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1964년 영국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한 개념이다. 신사 계급을 뜻하는 '젠트리'에서 파생된 말로 런던 내부에서 일어난 저소득층 거주지역이 고소득, 중산층의 거주 지역으로 대체되는 도시변화 현상을 설명할 때 처음 사용됐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은 중산층이 도시 내부 낙후된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기존 시설이나 주택 등이 개선되는 등 주거환경의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지대가 상승하여 기존 거주 도시노동자 및 빈민계층이 임대료 상승을 감당하지 못하고 타 지역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현재'의 한국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는 이야기다. 대표적인 게 뉴타운 사업이다. 사업성을 염두에 두다 보니 영세한 원주민들은 사업 이후 쫓겨나고 그 자리를 부유층이 대신 차지하는 구조가 굳어졌다.
하지만 한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주거지역보다는 상업지역에서 더욱 도드라진다. 도식을 그려보면, 임대료가 저렴한 도심에 스튜디오, 갤러리, 공방 등 예술가들의 거점이 생기면서부터 시작된다. 이를 따라 문화인들이 즐겨 찾을 만한 카페, 식당이 문을 열면서 이곳이 소위 ‘물이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손님들이 늘어나기 시작한다. 손님이 몰린다는 소문이 나면 더 많은 카페와 식당이 개점하고 이후 대형 식당과 술집 등이 우후죽순 생겨난다.
문제는 이렇게 상권이 형성되면 땅값과 임대료가 천정부지로 치솟는다는 점이다. 자연히 애초 상권을 만들었던 예술가, 문화인, 그리고 소규모 카페, 식당 운영자들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그곳을 떠날 수밖에 없다. 그러면 그 빈 공간에 대형 프랜차이즈가 들어온다. 결국, 특색 있던 동네가 또 하나의 대규모 상업지구로 전락하게 되는 식이다.
가수 싸이가 잘못한 일일까?
갑자기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를 꺼내는 이유는 한남동에 있는 카페 '테이크아웃드로잉(Takeout Drawing)'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다. 가수 싸이가 건물주인 이곳 카페는 지난 3월 강제집행을 당할 뻔했다. 지금도 강제집행을 당할까 걱정하며 가게를 운영하고 있다. (☞ 관련기사 : "'문화대통령' 싸이가 쫓아낼 줄은…")
기사가 나간 뒤, 여러 곳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접했다. 건물주인 가수 싸이의 도덕성을 질타하는 이부터 강제집행이 법적으로 문제없는 것 아니냐는 의견까지….
사실 가수 싸이가 자기 건물에 권리를 요구하며 기존 세입자에게 나가라고 요구하는 것은 '소유권 중심'의 한국 부동산 구조에서는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수십억의 빚을 지고 건물을 샀는데, 최소한 이자비용은 뽑아내야 하지 않겠나.
하지만 그간 상권을 만들고 발전시켜온 세입자들이 언제까지 이렇게 쫓겨나야 하는지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 '테이크아웃드로잉'은 문화‧예술 공간의 목적을 지니고 운영되고 있다. 오랜 준비기간을 거쳐 만들어진 일종의 문화공간이다. 카페 운영자인 최소연 씨의 말에 따르면 이 카페가 만들어질 때인 2010년만 해도 인근 상권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고 한다. 최 씨가 '굳이' 이곳에 카페를 만든 이유기도 했다. 과거 성북동 등에서 누차 쫓겨난 그였다. 10년 이상 장사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했다.
그러나 카페를 만든 이후 하나둘 씩 카페, 식당 등이 만들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상권이 형성됐다. 문화‧예술 공간에 목마른 젊은이들이 이곳을 찾기 시작했고 자연히 건물 가격도 상승했다. 해당 건물은 2010년 최초계약 당시 30억여 원에 불과했으나, 두 번째 건물주에게 팔릴 때는 63억 원, 세 번째 건물주인 가수 싸이가 계약 맺을 때는 78억 원이었다. 현재 시세는 100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챙긴다?
최 씨 입장에서는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챙기는 식이다. 문제는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는 점이다. 소위 말하는 '뜨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이미 진행됐거나 진행 중이다. 젊은이의 거리라 불리던 신촌은 물론 홍대 거리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된 지 오래다.
요즘은 과거 조용한 한옥마을이었던 경복궁 인근 삼청동·북촌·서촌이 진통을 겪고 있다. 2010년 이후 젊은 예술가들의 활동지로 주목받았던 이곳은 점차 상권이 형상되면서 문화를 만들어온 예술가들이 쫓겨나기 시작했다.
건물주가 법에 따라 기존 세입자를 해제하고 다른 세입자와 계약을 맺는 것을 누가 뭐라고 할 수 있을까. 하지만 그동안 카페를 문화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그리고 보다 많은 손님이 오도록 노력한 기존 세입자의 노력은 어디에서 보상받아야 할까.
물론, 그 노력은 권리금이라는 게 있지만, 일방적인 계약해지를 주장하는 싸이 측의 완강한 태도 앞에서는 그것조차 요원하다.
문화‧예술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와 그에 따라 형성된 상권은 누구의 것도 아닌 공공의 자산이다. 하지만 건물주는 '소유권'을 주장하며 그것마저도 자신의 것임을 강조한다. 이는 한남동 건물주인 가수 싸이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