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남태평양 외딴 섬에서 낳은 딸 '아리랑'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남태평양 외딴 섬에서 낳은 딸 '아리랑'

[이동석의 남태평양 아리랑 ④] 남양군도에 남은 삶

일본과의 역사 청산은 아직 요원하다. 일제에 희생된 이들의 절규가 아직 오늘의 역사로 남아 있다. 아직 우리가 주목하지 못한 피해 사례도 많다.

일제의 강제동원에 의해 태평양전쟁에 휘말린 조선인 피해자 문제 역시 해결이 난망하다. 이 문제가 현재진행형임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8.15 경축사에서도 확인된다. 당시 문 대통령은 "광복 70년이 지나도록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고통이 지속되고 있다"며 "그간 강제동원의 실상이 부분적으로 밝혀졌지만, 아직 그 피해 규모가 다 드러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일본과 시베리아, 남태평양 곳곳에 일제에 강제동원되어 혹사당하다 죽어간 조선인들의 원념이 서려있다. 이동석 다큐멘터리 PD(앤미디어 회장)는 1992년, 남태평양 곳곳에 남은 우리 선조들의 피해 사례를 파헤친 9부작 다큐멘터리 <잊혀진 전쟁-태평양전선을 따라서>를 연출해 일제가 일으킨 태평양전쟁에 희생된 조선인들의 한을 재조명했다.

이 PD는 KBS와 MBC에서 수많은 장편 다큐멘터리를 제작했고, 특히 우리 다큐멘터리 역사에 길이 남을 역작 시리즈 <인간극장>을 처음 기획·제작해 휴먼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방향을 정립했다. 보통 사람의 삶을 다큐멘터리화한다는 발상은 혁신이었다.

박근혜 정부가 일본과 위안부 문제를 졸속 합의함에 따라 일본과의 역사 문제는 다시금 두 나라 외교, 시민 문제에 첨예한 갈등 사안으로 떠올랐다. 이에 이 PD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내용을 총 7차례에 걸쳐 재조명해, 잊혀서는 안 될 역사 문제를 환기하고자 한다. 편집자.

한국인의 딸 아리랑

"김형! 그 이야긴 누구한테 들으셨습니까?"
"원주민요. 그런데 그분도 작년에 돌아가셨어요. 그렇지만 동굴 속의 그분이 용서를 받고 한국으로 돌아갈 때 동분서주하면서 도와주고 여비도 대주고 했다는 사람은 살아 있습니다. 코로르(Koror)에 살고 있어요. 한국계 원주민이죠."
"어? 코로르? 누구야 한국계라는 사람이…."
"참, 형님은 아시겠네요. 노부르 킹이라는 분."
"아, 노부르 킹! 그래 그분이 그랬단 말이야?"

목구멍에 침이 말랐다. 그분을 만나면 팔라우 동굴의 비극을 더욱 생생히 들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잘 아십니까 그분?"
"아다마다요. 팔라우에서 사업 크게 하는 분인데, 한국인 아버지에 원주민 어머니를 두신 분입니다. 60이 훨씬 넘었죠 지금."
"한국계 혼혈인? 여기서도 그럴 수 있습니까?"
"전시였으니까 무슨 일인들 없었겠습니까? "
"이번에 만날 수 있을까요? 꼭 만나야 합니다."
"그럼요. 내일 코로르로 돌아가면 당장에 뵙죠. 요즘 건강이 매우 안 좋다고는 하지만."
밤이 깊어졌다. 김정곤이 모기장을 폈다. 그 작은 모기들에 물린 내 종아리와 허벅지, 그리고 팔은 시퍼렇게 멍들어 있었다. 럭키 김은 가져온 병뚜껑을 열고 몇 잔은 될 만한 양주를 내 허벅지와 팔뚝에 골고루 부었다. 소독도 되고 웬만큼 마취효과도 있다는 것이었다. 살갗이 심하게 따끔거리더니 이내 화끈대기 시작했다.

"김형, 지금 몇이요?"
"허허! 참으로 오랜만에 내 나이 이야기를 듣는 군요. 그러니까 내가 지금... 서른여덟인가 봅니다."
"어떤 인연으로 이 먼 나라 작은 섬으로 장가를 드셨수?"
"글쎄 말입니다. 전혀 생각하지 않았던 질문을 받게 되니 머리가 복잡해지네요. 그게 말이죠, 그러니까, 저기…."
"이사람 뭘 더듬거리나? 남자들끼리 감출 게 뭐 있어? 신문에 날 일도 아니고 죄를 지은 것도 아닌데. 이 사람요, 연애 걸다 잡혔대요. 이 섬 원주민 처녀를 건드리다 붙잡혀서 나가지도 못하고 저도 원주민이 된 거죠. 하하."
"형님ㅡ!"

그때부터 우리는 모기장속에 웅크리고 앉아 조니워커를 마셔가며 김정곤 씨의 이야기를 들었다.
"저 사실은 PD님이 제 나이를 물으시니 울적해지네요. 갑자기 부모님 생각이 나고요."

김정곤 씨는 목에 술을 털어 넣었다. 그의 딸 아리랑이 얼굴을 디밀었다. 밤 인사를 나누는 듯 부녀는 가볍게 한마디 씩을 주고받았고 아리랑은 돌아갔다.

"아 참, 저 딸아이 이름을 왜 아리랑이라고 지었습니까?"
"글쎄요. 나도 딱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애 낳고 보니 그날부터 고향생각이 더욱 간절해지더군요. 부모님 생각 동생들 생각이 마구 뒤섞여서 울적하고 심란한 거예요. 애 이름은 지어야겠고, 고향에서는 이름을 아버님이 지어주실 텐데… 싶다가 퍼뜩 '아리랑'이라는 단어가 떠오르는 거예요. 더 생각할 필요도 없이 '그래, 애 이름을 아리랑으로 하자!' 그렇게 된 겁니다. 나 사실 저놈 낳고 혼자서 참 많이 울었습니다. 그 생각을 하면…."
김정곤의 눈이 젖었다. 네모난 얼굴에 쌍까풀진 눈, 구릿빛 피부, 검은 콧수염. 아끼듯이 한마디 한마디를 천천히 이어가는 김정곤의 감정이 조금씩 차오르기 시작했다.

▲ 원주민들과 고기를 잡는 김정곤 씨(하얀 티셔츠를 입고 그물을 메고 있는 이가 김정곤 씨).

▲ 김정곤 씨의 딸 아리랑.

"이 PD님, 한 번에 두 분의 한국인을 만나는 것은 십여 년 만에 처음입니다. 여기가 고향 같아요. 오늘밤에 고향형님들과 마주 앉았으니 십여 년 동안 벙어리같이 살아온 이야기들 다 쏟아놓고 싶습니다."
"괜찮습니다. 참지 마시고 하고 싶은 말씀 다 하세요. 너무 참으면 병 됩니다."
"병은 이미 깊어진 걸요! 허허허, 오늘 내가 왜 이러나…. 저는 사실 가난 때문에 이 섬나라 구석까지 흘러 들어온 사람입니다."

70년대 후반이었다. 김정곤이 군(軍)에서 제대하고 돌아와 보니 가난한 집안형편은 여전했다. 부모님은 소작농이었다. 입대하기 전에도 가난한 집이요, 배고픈 가족이었다. 그가 제대한 때는 봄이었다. 지금 당장 부모님을 도와 농사에 나선다 해도 수확 때까지의 끼니가 걱정이었다. 봄철에 그가 돌아왔다는 것은 가을 수확 때까지 구부러진 부모님의 등에 양식을 축내는 입 하나 더 얹어 놓은 거나 마찬가지였다. 그는 내 입 하나라도 빨리 덜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원양어선을 탔다. 빨리 집을 떠나야 부모님의 고통을 덜어 드린다는 것. 그것이 힘들고 험한 원양어선을 타는 단 한가지의 명백한 이유였다.

처음 보는 남태평양의 거친 바다위에서 고기떼와 씨름하기 몇 달 뒤, 어선은 정비를 위해서 3개월 예정으로 선박수리소가 있는 태평양의 어느 섬에 입항하였다. 그곳이 팔라우의 수도 코로르였다.

"고참 선원을 따라서 배에서 외출을 나와 팔라우 땅을 처음 밟았죠. 촌놈이 야자수도 처음보고 원주민도 처음 보니 모두가 신기했습니다. 그날 밤엔 외항선원을 위한 술집에서 신나게 한잔 마셨죠."
젊은 사람이 몇 달이나 바다위에 떠 있었으니 흙냄새 사람냄새가 얼마나 그리웠을까. 한두 번의 외출에 익숙해지면서 그는 차츰 혼자서 팔라우를 즐기기 시작했다. 경치를 즐기고 야자나무를 즐기고 원주민의 모습을 즐기고….

"이 사람, 그 얘긴 왜 자꾸만 빼놓는 거야? 외출 때마다 여자를 만났다면서."
"그 얘기 꼭 해야 됩니까?"
"아 그럼 이 긴긴 밤에 뭐하고 있으란 말이야? 당신 질질 짜는 모습이나 보라고?"
"형님도 싫죠? 그런 궁상맞은 이야기."
"아니야. 마음이 너무 짠해서 그래."

김정곤은 원주민 처녀와 가까워지기 시작했다. 외출할 때마다 처녀를 만났고, 외로웠던 그는 그 처녀와 정이 들었다. 다 좋았다. 그런데 김정곤은 그걸 몰랐다. 이 섬에선 원주민 여자가 외국인 남자를 가리키며 "저 남자 내 남자요!"하고 점찍으면 그 남자는 출국금지가 된다는 것을. 그는 열 번째 외출에서 그만 여자에게 점 찍혔다.

"생각해보니 돌아가 봤자 기다리는 것은 가난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모님과 형제들에게는 죄송하고 미안한 일이지만 이 섬에서 이 여자와 사는 것도 하나의 삶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결국 선원수첩을 반납하고 이 나라 원주민 여자의 남자가 됐죠."
".............."
"벌써 십사 년 됐습니다. 가난만 면하면 살 줄 알았는데, 산다는 게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니더군요. 그때는 한국사람 하나도 없었지요. 아내는 여고 3학년생이었습니다. 그 어린 여학생을 아내라고 의지하고 아내가 학교에서 돌아오기를 온종일 기다리면서 살았습니다. 어린 여고생이 집에 바로 돌아옵니까? 제 남자 눈 빠지게 기다리는 것은 생각지도 않고 해질 때까지 신나게 친구들과 수다 떨고 놀다가 돌아오지요. 그렇게 돌아온 아내와는 말이라도 통하느냐? 천만에요. 아내와도 손짓 발짓으로 겨우 뜻이 통하는 우리는 서로 외국인이었습니다. 그런 사람이 이 섬에서 이웃의 사랑받고 살겠습니까? 눈물로 말 배우고 고기잡이 배우고 눈물로 이웃의 이웃이 되었지요. 원주민들에게 비굴할 정도로 참고 아첨하고 보는 사람 없을 때는 얻어터지기도 하고요, 그렇게 몸으로 때워 가면서 십사 년을 살았습니다."

침침한 백열등에 비치는 김정곤 씨의 얼굴이 슬퍼 보였고 단단해보이던 그의 어깨가 쓸쓸해보였다.

"그 아내가 애를 낳았습니다. 저 놈요! 아리랑이지요. 세상천지 아는 사람 하나 없는 남의 나라에 와서, 이 남양군도 섬나라까지 와서 핏덩이를 낳았는데 그래도 이것이 유일하게 내 것이요, 내 핏줄이라 생각하니 얼마나 고맙고 서럽던지 눈물이 하염없이 쏟아지는 거예요. 내 곁에 돌봐주실 부모님이 계십니까, 기뻐해 줄 형제가 있습니까? 달보고 울고, 파도소리 들으며 울고, 밤마다 바닷가에 나 앉아서 어머니! 아버지! 마구 소리치며 울었죠. 평생의 남자울음 그때 다 울었을 겁니다. 이 넓고 넓은 바닷가에 저 핏덩이 하나 있구나 생각하니 기쁘기도 했지만, 저걸 어떻게 기르나 겁나기도 했습니다. 뼈에 사무치는 외로움, 사무치는 그리움이라는 것이 뭔지 그때 알았습니다. 그때 눈물 흘려보고 오늘 처음인 것 같네요."
".............."

▲ 바닷가의 아리랑과 아빠 김정곤 씨.

"제가 장남입니다. 불효막심한 놈이지요. 불쌍한 우리 부모님은 이 장남의 효도 한번 받아 보시지도 못하고 지금도 땡볕을 등에 지고 소작인 농사를 지으실 겁니다."
"................"
"이제 그만 진정하라고. 부모님께 죄송한 사람이 당신뿐이겠어? 철든 자식이면 다 그렇지. 분위기 바꾸자. 당신 말이야, 배에서 내려와 열 번째 데이트만에 붙잡혔다고 했는데 한 여자와 열 번째 데이트하고 잡힌 거야, 아니면 열 번째 여자에게 덜미를 잡힌 거야?"
"형님, 오늘 내 망신시킬 일 있습니까?"
다 쏟아놓고 마음이 후련해졌는지 김정곤 씨는 모처럼 웃었다. 밤이 더욱 깊었다. 우리는 편한 대로 누웠다. 내일은 모터보트로 이 섬 저 섬에 널린 태평양전쟁의 흔적들을 찾아다녀야 한다. 나는 누우면서 아무 생각 없이 한마디를 던졌다.

"김형, 혹시 가족 중에 남양군도에 징용 다녀오신 분계십니까?"
"으음…. 우리 큰아버님께서 징용 다녀오셨다고 들었어요."
"그래요? 아직 살아계실까요?"
"아마 살아계실 겁니다. 고향의 우리 집 바로 뒷집에 사셨는데요."
"그렇습니까? 오늘 꽤 피곤하네요. 그만 잘까요? 내일 일정이 많은데…."

그리고 우리는 잤다. 그러나 생각 없이 주고받은 이 간단한 대화가 내가 김정곤 씨를 이토록 장황하게 소개하는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이 되리라는 것을 당시는 그도 모르고 나도 몰랐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동석

1973년에 TBC에 입사, 이후 35년간 다큐멘터리에 매달렸다. 성철스님 일대기, 손기정 다큐멘터리 등 다수의 인물 다큐와, 일본이 일으킨 태평양 전쟁의 진실을 밝힌 <잊혀진 전쟁>을 기획, 연출을 했다. 일본군의 위안부 만행을 추적한 <종군위안부>로 1993년 백상예술대상을 수상했다. 1983년 정통다큐멘터리 월요기획을 만들었고, 인간극장, 한국탐구 등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다큐멘터리를 제작, 기획, 연출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