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을 걷다, 2015
① 압록강 철교 가보니, 레미콘 트럭이 줄줄이…
② "김정은 만세"에서 "산림애호"…달라지는 북한?
③ 북한과 중국 사이, 철조망 세워진 이유는…
북-중 접경 지역 답사 일정이 어느덧 절반을 넘기고 있었다. 내일은 백두산(장백산)에 오를 것이다. 2012년에는 남파와 북파 코스를 통해 천지를 두 번이나 보았는데, 올해는 서파를 통해 올라가서 천지를 볼 예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오늘 그 전진기지인 창바이(長白)까지 들어가야 한다. 압록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오늘이 마지막이 될 것이다. 언제 다시 압록강을 보게 될지 갑자기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압록강 중·상류 지역을 거슬러 올라가는 길에 눈에 들어오는 풍광은 우리의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어 준다. 사는 형편이 어렵다는 강 건너에도 햇살만큼은 따뜻하게 내리쬐고 있었다. 그 따뜻한 햇살 아래 펼쳐진 옥수수밭과 담이 없는 협동농장 농가들,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푸른 산은 낯설지 않았고, 순간순간 눈과 마음을 편하게 해줬다. 우리 오른쪽으로 흐르는 압록강은 8월의 햇살 아래 반짝이는 생선 비늘처럼 강 건너에 사는 사람들의 모든 시름을 뒤로한 채 신의주 쪽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이번에 우리를 안내하는 가이드와 기사는 "이런 일행은 처음 본다"고 말했다. 끊어진 다리만 찾아다니고, 본인들이 지금까지 안내한 적 없는 곳을 찾아가라고 하니 좀 이상하게 생각했던 모양이다. 남들이 찾는 관광지는 마다하고 척박한 오지만을 찾아다니니 그리 생각할 만하다. 그래서 가끔은 길을 잘못 드는 경우도 있었다.
북한의 중강진을 건너다볼 수 있는 린장(臨江)의 망강루(望江樓)를 찾아 갈 때도 그랬다. 내비게이션이 엉뚱한 곳으로 안내하는 바람에 한참을 가다가 차를 다시 돌려 3년 전의 기억을 더듬으며 원래의 목적지 망강루에 오를 수 있었다. 오히려 우리가 가이드와 기사를 안내한 셈이다. 그러다 보니 예정된 시각보다 훨씬 늦게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2012년 중국의 린장과 그 건너편 북한의 중강진을 찾아갈 때 뗏목을 보고 흥분했던 기억이 새롭다. 사실 기대도 하지 않았는데 이번에도 뗏목은 우리 눈앞에 갑자기 나타났다. 일행 중 처음으로 뗏목을 보는 사람도 있었지만, 뗏목이 내려가고 있다는 소리를 듣는 순간 나는 차 안에서 벌떡 일어섰다. 흘러가는 뗏목이 시야에서 멀어질 때까지 계속 사진을 찍었다.
린장의 주요 산업이 임업이라지만, 또다시 압록강 위를 흐르는 뗏목을 목격하다니 참으로 반가웠다. 이 지역이 백두산(장백산)과 가깝기도 하지만, 다른 지역과 다르게 목재를 쌓아 놓은 농가들이 꽤 많았다. 중국의 대표적 임업 도시다웠다. 2013년에 발간된 필자의 <국경을 걷다>에서는 이 뗏목이 중국 것이라 추측했다. 북한에는 이제 베어 낼 나무도 남아 있지 않을 것이라는 당시 일행들의 중론 때문에 그 같은 추측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번에 보니 그것은 오해였다. 강 위를 흐르는 뗏목들이 북한에서 만든 것이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입증해주는 장면을 세 곳에서 목격했기 때문이다.
압록강 상류 북쪽 강가에서 북한 주민들이 뗏목을 조립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상류에서 중류로 떠내려가는 장면, 중강진 근처에서 나무들을 하역해서 트럭에 싣는 장면까지 목격했다. 같은 날에 세 군데서 각기 다른 장면들을 목격한 것이다. 강 위를 흐를 때는 중국 것인지 북한 것인지 분간할 수 없었지만, 강 건너에서 조립부터 하역까지 전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보고 나니, 그 목재들이 북한 것임이 분명해졌다. 결국 뗏목은 목재를 운송하는 북한식 방법이었던 것이다.
생각해보니 중국은 도로도 잘 정비되어 있고, 목재를 실어 나를 운송장비도 충분하기 때문에 굳이 옛날 방식을 고수할 필요가 없겠다는 생각이 비로소 들었다.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북한과 중국이 30~40년의 경제적인 시차를 두고 있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2000년대 초 평양 등 북한 지역에 갈 때마다 남북이 최소 30~40년의 경제적 시차가 있다는 생각은 했으면서도 북-중 간에도 그러할 것이라는 생각은 미처 못 했던 것이다.
압록강 중류에도 하류에서와 같이 관광객들을 태운 유람선과 모터보트가 운행되고 있었다. 물살을 거스르지 않고 천천히 흐르는 뗏목과 물거품을 내며 앞으로 나아가는 중국의 관광 보트가 압록강 위에 대조적인 풍광을 연출했다. 중국 관광객들은 북한을 바라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아마 아련한 기억 속에 남은 그들의 과거를 추억할 것이다. 방망이를 두드리며 강가에서 손빨래하는 북한 아낙의 모습이나 그 옆에서 멱을 감는 어린아이들의 모습에서 나는 부모 세대를 떠올렸다. 북한 쪽을 건너다보고 있노라면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하는 착각에 빠진다.
중강진을 깊숙이 한눈에 내려다보기 위해 지난번 올라갔던 망강루를 다시 찾았다. 비슷한 절기에 왔건만 올해의 중강진은 옥수수가 더 푸르른 것 같았고, 지난번에는 안 보이던 건물들 몇 채가 더 들어섰다. 파란색 지붕을 한 건물은 3년 전 다녀간 뒤에 신축된 듯 보였고, 바로 강 앞에서도 새로운 건물이 지어지고 있었다. 중강진을 바라보면서 상류 쪽으로 차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수리된 가옥들도 제법 눈에 띄었고, 강 옆 들판에는 20여 마리의 흰 염소, 5~6마리의 어미 소와 송아지들이 풀을 뜯고 있었다. 뗏목으로 수송된 목재들이 손질되어 뽀얀 살을 드러내고 쌓여 있는 집도 보였다.
저기가 북한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그리고 그들의 얼굴에서 사라진 엷은 미소라도 다시 찾아볼 수 있다면, 필리핀이나 베트남의 어느 한적한 시골이라 해도 무방할 듯싶었다. 1998년 여름에 북한을 강 건너로 바라보던 그때와는 사뭇 달랐다.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가 아직 계속되고 있는 상황치고는 지금 북한이 2012년에 비해 그리 악화된 것 같아 보이지 않았다. 아니, 어떤 면에서는 나아 보이기까지 했다.
린장을 벗어나 창바이현으로 향하다 보면, 독특한 지형에서 유래한 지명이 있다. '따오거우(道溝)'라는 것인데, 산과 산 사이에 골짜기가 있고 그 골짜기 가운데로 길(道)이 나 있고 그 옆으로 내(溝)가 흘러 압록강으로 흘러들어 가는 지형을 말한다. 압록강 중류에서 상류까지 중국 쪽에 23개의 따오거우가 있는데, 사람 살기에 적당한 지형이라 일찍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이곳 건너편 북한에는 김일성 부자와 연관이 있는 사람들의 이름을 딴 마을이 있다. 빠따오거우(8道溝) 건너편에는 김일성의 아버지 이름을 딴 김형직군이 있고, 쓰얼따오거우(12道溝) 맞은편에는 김정일의 어머니 이름을 딴 김정숙군이 있다. 지난번 답사 때 쓰얼따오거우 건너편 김정숙군은 벽을 하얗게 칠한 집들과 잘 정돈된 도로 때문에 다른 마을에 비해 이름값을 하는 마을인가 싶었다. '역시 좀 다르다'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관리가 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번 답사에서는 신의주나 중강진의 변화와 발전에 비해 김정숙군은 좀 퇴색한 듯한 느낌을 주었다. 다른 마을에 비해 정지되어 있다 보니 오히려 퇴보한 것처럼 보였다. '한 다리 건너 천 리'라더니 김정은 시대에 증조할아버지나 할머니는 이제 '찬밥'이 되어가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북한에서는 지금 김정은의 생모인 고영희에 대한 우상화가 한창이다.
해가 떨어질 무렵 창바이시에 도착했다. 눈앞에 펼쳐진 혜산시의 아우라는 석양인데도 불구하고 역시 다른 데가 있었다. 비록 강 건너에서 바라본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규모와 주민의 활동 등에서 다른 강변 마을에선 찾아볼 수 없는 것들을 볼 수 있었다. 공동주택인 아파트도 많고, 공장으로 보이는 굴뚝 높은 건물들도 있었다. 혜산에서도 산 중턱에 걸려있던 입간판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 만세'는 '산불 조심'으로 바뀌어 있었다.
올해 2월 김정은이 대대적인 산림 녹화 사업을 제기한 이후, 4월엔 이 사업을 책임진 내각 국토환경보호성 산하 산림총국이 국방위원회 산하로 재편되었다고 한다. 산림 폐해의 심각성을 알고 김정은의 지휘하에, 앞으로는 국방위원회가 산림조성계획과 산림보호계획을 총괄적으로 지휘해 나갈 모양이다. 산 중턱의 구호가 우상화 대신 '산림애호', '산불조심'으로 바뀌었다고 호들갑을 떠는 것은 아니지만, 그 많던 구호들이 접경 지역에서 모습을 감춘 것은 변화라면 큰 변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가 기우는 시간이라 3년 전처럼 강에서 멱을 감고 물장구치는 아이들의 모습은 볼 수 없었다. 대신 이번에는 강둑의 작은 텃밭에서 어두워질 때까지 허리 숙여 일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었다. 한둘이 아닌 여러 명이 각자 떨어진 장소에서 물을 주기도 하고 엎드려 일을 하기도 하는 등 텃밭의 작물들을 관리하고 있었다.
우리가 보기에는 도저히 작물 재배가 될 것 같지 않은 곳에서까지 채소를 키우는 주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안쓰럽기도 했지만, 그들이 일하는 모습이 하도 진지했기에 그 이유가 궁금했다. 거기서 수확되는 것이 오롯이 자신의 몫이 되기 때문에 저렇게 열심히 일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김정일 시대인 2000년대 중반 이른바 '7.1 경제 관리 개선 조치' 시대에 이미 총리를 지낸바 있는 박봉주가 김정은 시대에 다시 총리로 복귀한 뒤, 2014년 5.30조치를 발표하고 자율 경영제를 도입하더니, 그 효과가 저런 데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