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의원이 확인한 해경 자료에 따르면 "해군 PKM 322호 준비 앵카(어선용 30kg), 로프(길이 50미터), 부이 2개(마름모형 길이 50cm 철제, 직경 50cm 원통형)를 결박하여 501함 단정 이용 투묘"라고 기록돼 있다. 특히 "함수 10~20m 까지 근접 투묘"라고 돼 있으나, "천안함 직접 연결 아님"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지난 29일 침몰 선체에 부착이 된 부이(부표). 천안함 침몰 당시 선체에 부이를 설치하지 못해 수색 작업에 한참이 걸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합뉴스 |
즉 해군 고속정은 근접할 수 없어 해경의 구조용 단정을 타고 함수 부근으로 다가가 부이 설치를 시도했는데, 함수 부분에 부이를 매단 게 아니라 침몰 위치 표시용으로 부이에 '앵커'를 달아 바다에 던졌다는 것이다.
이는 해군이 사고 다음날인 27일 함수 일부가 물 위에 노출되어 있을 때 부이를 설치했지만 선체가 침몰하는 과정에서 거센 물살에 끊어져 버렸다고 한 해명과 배치된다.
조 의원은 "해군과 해경은 해류의 유속이 빠른 사고지역에서 배가 침몰할 경우 해류에 휩쓸려 이동하는데도 불구하고 침몰장소에 부이를 설치했고, 침몰 후 천안함을 추적하기 위해 천안함에 부이를 고정시키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국방부는 브리핑을 통해 '함수 부분은 부표를 설치했으나 떨어져나갔다'고 해명했으나, 모두 거짓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사고 발생 이후 선체가 물에 잠기기 전까지 약 3시간 동안 해군과 해경함이 사고지점에 있었고, 시간도 충분했음에도 불구하고 부이를 천안함에 직접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은 이해할 수 없다"며 "이로 인해 천안함을 잃어버리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사고 이후 구조까지 약 3시간 동안 함수부분이 떠 있었고, 구조시 모두가 침착하게 대응했음이 해경 구조대와 구조 동영상에서도 확인됐으나, 해군은 이후 구조작업에 필수적인 부이는 설치하지 않은 것"이라며 "해군은 구조활동에 필요한 30여 시간을 잃어버린 천안함을 찾는데 허비하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군과 정부 당국의 발표와는 달리 사고 직후 현장에서 해군의 초기 대응이 매우 부실했고 그로 인해 피해를 더욱 키웠음이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며 "국민을 혼란시키지 말고, 실종자 가족의 아픔을 달래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사고와 관련된 모든 사실을 투명하게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