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강점기 가장 오랜기간동안 전개됐던 우리나라 대표적인 인권운동, '조선형평사(衡平社)운동사료집'이 한 일 학자들의 협력으로 발간됐다.
한일 학자들의 모임인 '형평사 사료연구회'(공동대표 김중섭 경상대 사회학과 교수, 아키사다 요시카즈 전 오사카인권박물관 관장)는 25일, 형평사 창립 93주년을 맞아 사료집을 발간하고 지난 23일 일본 오사카 인권박물관에서 심포지엄을 가졌다.
이날 주제 발표에는 김 교수를 비롯해 일본 교토대 미즈노 나오키 교수, 일본 전국부락사연구회 와타나베 토시오 운영위원 등이 나섰다.
형평사(衡平社)는 1923년 5월 경남 진주에서 당시 천민계급이었던 백정(白丁)들이 주축이 돼 조직한 단체로, 때마침 일본 관서지방에서 치열하게 전개됐던 수평사(水平社) 운동에 자극을 받아 형평(衡平), 즉 평등을 외쳤던 신분해방운동을 말한다.
이후 전국으로 확대돼 일제 강점기에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사회운동으로 차별받는 당사자들이 스스로 차별 철폐와 인권을 주장한 우리나라 대표적인 인권운동으로 평가받아 왔다.
이 책은 당시 조선총독부의 경찰, 검찰, 헌병 등이 이들을 감시하면서 남긴 자료를 집대성한 것으로 국사편찬위원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등에 흩어져 있는 모든 자료들을 망라해 수록했다.
사료집에는 형평사 포스터, 형평사 소식지인 ‘뉴스’, 형평사 전국대회 회의록, 참가자 명단 등 처음 밝혀진 역사적 사실들을 대거 담고 있다.
일제 경찰 등이 형평사 주요 활동가들의 동향과 이력을 세세히 파악해 올린 자료들을 통해 일제가 얼마나 형평운동에 대해 치열하게 감시하고 통제했는지 당시 상황을 적나라하게 알 수 있다.
김중섭 교수는 "지금까지 형평운동 연구는 당시 신문 기사에 주로 의존해 왔는데, 사료집 발간으로 일제의 치열했던 감시와 통제 상황을 광범위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돼 형평사 연구에 상당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며 형평운동의 다각적인 연구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2013년 결성한 '형평사 사료연구회'는 3년 동안 사료집 발간을 위해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학술모임을 열고 자료 보완 작업을 벌여왔다.
지난해 11월에는 경상대 인권사회발전연구소가 형평사 사료연구회와 협력해 '형평운동을 다시 생각한다'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열기도 했다.
앞서 김중섭 교수는 지난해 8월 세계에서 처음 한국의 형평사와 일본의 수평사의 활동을 비교 분석한 <평등사회를 향하여>를 펴낸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