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로 남북관계가 긴장 국면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전주 대비 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찬반 여론조사에서는 반대가 60%로 나타났고, 정부가 전단 살포를 막아야 한다는 응답도 57%나 나왔다.
19일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에 따르면, 이 기관이 매주 시행하는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이 대통령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55%, 부정 평가는 35%로 집계됐다. 직무평가 긍정률은 지난주보다 5%포인트 하락했고, 부정률은 3%포인트 상승했다.
주관식 응답인 부정평가 이유로는 '북한 관계'(29%), '경제·민생'(16%), '북핵·안보'(8%), '전반적'(6%), '독단적·편파적'(5%), '코로나 대처 미흡'(4%), '부동산 정책', '세금 인상'(이상 각 3%) 등의 답변이 나왔다.
갤럽은 "부정평가 이유 1순위는 지난주까지 10주 연속 '경제·민생'이었으나, 이번 주 들어 북한 문제로 바뀌었다"며 "'북한 관계', '북핵·안보' 문제 언급은 지난주부터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갤럽은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 정례조사와 동일 기간·대상으로 실시된 별도 조사에서는 민간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문제에 대한 여론을 묻기도 했다. 대북전단 살포에 대해 60%가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답했고, 29%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했다.
민간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정부가 어떻게 대응해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항목에서는 '정부가 막아야 한다' 57%, '막아서는 안 된다' 29%, 의견 유보 14% 등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3%, 미래통합당 19%, 정의당 5%,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 각 3% 순으로 집계됐다. 민주당과 통합당은 각각 1%포인트 상승, 정의당은 3%포인트 하락했으며 국민의당은 전주와 변함없었다.
갤럽이 자체 시행한 이번 조사는 유·무선전화 무작위걸기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한 전국 유권자 1001명 대상,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전화조사원 면접 방식으로 시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2%였다. 설문지 문항 및 통계보정 기법 등 조사 관련 상세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