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강은 강처럼 흐르게 하라·5] 강의 서정을 되살리자

학원을 운영하는 한 원장님으로부터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 김소월의 시에 대해 공부하던 학생 하나가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라는 구절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놓았다는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해보면 '강변은 집값이 비싼 곳으로 우리도 이제 부유하게 한번 살아보자'는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해석을 이어가자면 "금모래 빛"은 '쓰고 또 써도 표가 나지 않을 만큼의 경제적 풍요', "갈잎의 노래"는 '경제력을 통해 얻게 되는 생활의 여유'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대 서울이라는 공간에서 태어나고 자란 아이답게 자연을 재해석해 놓고 있는 위트에 웃음이 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자연을 자연으로 느끼지 못하는 그 정서에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 습지가 살아있는 강. ⓒ길상호

지난 7월 작가선언 6.9에서 마련한 낙동강 순례를 함께하면서도 이와 비슷한 생각을 갖게 되었다. 참여 인원의 대부분이 도시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이었는데, 강을 보며 한결같이 하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것은 "강이 이렇게 아름다운 곳인 줄 몰랐다."는 것이다. 공원화되어 흐르는 한강만 생각하다가 기암괴석, 습지의 나무와 풀, 모래밭이 펼쳐진 강을 바라보며 사람들은 탄성을 이어갔다. 그러다가 공사로 인해 황폐해진 강의 모습을 보고는 그 참혹함에 마음 아파했다. 그들 중 누군가는 이런 말도 덧붙였다. 만약 살아있는 강의 모습을 보지 못한 상태에서 공사현장만을 보았다면 이렇게 충격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반응은 돌이켜 생각하면 우리가 얼마나 자연과 격리된 채 도시의 일상에 젖어 있었는지를 반증하고 있었다.

또한 구미보 공사구역 하류 쪽을 걸을 때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공사 관계자 한 분이 따라와 사진을 찍고 있던 나에게 말을 걸어온 것이다. 그는 강 오른쪽으로 자리하고 있는 버드나무 군락을 가리키며 말했다.

▲ 대기 중인 포클레인. ⓒ길상호
"저 위쪽에 버드나무 군락 보이지요? 우리는 오랫동안 자라난 나무는 보호하면서 잡풀들은 깔끔하게 걷어내고 있답니다."


나는 습지의 풀들을 왜 '잡풀'이라고 힘주어 말하는지 궁금해져 다시 물었다.

"저게 왜 잡풀입니까? 저 풀들이 강에서 하는 일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그의 답변은 이러했다.

"나무는 오랜 시간에 걸쳐 자라지만, 저 잡풀들은 금방 자라나지 않습니까."

습지의 풀들에 대해 다시 한 번 '잡풀'이라는 단어로 요약하고 있는 그 앞에서 나의 얼굴은 굳어버렸다. 그러자 그는 더 이상 이야기를 해도 소용이 없겠다고 판단을 한 것인지 살며시 그 자리를 피했다. 그리고 멀지 않은 곳에서 나는 차광막으로 가려놓은 나무더미와 만나게 되었다. 거기에는 분명 임목 폐기물이라는 팻말과 함께 뿌리가 뽑힌 수많은 나무들이 쌓여 있었다. '나무'와 '잡풀' 사이에서 한 차례 힘이 빠졌던 나는 말라가는 나무더미 앞에서 다시 맥이 풀려버렸다. 조금 남겨놓은 버드나무 군락을 가지고서 친환경적인 공사를 하는 듯 이야기를 펼쳐놓던 그에게 달려가 따져 묻고 싶어졌다. 이 속에 쌓여있는 건 도대체 뭐냐고. "눈 가리고 아웅"이라는 속담이 딱 맞아떨어지는 상황이었다.

▲ 공사장의 뿌리뽑힌 나무들. ⓒ길상호

정부가 내세우는 4대강 사업의 중요한 취지 중에는 "하천을 건강한 문화생태 공간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항목이 있다. 나에게 말을 걸어온 그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인간 생활의 편의에 맞게 정돈된 것은 생태이고 무질서하게 펼쳐져 있는 자연은 폐기 대상이었다. 혹 이 사업을 고안하고 진행하는 많은 사람들도 이런 관점으로 생태의 개념을 설정해둔 건 아닐까? 너무 깊이 뿌리박혀 있어서 그 생각을 바꾸지 못하는 건 아닐까? 갑자기 수많은 걱정들이 밀려들었다.

▲ 강바닥의 모래를 실어나르는 화물차. ⓒ길상호
강을 따라 걷던 중 여기저기서 동물들의 발자국을 만날 수 있었다. 수풀에 숨어 있다가 놀라 달아나는 고라니와 마주치기도 했다. 물을 마시기 위해 인근 숲에서 내려온 것이 분명했다. 앞으로 가파르고 밋밋한 강둑이 완성되면 그들의 대부분은 서식지를 옮기게 될 것이다. 먹이를 구하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길 습지가 사라진 곳에서는 더 이상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들뿐이겠는가? 얕은 물의 모래나 수초 뿌리에 산란을 하던 물고기들도 새로운 산란 장소를 찾아 떠날 것이다. 물과 함께 어울리던 생명들이 떠나버린 강을 과연 "건강한 문화생태 공간"이라 부를 수 있을까? 진정한 문화생태 공간이라면 사람의 관점에서 정돈된 공간이 아니라 모든 생명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도시 속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 중에는 공원을 자연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빌딩 숲보다는 조금 더 자연적인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곳의 자연은 철저히 인간의 편의에 의해 선택되고 재배치된 자연이다. 이런 공간에서 인간 이외의 많은 생명들이 어울려 교감을 나누는 일은 불가능한 것이다. 공원을 자연으로 여기는 인식이 몸에 밴다면 인간도 생태환경의 일부라는 생각보다는, 인간이 생태환경을 지배할 수 있다는 생각을 더욱 많이 품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나는 어디에서든 기초가 튼튼한 교육을 강조하곤 한다. 한번 잘못된 교육으로 길들여지면 거기서 벗어나기가 무척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 삼락공원의 4대강 사업 반대 현수막. ⓒ길상호
4대강 사업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했다가 가끔 욕을 먹는 일이 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먹고 사는 문제가 시급했던 시절의 이야기를 하면서, 배가 불러서 그런 말을 한다고 소리를 친다. 그러나 나는 결코 배가 불러 그런 말을 하는 게 아니다. 4대강 사업이 배를 불리는 사업이라면 과연 누구의 배를 불리는지도 자세히 따져야 할 문제이지만, 그보다 앞서 자연이 우리에게 전해주는 정서적인 부분이 경제적인 부분 이상으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런 주장을 한다. 너무 배가 고팠던 시절에는 어쩔 수 없었다 치더라도 지금이라도 우리가 잊고 살았던 자연의 정서적 가치에 눈을 돌리자는 것이다. 우리의 미래인 아이들이 '강변'을 경제적인 가치로만 읽어내는 삭막한 내일은 막아야 하지 않겠는가?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