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쿠팡 부천신선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이때 코로나19에 감염된 한 쿠팡 노동자의 남편은 현재 의식불명의 중태에 빠져 있다.
쿠팡 노동자의 사망도 올들어서만 4건이다. 지난 3월 40대 쿠팡 택배노동자가 배송 중 경기도의 한 빌라 계단에서 쓰러졌다. 이어 5월 인천물류센터에서 40대 노동자가 일하던 중 세상을 떠났다. 7월에는 쿠팡 천안물류센터에서 조리사로 일하던 30대 파견노동자가 퇴근 후 사망했다. 끝으로 지난 12일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던 27살 노동자가 자택에서 숨졌다.
왜 쿠팡 노동자들은 일하다 병 들고 때로 죽기까지 하는 걸까. 쿠팡 노동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 지난달 28일 '쿠팡발코로나피해자대책위원회(쿠팡피해자대책위)'가 이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해 <쿠팡 노동자 인권실태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쿠팡의 고용구조와 노동통제가 쿠팡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감염과 연이은 노동자 사망의 원인이며 이를 바꿔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쿠팡피해자대책위가 해당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네 편의 기고글을 <프레시안>에 보내왔다. 자신들의 조사와 연구가 쿠팡 노동자의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프레시안>이 4주에 걸쳐 쿠팡피해자대책위가 보내온 글을 싣는다.
준비를 위해 출근은 미리 해야 하지만 퇴근을 제시간에 맞추어 할 수 있도록 미리 끝내주지는 않는 곳, 밥 먹는 1시간을 제외하면 단 1분도 쉼 없이 끝날 때까지 일해야 하는 곳, 화장실을 갈 때도 눈치를 보며 이름을 적어놓고 가야 하는 곳, 의자를 두지 않으며 바닥에 앉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는 곳에서 과도한 노동은 없다고 말한다.
퇴근 시간의 셔틀버스 운행은 최소화하고 연장근무 시간에 맞추어 운행하는 곳, 승용차가 없는 이는 원치 않아도 천근만근의 몸으로 연장근무를 해야 하는 곳, 몸이 아파 연락을 해도 무단결근으로 처리하는 곳, 미리 아픈 걸 예감하고 살지 않으면 블랙리스트에 올라 불이익을 당해야 하는데도 강제 노동은 없다고 말한다.
출근할 때 손 세정제 한 번 짜주고 열 체크한 게 전부인 곳, 고성과 고함으로 재촉하고 몰아세우는 게 업무인 중간 관리자는 아예 마스크를 안 쓰거나 내리고 있던 곳, 방한복과 방한화를 세탁도 없이 돌려 입혀 기본 위생도 지키지 않은 곳, 이 층 저 층 여기저기 차출해서 사람을 섞어놓고 부리는 곳, 마우스도 놓지 않아 노트북 자판이며 스캐너를 여러 사람이 장갑을 벗은 손으로 눌러야 하는 곳, 코로나19 확진자를 확인한 날에도 주먹구구식 분류로 일부만 돌려보내고 대부분은 연장근무를 시킨 곳, 불안해하는 노동자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주기는커녕 오히려 문자를 통해 인원을 확충해서 변함없이 라인을 돌린 곳, 다음 날 조기 퇴근도 좁은 공간에 수백 명의 사람을 모아놓고 통보한 곳에서 방역에 철저했다고 말한다.
'쿠팡발 코로나 피해자 지원대책위원회 인권실태조사단'은 152명의 확진자를 양산한 쿠팡 부천신선센터발 코로나19 집단감염 집단참사를 통해 인권무시 안전무시 쿠팡의 현장을 들여다보았다. UPH(Unit Per Hour, 시간당 생산량. 노동자가 작업한 물량을 시간으로 나눈 값) 속도 하위에 머무르는 노동자를 닦달하고 공개적으로 모욕하는 곳, 무엇보다 속도와 이윤이 중요하고 사람들이 쓰러지면 버리고 다시 채용하면 그만인 곳이었다.
코로나 피해자 고통에도 쿠팡은 사과 한 마디 없다
죽음의 공포와 싸우며 언제 나갈 수 있을지 불안에 맞서며 음압병실에서 하루하루를 보냈던 확진자의 말이다. 그이는 차라리 운동도 나가고 면회도 가능한 감옥을 원했던 것이다.
확진자의 자괴감과 그 가족들이 학원과 통화에서 학교의 태도에서 이웃의 시선에서 받은 상처 역시 적지 않다.
남편도 감염돼 뇌 손상이 와서 쿠팡에 이야기하니 '국가적 재난 상황이라 회사는 책임이 없다'는 취지의 답변이 전부였다. '우리들도 피해자'라고 말하는 쿠팡이 "자가격리자들에게 돈 100만 원씩 뿌린 거"는 "사회여론 무마시키려고 잠재우려고 했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는 것에 공감한다.
마감과 배송은 노동자를 쥐어짜서 빠른 것을 자랑하는 쿠팡이 사과는 느리다. 무책임함. 이것이 쿠팡발 코로나19 피해자를 대하는 쿠팡 태도의 A부터 Z다.
쿠팡 노동자들은 추운 곳에서 일하며 습기가 차고 땀 흘려 일하며 축축해져서 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가 되니 "마스크를 한 다발씩 개인 것을 가지고" 다녔다. 하지만 구내식당에서 밥을 안 먹을뿐더러 외부 식당에서도 먹을 때 외엔 주문할 때나 계산할 때도 마스크를 열심히 낀 노동자도, 마스크 안에 필터를 두 개씩 넣던 노동자도 확진을 피해 갈 수 없었다. 수백 명이 끼어 타야 하는 달랑 한 대의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으로 오르내린 노동자, 셔틀버스와 라커룸조차 사용하지 않은 노동자도 마찬가지였다. 쿠팡의 이야기처럼 개인 방역만 철저하면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사과 한 마디 없는 쿠팡의 보여주기식 방역
코로나19 확산 이후 쿠팡 현장의 '변화'를 살펴보자.
안전 감시단 인건비에만 매달 수십억 원을 쓰고 있다고 언론에 뿌리고 있다. 안전 감시단의 보이는 임무는 '마스크 쓰세요, 거리두기 하세요' 외치는 것, 본연의 임무는 노동자가 중간 관리자의 눈을 피해 쉬고 있는지 '감시'하는 노릇일 뿐이다.
손 소독제와 소독 티슈, 소독 분무기를 비치했다. 그저 한 번 비치했을 뿐이다. 하지만 소모품은 다 떨어진 지 오래다. 설령 다시 채워놓았다 해도 물량이 많아지니 닦고 뿌리고 할 새가 없다. 장갑을 끼고 노동하니 쓰지 않아서 용량이 남은 손 소독제만 그 자리를 지킬 뿐이다.
현장의 증언이다.
컴퓨터에 '기기는 소독하셨습니까?' 문구가 계속 뜬다. 그저 뜰 뿐이다. 소독 용품도 소독할 시간도 주어지지 않으니 그저 가짜로 했다고 클릭할 뿐이다. 일하는 사람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게 아니라 '우리 이거 했다' 발표하는 그 목적을 달성할 뿐이다.
거리두기 앱도 마찬가지다. 가까이 있어서 켜지지 않으면 멀리 가서 켜서 돌아와 밀접 거리에서 일하는 방식이다.
방한복과 방한화를 돌려 입는 게 알려지니 계약직만 나눠주고 지급했다는 생색만 낼 뿐이다. 우주복처럼 붙어있는 부피 큰 옷을 집에 가져가 세탁하는 이는 없고 방한복의 위생을 책임지진 않는다. 바닥에 스티커만 붙였지, 거리두기가 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달라진 것이 하나 있다면 화장실에 가며 이름을 적는 대신 관리자에게 말을 하고 가는 것이다. 우리가 학생 때 수업 시간에 '저 선생님, 화장실 좀 다녀올게요' 손들고 이야기하던 그때처럼.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순 없다. 보여주기식 각색과 홍보용 윤색으로 호도하는 대신 쿠팡발 코로나 피해자에게 상식적인 사과와 보상을 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진정성을 보인다면 좋겠다는 바람은 너무 무리한 것일까. 쿠팡에 기업의 윤리나 책임을 이야기하는 것은 언감생심 얼토당토않은 일일까. 발도 누울 자리를 보고 뻗어야 하니 말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