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변호사의 말에 청중은 폭소를 터뜨렸다. '21세기의 실학운동'이란 슬로건으로 출범한 희망제작소의 창립 5주년 컨퍼런스 '잘하고 있습니까'에서였다. 희망제작소는 19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지난 5년 동안의 활동을 평가 받는 자리를 마련했다.
희망제작소가 그간 활동을 통해 우리 사회에 던지는 화두는 무엇이었을까. 희망제작소는 시민들의 참여를 기본으로 여러 사회 문제에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활동해왔다. 지난 5년 동안 다양한 거버넌스 모델을 실험했다. 시민사회 의제를 공공영역과 기업에 소개하고, 기업의 방법론을 시민사회 영역에 전했다.
이들은 다소 도발적으로 '잘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이날 패널로 참석한 각계 인사들에게 던졌다. 대부분이 "잘하고 있다. 좀 더 잘해라"였다.
"희망제작소, 그간 잘해왔다. 더 잘해야 한다"
이날 컨퍼런스에 참석한 패널들은 대부분 희망제작소가 진행해온 지역사회 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희망제작소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다양한 지역의제들을 주민들에게 소개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공공영역에서 흡수하도록 뒷받침해왔다. 또한 시민단체, 풀뿌리 단체들을 지원하는 중간지원기관으로서의 역할도 해왔다.
박진도 충남발전연구원 원장은 "희망제작소에서 한 활동은 상당하다"며 "하지만 지금까지 해왔던 대로 지역에서 활동하는 그 자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2006년, 희망제작소 발족식 현장. ⓒ연합뉴스 |
박 원장은 "지방에 많은 조직이 있지만 활동가들은 빈약하다"며 "활동가가 생산되지 않으면 아무런 일도 하지 못한다. 취약한 조건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일을 잘 할 수 있을지, 어떻게 활동가를 만들어 낼지 등을 고민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형제 울산대학교 교수도 지역 사회에서의 인재 양성을 당부했다. 조 교수는 "지역에 있으면서 헌신적으로 활동하는 유능한 활동가들이 도중에 좌절하고 생업에 종사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며 "우리 사회가 풀뿌리 민주주의를 표방한다고 하지만 그 저변은 예전과 다를 바 없이 척박하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지역 활동가들에게 구체적인 능력 배양과 비전을 제시해주는 재생산 프로그램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건 지역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희망제작소는 브랜드 효과가 있기 때문에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좋은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희망제작소 잘한 부분 있지만 한계도 분명 있다"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 소장은 희망제작소의 활동을 '소꿉장난'이라고 정의 내렸다. 잘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한계도 분명 있다는 것.
"희망제작소가 아이디어를 파는 곳이라고 정의 내린다면 고객은 누구인가. 이것을 생각하면 희망제작소가 무엇을 하는 곳인지 명확히 알수있다. 고객을 상류, 중류, 하류로 나눈다면 상류은 대통령, 정당, 중앙 관료라 할 수 있다. 중류은 지방 관료라고 볼 수 있고 하류는 개인이나 마을이라 할 수 있다."
김 소장은 "상류 담론에는 기업규제, 사법질서, 조세질서 확보 등이 들어 있다"며 "여기에는 당연히 이해관계자의 갈등이 생길 수밖에 없다. 결국 상류 고객을 위한 아이디어에는 당파성이 띨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희망제작소는 상류 쪽을 터치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 하는 건 중류와 하류 뿐"이라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그러다 보니 짜여진 틀 속에서 집행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할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만을 팔고 있다"며 "이건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중류 이하의 아이디어에는 민주노동당이나 한나라당의 차이가 없다. 당파성이 약하다"며 "그렇기에 희망제작소가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을 지원하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고 언급했다. 희망제작소는 2010년 6.1 지방선거에서'한나라당 후보와의 정책 협약'을 맺어 진보 진영에서 질타를 받은 바 있다.
"희망제작소, 어떻게 나가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현재 한국 사회 이념 지형에서 '당파성'에 논란은 필연적이다. 박인규 <프레시안> 대표는 이명박 정부 들어 희망제작소 박원순 변호사가 고소를 당한 것을 예로 들며 "당시 박원순 변호사는 자신이 억울하다고 생각을 했다"며 "박 변호사는 여야를 떠나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을 하는 데 그런 것을 무시하고 자신을 억압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나 역시 희망제작소가 정치권력, 여야, 양극화된 진영 중간에서 구심점, 통합의 역할을 해주길 바랬고 실제 그런 일을 해왔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하지만 그럼에도 이명박 정부는 희망제작소를 적 비슷하게 규정했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진보진영에서도 마찬가지다. 희망제작소가 삼성에게 돈을 받으면 언짢은 소리를 한다"며 "이렇게 양극화된 시각으로 희망제작소를 바라보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이런 상황에서도 희망제작소가 통합의 역할을 해주길 바라지만, 어느 편이냐고 묻는 현재의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고민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