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일대를 테러나 시위로부터 안전한 '안정화 구역'으로 만들고자 최근 차단시설물 제작을 위한 업체 선정 공고를 냈다.
▲ 15일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정상회의가 열리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주변을 테러나 시위로부터 안전한 '안정화 구역'으로 만들고자 최근 차단시설물 제작을 위한 업체 선정 공고를 냈다. 사진은 안전방호벽의 예상 완성도. ⓒ연합뉴스 |
차단시설물은 시위대의 접근이나 차량 테러를 막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며,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 형태의 콘크리트 하단부와 플라스틱 벽으로 만든 상단부로 구성된다. 하단부 콘크리트 구조물 높이는 0.9m, 상단부 플라스틱 벽 높이는 1.3m로 설계돼, 총 높이가 2.2m에 달한다. 또 개별 구조물의 폭은 2m로, 총 800개의 구조물을 모두 연결하면 전체 길이가 1.6㎞에 달할 전망이다.
경찰은 회의 기간 크레인을 동원해, 회의장 주변의 집회·시위 상황에 따라 이 시설물을 탄력적으로 재배치할 방침이다. 높이 2.2m, 최대 길이 1.6㎞로 사람의 키로는 안을 들여다 볼 수도 없는 '코엑스 산성'이 회의장을 둘러싸는 셈이다.
'정상 아닌' G20 정상회의 경호…군대 동원 '계엄법'에 검문 강화까지
오는 11월1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대해 정부가 단속 및 경호 방침을 강화하면서, 인권 침해와 과잉 단속 논란이 곳곳에서 일고 있다. 정부는 '국격 상승'의 기회라며 1년 전부터 강한 경호 대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 가운데에는 회의장 주변에서 시민을 검문·검색하고 출입을 제한하는 조처는 물론,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시행됐던 '거리청소'식의 노점상·노숙자 단속도 포함돼 있다. 인권단체들이 "1박2일 행사를 빌미로 사회적 약자의 인권을 탄압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이유다. (☞관련 기사 :"G20 개최의 조건? 노숙인·노점상은 나가 있으라고?")
먼저 한시적이긴 하지만 G20 정상회의 기간 동안 열리는 집회 및 시위에 군대까지 동원할 수 있도록 한 경호안전특별법이 "계엄령의 회귀"라는 비판 속에 지난 5월 국회를 통과됐다. 이 법에는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장소와 각국 정상 및 국제기구 대표의 숙소, 이동로 등 정상회의와 관련있는 장소와 그 주변을 '경호안전구역'으로 설정하고, 이곳에서의 검문·검색, 출입 통제, 위험물 탐지 등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법안은 G20 정상회의에 앞서 내달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46일간 적용된다.
정부는 또 정상회의가 열리는 코엑스에는 주변 600m 안쪽에 38개 검문소를 설치해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구청을 통해 신분이 확인된 지역 거주자들은 검문소에서 간단한 확인 절차를 거치지만, 거주자가 아닌 경우 신분증 및 소지품 검사를 받고 방문지와 방문 목적 등을 설명해야 한다.
이에 인권단체들은 "2005년 APEC 정상회담 등 여러 국제회의에서 기존 집시법으로도 큰 무리없이 행사를 치렀는데, 특별법까지 만들어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고 계엄 분위기를 조송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진보진영, 'G20 공동대응기구' 꾸린다
한편, 진보진영은 연대기구를 출범해 G20 정상회의에 공동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참여연대·민주노동당·한국여성단체연합 등 5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정당들은 15일 오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사람이 우선이다! G20 대응 민중행동(G20민중행동)' 출범식을 열었다.
G20민중행동은 △위기를 개발도상국과 민중에게 전가하는 G20 규탄과 신자유주의 금융 세계화의 문제점 비판 △G20을 빌미로 민주주의·인권·노동권을 탄압하는 이명박 정부 규탄 등을 공동기조로 삼고 앞으로 2달여 동안 활동할 예정이다.
이들은 내달 1일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G20을 빌미로 한 MB정부의 민주주의 인권탄압 규탄 국제 공동행동의 날' 행사를 열고, 같은 달 21일에도 경북 경주시에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회의' 규탄 투쟁을 벌일 방침이다.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11월 둘째 주(6~12일)를 공동행동 주간으로 삼고, 11월8~10일 '서울국제민중회의', 11월11일 '국제 민중 공동행동의 날' 등의 행사를 열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