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연쇄살인마 갑동이… 살아 있네, 이 드라마!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연쇄살인마 갑동이… 살아 있네, 이 드라마!

[TV PLAY] tvN 미스터리 감성 추적극 <갑동이>

지난 11일(금) 첫 방송 된 tvN <갑동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범죄사건 중 하나인 화성연쇄살인사건을 모티브로 삼았다. 잘 알려졌듯 연극 <날 보러 와요>와 영화 <살인의 추억>으로 만들어진 사건이기도 하다. <갑동이>의 제목은 ‘잭 더 리퍼’나 ‘조디악’처럼 미제사건으로 남은 연쇄살인범에게 붙여진 닉네임을 의미한다. 이름도 얼굴도 직업도 모르기에 그 놈이라고도 그 사람이라고도 할 수 없는 미지의 존재, 누군가에게는 짐승으로 불리는 범인은 ‘갑동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 드라마 <갑동이>. ©tvN
연쇄살인사건이 스릴러 장르의 단골 소재가 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캐릭터와 사건을 굴비처럼 주렁주렁 엮을 수 있기 때문이다. 범인에 피해자, 피해자 가족, 수사 담당 경찰은 기본이고 여기에 목격자, 용의자와 그 가족, 수사기관 고위 관계자, 언론 등이 이야기의 넝쿨을 타고 얽혀 한없이 뻗어나갈 수 있다. 죽어서 말을 할 수 없는 피해자와 그 한을 고스란히 짊어지고 살아가야 하는 가족, 범인을 잡지 못했다는 부채감을 갖는 경찰과 섣부른 오해와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한 용의자 등 인물들 나름의 입장과 이해관계가 상충하며 갈등이 발생한다. 그리고 <갑동이>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어느 밤, 시골길을 걷던 소녀를 덮친 검은 그림자 하나. 결국 주검이 되어 발견된 소녀. 하지만 그 밤의 피해자는 비단 그만이 아니었다. 우연히 범죄 현장을 지나가다 목격자가 된 또 다른 소녀. 그리고 범인은 잔인한 게임을 건다. 누구를 살리고 누구를 죽일 것인가. 둘 중 주검이 된 이는 누구이고 살아남아 평생 잊을 수 없는 기억을 안게 된 이는 누구인가. 그리고 소년 한 명이 있다.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를 듣고 불길한 예감에 휩싸여 현장을 달려간 그는 동자승이다. 그런데 손에 어울리지 않게 쌍절곤이 들려 있다. 그는 무엇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싶었던 걸까? 아니면 무언가를 공격해야 할 이유가 있었던 걸까?

17년 후의 세월이 흐른 뒤 동자승은 ‘똘중(또라이중)’이라 불리는 강력계 형사가 되었고, 소녀는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그리고 두 사람은 ‘내가 진짜 갑동이다’라는 낙서와 함께 돌아온 갑동이의 기억 앞에서 만난다. 형사가 된 무염(윤상현)은 갑동이 용의자 중 한 명의 아들이다. 소위 ‘동네 바보’라 불리는 모자라는 아버지였지만 그의 무죄를 믿는 무염은 진짜 갑동이를 잡기 위해 경찰이 되었다.

그리고 또 한 명의 경찰 양철곤(성동일). 무염의 아버지를 유력한 용의자로 여긴 이유로 무염과 질긴 악연을 맺은 그는 사실 무염만큼이나 갑동이라는 이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과학수사도 인권도 익숙한 단어가 아니던 시절, 무모하리만큼 열정적이고 그래서 미숙했던 젊은 철곤은 결국 범인을 잡지 못했다. 무염과 철곤이 재회한 지금은 갑동이의 공소시효마저 지나버린 시점이지만 두 사람은 각기 다른, 하지만 결국에는 같은 이유로 다시 잠들지 못하는 밤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 드라마 <갑동이>. ©tvN
사실 <갑동이>는 실화, 원작 연극과 영화의 그림자가 명백한 쉽지 않은 경기를 시작했다. 결국 긴 호흡의 드라마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은 캐릭터와 서사를 풍성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때 <갑동이>는 이를 잘 알고 있는 듯하다. 우선 범인, 용의자의 아들, 경찰, 살아남은 목격자에 더해 갑동이를 “나의 신, 나의 영웅”이라 부르는 젊은 사이코패스 류태오(이준)에 살인마를 다루는 웹툰을 연재하는 고등학생 마지울(김지원)까지 여러 캐릭터를 무대에 올렸다. 20부작으로 시간이 충분한 만큼 각 인물들을 통해 할 수 있는 이야기도 만들어낼 수 있는 갈등의 여지도 많다. 하지만 이는 반대로 그만큼 풍성한 상차림을 할 수 없다면 너무 많이 알려진, 너무 많이 소비된 이야기에 별로 매력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을 자리에 앉혀둘 수 없다는 의미기도 하다.

사실 <갑동이>의 초반 시선을 끄는 무염과 철곤의 날 선 대립은 그들의 캐릭터만큼이나 다소 전형적이었다. “잊을 수 있는 사람은 잊어야지”라고 말하지만 정작 자신은 절대로 잊지 못하는 무염과 “마누라 잃고 자식새끼 아픈 것”이라는 대사를 통해 그 역시 쉽게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안고 있는 철곤의 갈등은 영리하지만 예상 가능한 한 수였다. 그럼에도 <갑동이>를 조금 더 지켜보고 싶은 건 연쇄살인사건을 풀어가는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여전히 이 캐릭터들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권음미 작가에 대한 기대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난 2011년 MBC <로열 패밀리>를 쓴 권음미 작가와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그 때 그가 한 이야기 중 오랫동안 마음에 남았던 문장이 있다. 어떤 인물상을 좋아하냐는 질문에 대답으로 들려준, ‘자기가 처한 운명보다 더 나은 인간이고자 하는 욕구에 매력을 느낀다는 것’이다. 권은미 작가가 <로열 패밀리>의 인숙(염정아)을 통해 보여줬던, 어떤 상황과 선택으로 인해 극한의 처지로 몰리는 와중에도 자신을 지키고자 몸부림치는 모습에서 나오는 처연함과 강인함 같은 것을 <갑동이>에서도 만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스릴러물로서 평타 이상을 치며 출발하긴 했지만 <갑동이>가 ‘미스터리 감성 추적극’이라는 애매한 장르명 이상의 무엇을 보여주길 기대하는 입장에서 권음미 작가의 분투를 바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