학교 학생운동 그룹을 비롯하여, 경북대학교 등 지방대학교의 학생운동과 한 호흡으로 어울려 지내는 나의 교우관계였다.

민중의 역사와 민중의 삶 속 정치학도로서, 나는 해외 유학파 교수들의 서양 중심 강의보다는 학생운동 속에서, 거리에서, 시장에서, 민중과 노동자의 삶 속에서, 막걸리 앞에서 혈기 방장한 정의파 지성들과 큰 소리로 독립군가, 선구자, 스텐카 라진, 통일가, 삼팔선가, 전선야곡 등의 노래를 소리 높여 불렀다, 스텐카 라진은 푸시킨의 시를 옮긴 러시아 민중의 노래인데 내 가슴 속 애창가로 자주 불렀다. 문리대 운동권의 주된 운동가로 불리기도 했다.

<금강>과 <오적> 시도 읊었고, 때로는 계엄령을 피해 팔당역 인근 예성산 산중에 모인 소수의 대학생들 앞에서 김지하 시인이 쓴 연극 <구리 이순신>의 주인공인 엿장수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때의 단막극은 서울의대 숲에서 외교학과 홍세화의 지도로 연습했고, 이순신 역할은 중앙고 출신 고려대의 김형동 후배가 감당했다. 모두가 숨겨진 자그마한 일화들이다.

1972년 겨울 어느 날로 기억한다. 우리 문리대 학생운동 후배들 몇몇과 함께 미아리고개 너머 삼양동 유인태 집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아침 일찍 일어나 마루문을 여니 안마당에도 항아리 위에도 흰 눈이 소복이 쌓여있었다. 아침밥을 먹고 난 나는 남보다 먼저 집을 나섰다. 동네 골목길에도, 비탈길에도, 공터에도 눈 위에 사람의 발자국이 찍혀있지 않았다.

한참을 걸어 내려오다가 문득 드넓은 압록강과 두만강과 만주벌판, 휘몰아치는 눈보라가 잦아드는 가운데 눈 속을 헤치며 진군해 가는 무장 독립군의 행군대열이 머리에 떠올랐다. 하얀 눈 위에는 붉은 점도 떨어져 있었다. 사방 온 세계가 눈으로 하얗게 덮여 핏자국은 너무도 맑고 붉었다.

집에 돌아와 아버지 대신 비좁은 가게에 앉아 소련 과학아카데미가 낸 일어판 <세계철학사> 마지막 권을 덮었다, 내 머리 안에는 프랑스혁명 때 거리를 메우며 나아가는 파리 노동자와 시민들의 피맺힌 외침과 왕실 경기병들의 총성이 뒤엉켜 가슴이 메었다. 1905년 1월 22일 제정 러시아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아우성치며 기마경찰에 쫓기는 모습도 떠올랐다.

일본제국주의 치하 3월 1일, 압록과 두만 강변은 물론 전국 방방곡곡 조선 민중들의 대한독립 만세궐기. 4월 19일 중앙청 앞을 지나 청와대를 향해 효자동 대로를 뛰다가 최루탄 연기 속에서 총탄을 맞고 피투성이가 되어 쓰러지는 청년 학생들, 철창 안에 갇혀 모진 고문을 당하면서도 의기를 잃지 않았던 의로운 민중과 지식인 시인 대학생들의 모습도 떠올랐다.

프랑스 민중의 발소리와 피 튀는 외침, '쾅! 쾅! 쾅!' 온 세상을 뒤엎다가, 가냘프게 잦아들다가 다시 솟는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5번이 한 흐름으로 모아져, 내 마음 속에 <붉은 꽃>을 노래로 지었다.

<붉은 꽃> 작사·작곡 신금호

그대는 나의 한송이 붉은 꽃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이다.

그대를 향한 이 마음

쇠도 녹이고, 눈도 불로 만든다.

흰 눈 위에 쓰인 글자, 붉은 꽃

맥박이 뛰고 피가 용솟음친다.

지붕 뚫고 솟구치는 이 기혼은

자연의 미학이다, 우리의 미학.

상호비판 상호격려 힘을 돋우면

조국도 해방되리 통일이 되리

우리의 가는 길 막을 자 없다

우리의 품은 마음 꺾을 자 없다

비겁한 자 대열에서 물러나거라

용감한 자 우리 함께 진군 대열에

중국의 54 운동 타국의 경험

우리의 4.19 우리의 경험

피가 되고 뼈가 되어 새겨진 가슴

대립과 갈등에서 피어난 창조

조국과 사랑은 끊을 수 없다

착취자와 압제자를 때려 부숴라

오오~ 붉은 꽃

오오~ 눈보라

<계속>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신금호

학생운동, 노동운동을 거쳐 서울·경기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안성에 정착해 도예가로 제2의 인생을 지내고 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