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전당대회는 변화를 위한 마지막 기회"라며 "변화하지 않으면 한나라당의 미래가 없으며, 이번엔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치는 갈등을 조장하는 것이 아니라 해결하는 것"이라며 8월로 예정된 오세훈 서울시장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해 "주민투표를 철회, 정치적 타협을 이뤄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대학생 등록금 문제는 느긋하게 대처할 문제가 아닌만큼 최우선적으로 국민이 납득할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치솟는 물가를 반드시 잡을 것이고, 고용 기반을 두텁게 하는 정책, 중소기업과 지역 상권을 살리는 정책도 정교하게 다듬어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 의원은 16일 등록금 문제를 포함한 세부적인 고등교육 정책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이 15일 국회에서 당 대표 출마를 공식 발표했다. ⓒ뉴시스 |
"직전 지도부, 당-청관계 쇄신 실패해놓고 또 나오면 국민이 신뢰하겠나"
남 의원은 출마 발표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특정 세력과 연대할 생각이 없다"며 "전대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쇄신파의 지원이나 친박계와의 연대가 뒤따를 순 있겠지만, 가치와 정책적인 연대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뒤따를 수 있는 것일 뿐 선거를 위한 연대는 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역시 출마를 고려 중인 홍준표 전 최고위원과 지지층이 겹치지 않겠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선 "아직 출마 발표를 안 하셨기 때문에 뭐라고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친박계와의 연대를 통해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서 이길 수 있었던 쇄신파로서는 이번에도 친박계의 '표심'이 중요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남경필 의원 입장에선 최근 친박계 일부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홍 전 최고위원이 만만치 않은 경쟁자일 수밖에 없다.
이밖에도 남 의원은 김무성 전 원내대표, 원희룡 전 사무총장, 나경원 전 최고위원 등이 출마를 고려중인 것에 대해 "책임론을 제기할 생각은 없다"면서도 "지난 전당대회에서도 당의 쇄신과 수평적 당-청 관계를 공약으로 내걸었던 분들이, 결국 실패하고 나서 똑같은 약속을 하고 나온다면 국민이 믿겠느냐"며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새로운 한나라' 등 쇄신파의 대표 주자로 꼽히는 남경필 의원은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정두언 의원과 단일화를 선언하며 후보직을 사퇴한 경험이 있는 만큼, 정 의원을 필두로 한 소장파 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두언 의원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좀 더 젊고 민주적이고 개혁적인 사람이 당 대표가 되어야 국민들이 한나라당에 시선을 돌릴 것"이라며 "개개인에 대해선 뭐라고 얘기할 수 없지만, 저는 지난 재보선 책임을 지고 불출마를 선언했다. 책임을 지겠다고 물러선 마당에 바로 전당대회에 출마한다는 게 앞뒤가 안 맞는 얘기였기 때문"이라며 재출마를 고려 중인 직전 지도부를 에둘러 비판했다.
박진·남경필 이어 당권주자 '출마 러시' 시작
남경필 의원의 출마 선언으로 이번 전당대회 출마를 공식화한 사람은 3선의 박진 의원에 이어 2명이 됐다.
이밖에도 전대 출마 예정자로는 친이계의 김무성 전 원내대표, 원희룡 전 사무총장, 나경원 전 최고위원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박근혜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친박계 유승민 의원도 곧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보인다.
'비주류'를 자처하는 홍준표 전 최고위원의 경우, 빠르면 이번 주말께 출마를 공식화할 전망이다. 전여옥 의원 역시 이미 출마 의사를 밝힌 상태다.
한편, 여론조사에선 홍준표 전 최고위원이 한나라당 차기 대표로 가장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경제>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0~11일 이틀 동안 전국의 성인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15.5%가 차기 한나라당 대표로 홍준표 전 최고위원을 꼽았다.
이어 나경원 전 최고위원(9.8%), 김무성 전 원내대표(7.8%), 원희룡 전 사무총장(5.1%), 남경필(3.2%), 권영세(2.5%), 박진(1.2%), 전여옥(1.2%), 유승민(0.8%), 심재철(0.6%) 의원 순이었다. 이번 전당대회는 여론조사 결과가 30% 반영되고 선거인단 역시 21만 명으로 확대돼, 후보들의 대중적인 인지도가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