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20대 취업 증가? 경비·배달 등 단순노무직 위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20대 취업 증가? 경비·배달 등 단순노무직 위주

"청년층 유형화해 대응하는 취업 정책 필요"

지난해 청년층 취업자가 단순노무직 중심으로 늘어나고 청년층 단기계약직 비중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한파를 뚫고 어렵사리 취직했더라도 괜찮은 일자리를 얻지 못한 청년이 많았다는 의미다.

1일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정보분석팀 팀장이 작성한 '최근 청년 고용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20대 취업자는 1년 전보다 6만8천명 늘었다.

취업자가 뒷걸음질친 30대(-3만8천명), 40대(-1만4천명)에 비하면 양적으론 나은 편이지만 늘어난 일자리가 고용의 질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었다.

20대 청년층 취업자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직종은 경비, 배달, 건물 청소 등 단순노무직으로 1년 전보다 2만3천명 증가했다.

그다음이 판매 종사자(2만2천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가 1만6천명 순이었다.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8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고 사무 종사자는 3천명 줄었다.

단기계약직 비중도 확대되는 모습이다.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의 고용 계약기간이 1년 이하인 청년층(15∼29세)은 2006년 8.7%에서 지난해 20.7%로 상승했다. 반면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비중은 같은 기간 66.9%에서 61.1%로 쪼그라들었다.

일자리가 불안정하다 보니 청년층은 일찍 이직을 고민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노동시장을 퇴장한 지 1년 이내인 청년 비경제활동인구의 이직 사유를 보면 15.8%가 노동 시간이나 보수 등이 불만족해서라고 답했다. 이 비중은 2013년 12.0%, 2014년 14.1%로 꾸준히 상승 중이다.

청년 고용 상황이 이같이 악화한 것은 경제 성장률이 둔화하면서 청년층이 선호하는 대규모 사업체의 채용이 주춤하고 있어서다.

실제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신규 채용 직원 수는 1년 전보다 7.4% 증가했지만 300인 이상 사업체에선 3.0% 감소했다.

경제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데다 올해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하면서 청년 고용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4월 대한상공회의소가 1단계 정년연장 적용 대상 기업(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3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2.3%가 정년 연장으로 신규채용 축소가 불가피하다고 답했다.

박 팀장은 "신규 학교 졸업 청년, 니트족, 비진학 고졸 청년 등 청년 특성에 따라 취업역량에 차이가 있는 만큼 청년층을 유형화해 각각에 대응하는 취업 정책을 펴야 한다"며 "괜찮은 일자리 정보를 정기적으로 청년층에 전달하는 통로를 마련해 구인·청년구직자 간 미스매치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