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화마 지나간 자리엔 스티로폼으로 만든 임시주택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화마 지나간 자리엔 스티로폼으로 만든 임시주택이…'

[현장] 포이동 주민 "대책없이 무턱대고 나가라고만 한다"

화재 이후 집을 잃은 마을 주민은 마을회관으로 사용한 3층 임시 건물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었다. 여성은 1층 실내에서, 마을 아이들은 3층에서 생활한다. 남성은 임시 건물 앞 도로에 임시로 만든 천막에서 잠을 자고 있다. 100여 명이 넘는 사람들이 좁은 곳에서 잠을 자는지라 '칼'잠을 잘 수밖에 없다.

밥도 마을 주민 모두가 함께 먹는다. 돌아가면서 식사당번을 정한다. 냉장고도 수저도 모두 함께 쓰고 있었다. 이 모든 생활이 불편하지만 달리 방도가 있는 건 아니다. 지난 6월 12일 발생한 화재로 96가구 중 72가구 집이 불타 없어진 강남구 '포이동 266번지'(개포4동 1266번지)의 이야기다.

"무턱대고 쫓아낼려고만 하니 어떻게 하겠나"

화재 나흘 뒤인 지난 6월 16일,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포이동 화재 주민에게 임대주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주민은 임대주택에 가면 변상금 때문에 어렵게 마련한 보증금이 가압류당할 거라는 우려를 하고 있다.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시유지에서 20년 넘게 살아온 주민에게 불법점유자라며 토지변상금을 총 25억여 원 부과했다.

더구나 이곳에서 20년 넘게 고물상 등을 통해 근근이 살아왔는데 이제 와서 다른 곳으로 이전해, 새 직업을 찾는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이곳 주민 중 70%가 고물상 일을 하고 있다. LH공사 소유 '화재 지원 가능 주택' 13곳은 모두 양천구, 강서구, 은평구 등에 소재한 주택들이다. 여기로 이전할 때 마을 주민은 모두 뿔뿔이 흩어져야 한다.

▲ 임시 집을 짓고 있는 포이동 주민들. ⓒ프레시안(허환주)

최근에는 서울시가 화재현장에 40개의 컨테이너를 지어준다고 했다. 하지만 마을 주민은 이를 역시 거절했다. 화재를 당한 75가구에 턱없이 부족한 40개의 컨테이너에 임시로 들어가 살라는 건 현재의 공동생활보다 못하다는 것. 무엇보다 근본대책이 마련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약 없이 컨테이너에 들어가는 게 마음에 걸렸다.

결국, 기다리다 못한 마을 주민이 화마가 지나간 자리에 새집이 만들었다. 공부방 1채, 독거노인 숙소 3채 등 스티로폼으로 만든 조립식 집 4채를 2일 지었다. 강남구청에서는 주민이 주거시설을 다시 만들 경우, 공권력을 투입해 강제로 철거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으나 소용없었다.

조철순 포이동 266번지 주민대책위원장은 "우리가 바라는 건 그냥 이곳에서 살던 대로 살게 해달라는 것뿐"이라며 "불이 났다고 다른 곳에 가서 살라고 무턱대고 쫓아내려고만 하니 누가 나가겠나"라고 반문했다.

조 위원장은 "사람이 살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만들어줘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있는 게 서울시와 강남구청"이라며 "결국 주민이 자구책으로 이렇게 조립식 집을 짓게 됐다"고 설명했다.

ⓒ프레시안(최형락)

ⓒ프레시안(허환주)

ⓒ프레시안(허환주)

ⓒ프레시안(허환주)

▲ 마을 회관 도로에 설치된 천막. 이곳에서 마을 주민들 중 남성이 숙식을 해결한다. ⓒ프레시안(허환주)

ⓒ프레시안(최형락)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