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수능 개편안이 발표됐다. '수능 부담을 줄인다'는 취지이지만 몇몇 개편 내용은 '교과목 간의 통합적 문제 출제'라는 당초 수능 도입 취지를 훼손해 사실상 학력고사 시대로 돌아가는 내용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현직 사범대 교수의 문제제기를 싣는다. <편집자>
중장기대입선진화연구회(연구회)가 지난 19일에 발표한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의 핵심은 복수 시행, 수준별 시험 도입, 과목 대폭 축소의 세 가지다. 연구회는 이번 개편이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부담을 줄인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여 주는 결정적 내용은 아마도 탐구영역에서 단 한과목만 선택하도록 한 항목일 것이다. 탐구영역은 유사 분야끼리 시험과목이 통합되고 응시과목수도 한 과목으로 줄어들게 되어 있다. 수험생과 학부모 입장에서는 참으로 친절하고 감사할 만한 배려다. 그런데 사회과 교육을 전공하는 내가 볼 때 이 개편안은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번 개편안은 사회탐구영역에서 학생들의 선택을 특정 과목 쪽으로 유도하고 있다. 현행 수능은 사회탐구 영역에 해당하는 11개 과목에서 최대 4개 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는데 개편안에서는 11개 과목을 경제, 한국사, 지리(한국지리·세계지리), 일반사회(법과 정치·사회문화), 세계사(세계사·동아시아사), 윤리(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 6개 과목으로 통합한 후 그 중 한 과목만을 선택·응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6개 과목의 구성을 살펴보면 「경제」와 「한국사」를 선택할 경우 학생들은 한 과목만 공부하면 되지만 지리를 선택한 경우 「한국지리」, 「세계지리」를, 일반사회를 선택한 경우 「법과 정치」,「사회·문화」를, 세계사를 선택할 경우 「세계사」, 「동아시아사」를, 윤리를 선택할 경우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등 모두 두 과목씩을 공부해야 한다.
누가 한 과목만 공부해도 되는 「경제」와 「한국사」를 놔두고 두 과목씩 공부해야 하는 과목을 선택할까? 공부 부담이 다른 과목의 절반에 불과한 「경제」와 「한국사」과목을 다른 과목과 동등하게 배치함으로써 연구회는 학생들의 선택을 특정 과목으로 유도하고 학교에서 배울 내용을 임의로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연구회 구성원들이 아무리 자유시장경제와 민족주의를 선호한다고 해도 원칙도 토론도 합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특정 과목에 가중치를 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교육은 최소한 그런 방식으로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을 유도하거나 결정해서는 안 된다.
둘째, 유사 과목끼리의 통합을 전제로 한 과목을 선택하도록 한 점도 문제다. 학생들은 사실상 한 영역으로 제시된 두 과목만을 공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지리영역을 선택했다면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를 공부해야지, 「세계지리」와 「세계사」를 선택할 수는 없다. 화학영역을 선택한 학생은 「화학(Ⅰ)」, 「화학(Ⅱ)」을 공부해야지 「화학(Ⅰ)」, 「물리(Ⅰ)」를 선택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교육학자들은 단일화 된 지식의 관점으로 구성된 학문이 학생들의 사고를 제한하고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경험을 분리시키며 따라서 학습과 경험을 단절시킨다고 비판해 왔다.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연구회 안은 영역 간 의 넘나듦 자체를 차단함으로써 스스로 비판해 왔던 학습과 경험의 단절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뉴시스 |
지난 20일 경희대 평화의 전당에서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책의 저자이자 하버드 대학의 교수인 마이클 샌델의 강의가 있었다. 그의 책은 지난 5월 출간 이후 한국에서 33만부 이상이 팔렸을 정도로 베스트셀러였는데, 벤담, 존 스튜어트 밀, 롤즈,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난해한 논리를 쉬운 사례를 통하여 명쾌하게 다루면서 정치학, 철학, 경제학, 사회학, 지리학의 경계를 쉼 없이 넘나들고 있다. 우리는 '역시 하버드대학의 교수는 다르다'고 말한다. 몇 년 전 에드워드 윌슨의 「통섭」이 출간된 이래 통섭이라는 용어는 우리 사회를 강타한 일종의 신드롬이 되었다. 우리가 샌델과 윌슨 같은 교수를 원한다면 여러 학문의 넘나듦을 경험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그런데 이번 개편안을 보면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소통은커녕 인문사회과학 내에서도 영역 간 칸막이를 더욱 높이고 촘촘히 하여 서로 어떻게 생겼는지 구경조차 하지 못하도록 차단시켜 놓았다.
나는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는 것에는 백번 찬성한다. 하지만 학문 영역 간에 칸막이를 쳐서는 안된다. 연구회는 영역별로 한 과목을 선택하도록 한다는 주장을 통해 한 과목이 갖는 수치적 매력을 놓치고 싶지 않았겠지만 그것이 시간 축과 공간 축으로 인간과 사회를 보다 종합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 사회탐구 영역의 교육적 목적과 치환될 만큼의 가치를 지는 것은 아니다. 연구회가 주장하는 한 과목은 솔직히 두 과목이다(물론 경제와 한국사의 경우는 제외하고). 따라서 영역 간 경계 지움을 없애고 두 과목을 선택하도록 하면 현재 연구회에서 내놓은 안과 비교해도 학습 부담이 증가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은 더 확대될 수 있다. 즉 사회탐구영역의 경우 경제, 한국사, 한국지리, 세계지리, 법과 정치, 사회문화, 세계사, 동아시아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중에서 자신이 공부하고 싶은 과목 두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면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만을 선택하도록 강제할 것이 아니라 세계지리와 세계사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할 이유도 없지 않는가?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