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패배 후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모색을 거듭해온 새누리당이 결국 비대위-혁신위 '투 트랙' 체제로 가닥을 잡았다. 당 대표의 역할을 할 비대위원장은 원내대표가 겸임하고, 별도로 혁신위를 구성하겠다는 것.
민경욱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변인은 11일 오전 원내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대신할 임시 지도부 성격의 당 비대위는 전당대회 실무 준비 등 통상적인 정당 활동을 담당한다"며 "그 위원장은 원내대표가 맡는다"고 밝혔다. 전당대회는 "9월 정기국회 이전"에 마치기로 결정됐다.
민 대변인은 "이와는 별도로 당 혁신위를 구성해 전당대회까지 당 지도체제와 당권·대권 분리 문제, 정치 개혁안 등 혁신안을 완성한다"며 "혁신안에 대해서는 혁신위에 전권을 위임한다"고 했다.
당초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비대위가 당 혁신과 체질 개선 작업까지 맡아야 한다는 '혁신형 비대위' 주장이 나왔으나, 결국 이날 회의 결과는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일상 당무를 맡는 '관리형 비대위'가 된 모양새다.
당 혁신 작업은 별도 혁신위에 맡겨졌으나, 당권과 분리된 혁신위가 얼마나 힘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전당대회까지 (…) 혁신안을 완성한다"며 혁신위 활동 기한을 '전당대회 때까지'로 사실상 못박은 것은 혁신위의 실질적 위상을 제한할 것이라는 관측이 다수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는) 당무를 관장하는 것이고, '강력한 혁신기구'를 두는 형태"라고 강조했음에도 그 '강력함'에 의문 부호가 찍히는 이유다.
회의에 참석한 한 중진 의원은 "(김무성 대표 시절) 최고위원회의가 있었음에도 김문수 위원장이 혁신위를 했었지 않나. 그렇게 혁신안을 만드는 것"이라고 회의 내용을 전하기도 했다. '김문수 혁신위'는 2014년 전당대회 이후 상향식 공천안 등을 만들기 위해 설치된 기구다. 반면 현재 새누리당 내에서 '혁신'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것은 4.13 총선에서 과반을 내주며 참패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새누리당 지도부가 결정한 '관리형 비대위 + 김문수 혁신위형(形) 혁신위' 정도의 방안에서 총선 패배에 따른 절박감이나 위기감이 느껴지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선이 많다.
한편 혁신위원장에는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 참석한 한 중진 의원은 "혁신위원장은 비대위에서 좋은 분들을 접촉할 것"이라고 했고, 다른 참석자도 "정 원내대표가 (적임자를) 고르고 있는 것 같다"며 "외부 인사가 될 것 같다"고 귀띔했다. 혁신위원장 인사는 금주 내 발표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