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6만여 명이 총파업에 들어갔다. 민주노총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18만 명 중 30%가 파업에 돌입한 셈이다. 이들 중 4만여 명이 '최저임금 1만 원'과 '비정규직 철폐', '노조할 권리'를 요구하며 한자리에 모였다.
민주노총은 30일 광화문광장에서 '6·30 사회적 총파업' 대회를 열고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들이 최저임금 만 원을 요구하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비정규직 철폐를 요구한다"며 "또한, 노조 할 권리를 빼앗긴 노동자들이 노조 할 권리를 요구한다"고 이번 파업 배경을 설명했다.
민주노총은 이번 파업을 두고 "전례가 없던 일"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비정규직이 앞장서고 주도하는 파업"은 그간 민주노총 총파업 역사에는 없었다는 것. 그동안 민주노총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총파업 요구사항으로 내세운 적은 있으나 이번처럼 전면에, 그리고 압축적으로 제시한 적은 없었다.
이날 총파업대회 참가자들도 학교 급식 노동자를 비롯해 대학, 병원의 청소·경비 노동자, 건설 타워크레인 노동자 등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주축을 이뤘다.
민주노총 "개혁의 골든타임 놓칠 수 있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파업을 두고 '사회적 총파업'이라고 지칭한 뒤 이번 총파업의 세 가지 기조를 설명했다.
최 대행은 우선 최저임금 1만 원을 두고 "최저임금은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고 청년의, 그리고 국민 모두의 임금"이라며 "이제 최저임금 1만 원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 전사회적 요구가 됐다"고 말했다.
최 대행은 "또한 비정규직을 없애자, 차별 없는 정규직으로 전환하라는 요구는 1000만 비정규직의 요구"라며 "노조 할 권리 역시 교사, 공무원, 특수고용노동자, 탄압받고 해고된 노동자, 청년 알바 노동자, 노동조합이 없는 1800만 노동자 모두의 요구"라고 설명했다.
최 대행은 "이에 오늘 사회적 총파업은 국민 모두의 삶을 지키는 파업"이라며 "모든 노동자의 권리를 위한 총파업"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파업을 두고 문재인 정부의 발목잡기 파업이라는 비판도 일각에서는 제기됐다. 정권 초기에 부담을 주는 파업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 대행은 "지금이야말로 다시 오지 않는 적폐청산과 사회대개혁의 골든타임"이라며 "문재인 정부가 친노동 정부를 표방하고 있지만 개혁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자유한국당, 재벌과 경총, 수구언론과 같은 수구적폐 세력들의 반격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대행은 "그렇기에 우리는 투쟁을 멈출 수 없다"며 "더 빠른 속도로, 더 과감하게 더 올바른 방향으로 노동적폐 청산과 대개혁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신들의 요구 목소리가 커지면 그만큼 문재인 정부의 노동개혁 행보는 더욱 빨라진다는 주장이다.
총파업대회 참가자들, 사전대회 진행
앞서 총파업대회 참가자들은 이날 정오부터 서울 도심에서 각기 사전집회를 열었다. 29일부터 파업에 들어간 학교비정규직노조원 2만여 명은 오후 1시께 광화문광장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사전집회를 진행했다.
병원 청소노동자 등으로 구성된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도 이날 정오 서울대병원에서 사전집회를 열었고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는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문재인 대통령님 소주 한잔 합시다'라는 제목으로 집회를 열었다. 알바노조·청년전태일 등 청년단체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있는 마포구 경총회관에서 규탄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한편, 총파업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광화문광장에서 세종로 사거리를 지나 종로3가에 도착한 뒤 마무리집회를 열고 해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