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간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 <대통령의 시간>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세종시 관련 내용에 대한 청와대의 공식적인 반박,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관련 내용에 대한 문재인 의원의 반박 등 전현직 정권과 정치적 충돌을 야기하고 있다.
또 북한에서도 MB 회고록에 대해 "거짓말투성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4일 '뭇매맞은 정치무능아'라는 제목의 단평에서 "(이 전 대통령이) '회고록'을 쓴다는 것도 가관이지만 자기 치적을 광고하려고 염치없이 놀다가 동네북 신세가 된 것은 더욱 꼴불견"이라면서 이같이 비난했다. 노동신문은 그러나 회고록에 실린 남북정상회담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추가적인 입장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또 외교, 안보 관련 내용이 대통령 기록물 관련 법 위반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회고록 집필을 총괄한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회고록 집필 과정에서) 대통령이 위임한 사람이 대통령기록관에 가서 대통령기록물을 수차례 열람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 2월 3일 보도) 이 전 대통령 쪽은 이 행위에 위법의 소지가 없다고 했지만, 형법의 '공무상 비밀누설'과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기록물관리전문위원회 측은 오는 24일 1분기 전체회의를 여는데 이에 대한 검토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jtbc, 2월 3일 보도)
정치인, 언론인 등의 회고록 관련 비평도 잇따르고 있다. 보수진영에서도 비판이 나온다.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은 4일 이 전 대통령의 회고록 출간에 대해 "매를 번 것", "기분이 안 좋은 사람들의 뺨을 한 대씩 때린 격"이라는 등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 주목을 받았다.
보수 논객인 중앙일보 김진 논설위원은 4일 'MB 회고록, 반쪽짜리 용기'라는 칼럼에서 "대통령의 회고록은 사사로운 개인 기록이 아니다. 역사에 대한 국가의 보고서다. 그러므로 회고록엔 냉혹한 진실과 심장 떨리는 참회가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명박(MB) 회고록은 반쪽짜리다. 공적은 대로(大路)에 있고 잘못은 골목에 있다"고 평가했다.
2008년 금융위기 극복에 대한 극찬을 칼럼 서두에서 했지만, 칼럼 말미엔 흥미로운 '지적'이 나온다. 김 논설위원은 "MB에겐 중요한 실책 3개가 있다. 이상득·박근혜 그리고 연평도다. 이것에 관한 진실이 책에는 없다"고 지적했다.
"국민의 소리를 들었다면 MB는 이상득 사태를 막았을 것이다. MB가 집권하자 많은 국민이 형님의 출마를 반대했다. 역대 정권에서 벌어졌던 친·인척 재앙을 기억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MB는 잘못된 혈연에 매달렸다. 결국 형님에게 사람과 돈이 몰렸다. 형님은 자원외교로 피했지만 그것도 비정상이었다. 마침내 터질 게 터졌다. 김영삼(YS) 아들 현철은 은행 계좌, 김대중(DJ) 아들 홍업은 아파트 베란다, 노무현 가족은 라면상자에서 돈이 나왔다. 형님 이상득은 장롱이었다. 형님의 친구와 보좌관, 대통령 친구, 대통령 부인의 사촌오빠도 감옥에 갔다.
이명박 그룹은 권력의 칼을 마구 휘둘렀다. 2008년 총선 때 친박계를 학살했다. 박근혜는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고 절규했다. 유권자는 박근혜를 살리고 MB를 징벌했다. 박근혜를 잘못 다뤄 MB는 시련을 겪었다. 광우병과 세종시에서 MB는 필요한 협조를 받지 못했다. 갈등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회고록의 연평도 기록은 무책임한 것이다. MB는 한국군이 제대로 응징하지 못한 걸 군의 탓으로 돌렸다. 잘못된 교전수칙에 사로잡혔다는 것이다. 아니 군의 최고 명령권자가 누구인가. 대통령 아닌가. 연평도 8개월 전에 이미 천안함이 터졌다. MB는 그때 북한 소행이란 걸 알았다. 그렇다면 그는 앞으로 천안함까지 합쳐 북한을 응징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어야 했다. F-15K 같은 무기체계도 공부하고 지휘관들과 응징작전을 협의해 뒀어야 한다. 그런 대비를 하지 않았다가 막상 일이 터지자 책임을 아래에 돌렸다."
김 위원은 "이니셜(initial)의 운명인가. MB는 끝내 Memoir Barrier(회고록 장벽)를 넘지 못했다"고 칼럼을 마무리 지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