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하 감독의 영화 '울보 권투부'는 재일 조선인학교 권투부 이야기를 다루었다. 권투선수가 울보라는 것이 어색하다. 울보가 될 수밖에 없는 역사적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김철민 감독의 영화 '불안한 외출'은 학생운동을 하다 감옥생활을 하고 출소했지만 가족에게 편지를 쓴 내용 때문에 다시 감옥에 가게 되는 이야기의 영화이다. 사랑하는 아내, 그리고 두 딸과의 소박한 일상을 꿈꾸는 가장의 이야기이다.
마카미 치에 감독의 영화 '우리 승리하리라'는 오키나와 미군기지 건설을 반대하며 오키나와의 평화를 염원하는 영화이다. 제주도와 오키나와는 역사적으로 비슷한 환경이다. 오키나와를 통해 제주의 평화를 살피는 것은 이 시대에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이 영화들의 공통점은 모두 '평화'이다. 평화 영화제이니 상영할 수 있는 영화들이다. 평화 영화제인데 연쇄살인범에 관한 영화나 로맨틱 코미디 영화만을 상영할 수는 없지 않은가. 평화롭지 못한 상황의 문제를 살피고, 어떻게 평화를 구현할지 모색하는 것이 평화 영화제 아닌가.
이번 서귀포예술의전당의 '강정 평화 영화제'에 대한 대관 불허 결정은 평화를 파괴하는 행위이다. 평화를 외치는 사람들의 카메라를 걷어찬 것이다. 평화를 소망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정치 편향적이라고 하는 것이 정치 편향적인 잣대이다.
지금 서귀포예술의전당은 보이지 않는 총을 영화인들에게 겨눈 것이다. 평화 축제의 장에 권력이라는 총을 겨누고 있다. 양은권 관장은 이번 불허 방침이 윗선의 지시인지 아니면 이른바 알아서 긴 조치인지 분명히 밝혀야 한다.
서귀포예술의전당은 시민회관으로서의 기능을 해야 한다. 지역 주민의 예술 향유의 기회를 박탈하고 어떻게 시민의 혈세를 받을 수 있는가. 문화의 다양성이 첫 번째 가치로 존중받는 시대에 자신의 사상과 다르다고 해서 배척하는 일은 문화 공연 시설 기관장으로서의 자세가 아니다.
제주도에는 아쉽게도 예술영화전용상영관이 없다. 독립영화가 설자리가 없다. 몇 년 전에는 제주영화문화센터가 이와 비슷하게 도민의 정서에 반하는 영화는 상영할 수 없다며 영화 상영을 불허한 적이 있다. 그후 제주영화문화센터는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등을 돌린 채 철 지난 흥행작이나 상영하면서 파리가 날리고 있다.
서귀포성당에서 개막작으로 상영하는 김동빈 감독의 영화 '업사이드 다운'은 세월호 참사로 아이들을 잃은 아버지들의 이야기이다. 국가가 아이들을 수장 시키고 이제 평화마저 침몰시키려 하는가.
프레시안=제주의소리 교류 기사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