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故 박종필 감독, 장애인·노숙자·세월호를 담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故 박종필 감독, 장애인·노숙자·세월호를 담다

[작은책] "그저 나의 일을 한 것뿐이다"

<노들바람>이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노들장애인야간학교(이하 노들야학)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고(故) 박종필 감독이 2003년에 만들었고, 2004년 서울인권영화제에서 '올해의 인권영화상'을 받았습니다. 상을 받던 날, 쑥스러움은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순도 100퍼센트의 기쁨과 자랑스러움만을 보이는 박종필 감독에게 너무 교만한 거 아니냐고 놀리자, 이렇게 말하더군요.

"'노들야학'이 받는 상이잖아."

노들야학은 20, 30년 동안 집 안에서만 생활할 수밖에 없어서 제도교육을 받지 못한 장애인들이 검정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다니는 학교입니다. 장애인 이동권 투쟁이 활발해지면서 야학 내부에서는 수업이 부실해지는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박종필 감독의 카메라는 수업과 투쟁, 둘 중 어느 하나도 포기할 수 없는 학생들과 교사들의 깊은 고민을 충실히 담아냅니다. 영화가 담은 풍경들은 너무나 내밀하고 생생해서 <노들바람>은 2시간이 넘지만, 전혀 지루하지 않습니다. 저라면 그렇게 못 만들었을 것 같은데 박 감독은 모든 명예를 노들야학에게 돌렸고, 그래서인지 이 영화는 안타깝게도 많은 이들에게 상영되지 않았습니다.

2년 전 어느 밤, 노들야학의 박경석 교장과의 술자리에서 술에 취한 제가 "<노들바람>을 다시 불러내자. 그 영화가 너무 아깝다"는 말을 반복하자, 박 교장의 옆자리에서 빙글빙글 웃으며 재미있어하던 박 감독의 얼굴이 눈에 선합니다. '너무 기니까 재편집하자', '인문학 열풍과 함께 <노들바람> 열풍이 불 것이다' 이런 호언장담을 해 놓고, 저는 그 고민을 이어 가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작은책>에 소개하기 위해 이제야 <노들바람>을 다시 봅니다. 주인공들의 목소리보다 그 답을 얻기 위해 던지는 박 감독의 질문들에 귀 기울이다가 주인공들의 깊은 속내를 끌어내는 그이의 차분하면서도 다정한 목소리에 가슴이 미어집니다.

▲ 다큐멘터리 <노들바람>(2003) 스틸컷. ⓒ박종필

고 박종필 감독은 2017년 7월 28일, 만 49세의 이른 나이에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투병 사실이 알려진 지 일주일이 채 안 된 때였습니다. 박종필 감독이 마지막까지 활동했던 독립다큐멘터리제작집단 다큐인과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활동가들은 4일장으로 치러진 장례 기간 내내 빈소 한구석에서 추모 영상을 만들고 추모 행사를 준비했습니다. 다들 나사가 하나쯤 빠진 듯한 상태로 묵묵히 일을 해 나갔습니다(4.16연대 미디어위원회의 일원인 저 또한 동료들과 박종필 감독이 남긴 말들과 영화들을 함께 정리했고, 그 시간이 위로가 되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됩니다).

박종필 감독의 첫 번째 영화는 1997년에 만든 입니다. 첫 영화로 박 감독은 큰 영광을 누립니다. 상영 요청도 많이 받고 다큐멘터리 감독이라면 꼭 가고 싶어하는 '야마가타 영화제'의 초청도 받습니다. 하지만 박 감독은 그 시간을 "부채감이 컸다"고 회상하곤 했습니다. 작품에 등장한 (노숙인) 형들은 다 객사하고 행방불명되었는데, 자기만 뜨는 게 너무 괴로웠대요. 괴로움을 토로하면서도 박 감독은 "좋은 경험이었다"라고 말하더군요. 명예라는 게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명예욕이 어떻게 자신을 사로잡는지를 알게 되었다면서요.

박종필 감독의 두 번째 영화는 평택 에바다학교 시설 비리를 다룬 <끝없는 싸움-에바다>입니다. 뭔가 '다른' 노동을 이야기하고 싶어 장애인을 떠올렸고, 그렇게 찾아다니다 '에바다 투쟁' 현장에 갔는데, 주류 미디어에서 보던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들에 함께 분노하며 거기에 머뭅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박 감독이 평생의 스승이라 부르는 박경석 교장을 만나게 됩니다.

2002년 <장애인 이동권 투쟁보고서-버스를 타자!>, 2003년 <노들바람>, 2006~2008년 RTV 격주 장애인 정규 프로그램 <나는 장애인이다>, 2010년 <시설 장애인의 역습> 등. 그 후의 박종필 감독의 영화에는 장애인 이동권, 시설 비리와 자립생활, 부양의무제까지 장애인권운동의 현장이, 그 땀 냄새와 숨소리가 고스란히 담깁니다.

▲ 다큐멘터리 <끝없는 싸움-에바다>(1999) 스틸컷. ⓒ박종필

▲ 다큐멘터리 <장애인 인동권 투뱅보고서-버스를 타자!>(2002) 스틸컷. ⓒ박종필

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도 놓지 않았습니다. 첫 영화의 성공과 동시에 박종필 감독은 노숙인 형들에 대한 부채감을 평생 등짐처럼 지고 다녔습니다. 2001년에 '노숙인 복지와 인권을 실천하는 사람들'(약칭 '노실사'? 지금의 '홈리스행동')을 알게 된 박 감독은 감독으로서보다는 야학을 함께 열고 후원을 조직하는 활동가로서 더 열심히 일합니다.

그즈음에 저는 박 감독의 부탁을 받고, <꿈의 공장> 김성균 감독과 함께 홈리스 주말 배움터에서 미디어 교육을 했습니다. 그런데 박종필 감독은 늘 교실에 함께 있으면서도 보조교사 역할만 하더라구요. 왜 직접 안 하는지 궁금했는데, 그 의문이 이번에야 풀렸습니다. 노실사 시절부터 함께 활동해 왔던 이동현 홈리스행동 대표가 장례 기간에 열렸던 추모 행사에 나와서 이런 이야기를 들려주더라구요.

"나는 박종필 감독이 영화감독인 줄 몰랐어요. 처음엔 이름이 '박감독'인 줄 알았어요. 요리를 하고, 후원인을 조직하고, 늘 카메라 없이 일만 했어요."

노숙인들과 함께 있을 때는 카메라를 멀리하고 싶었나 봐요. 이렇게 일찍 떠날 줄 알았으면 궁금한 것들을 그때그때 물어볼 걸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 다큐멘터리 <망각과 기억2 : 돌아봄 Part1.>(박종필·김환태·문성준 감독, 2017) 포스터. ⓒ4.16연대
2015년 4월 도심에서 세월호 추모 행사를 촬영하고 있던 저는 카메라 없이 길을 가고 있던 박종필 감독을 발견합니다. 그날 저의 임무는 세월호 추모 행사에 참여하는 시민들의 이야기를 모으는 것이었습니다. (주류 미디어로부터 소외된 채 외롭게 싸우고 있는 세월호 가족들에게 시민들 격려의 말을 모아서 전해 주면 세월호 가족들이 힘을 받을 거라는 게 당시 김일란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위원장의 생각이었거든요.)

혼자 섭외하고 인터뷰하고 촬영하느라 정신없이 바빴는데, 박종필 감독이 지나가니 너무 반갑더라구요. 저는 섭외와 인터뷰를, 박 감독은 촬영을 하면서 신나게 시민들의 말을 모았고, 어두워진 후에는 박 감독에게 제 카메라를 맡겼습니다. 캡사이신과 물대포가 난무하는 전쟁터 같은 현장에 저는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4.16연대 미디어위원회 활동을 시작한 후 박 감독은 많은 영상을 만들었는데, 고(故) 김관홍 잠수사를 주인공으로 하는 장편 작업도 진행했습니다.

그러던 중 바로 전날 헤어진 김관홍 잠수사의 부고(訃告)를 듣습니다. 펑펑 울면서 김관홍 잠수사의 추모 영상을 만들던 박종필 감독. 반복되는 깊은 슬픔이 박 감독을 아프게 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곤 합니다.

박종필 감독의 투병과 죽음에 많이 힘들었습니다. 2015년 4월에 우리가 우연히 만나지 않았다면 박 감독이 이렇게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는 일은 없지 않았을까?

그런데 장례 기간에 저 같은 사람을 많이 만났습니다. 지성 아빠 문종택 님은 "세월호의 마지막 싸움은 세월호를 기록하는 일"이라며 박종필 감독을 설득했고, 그래서 탄핵이 성사된 바로 다음 날 박 감독이 목포신항으로 내려간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그렇게 미안해하는 우리들에게 다큐인의 동료인 송윤혁 감독이 박종필 감독의 다이어리에서 보았던 글을 들려주었습니다.

"세월호를 만났다. 세월호는 나에게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더 이상 미안해하지 말자고 다짐하며 이 글을 씁니다. 고 김관홍 잠수사와 이별한 후 박종필 감독이 그랬듯이 남은 우리들은 울면서 촬영을 하고 편집을 하고 글을 씁니다. 그것이 우리의 일이기 때문입니다.

상을 받아도 감사의 말을 들어도 "그저 나의 일을 한 것뿐이다"라고 말했던 박종필 감독. 9월 14일부터 17일까지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에서는 '차별에 저항한 영상활동가 박종필 감독 추모영화제'가 열립니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카메라를 놓지 않았던 박종필 감독의 영화들을 꼭 만나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문의: 시네마달 02-337-2135)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작은책

월간 <작은책>은 평범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부터 시사, 정치, 경제 문제까지 우리말로 쉽게 풀어쓴 월간지입니다. 일하면서 깨달은 지혜를 함께 나누고,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 찾아 나가는 잡지입니다. <작은책>을 읽으면 올바른 역사의식과 세상을 보는 지혜가 생깁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