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5일 16시 5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진보적 지식인의 기호품, 담배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8>
진보적 지식인들은 새로운 사상을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개선된 사회를 만들어가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래의 사회모순을 타파하면서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려고 힘을 쓰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는 데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물에
이영학 외대 교수, 한국사
2004.11.24 18:07:00
담뱃대의 길이로 신분을 알 수 있다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7>
16세기 말 17세기 초 담배가 전래되는 시기에는 흡연의 천국시대였다. 담배가 전래된 초기에는 흡연의 보급 속도가 빠르고, 그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누구나 담배를 피울 수 있었다. 6살 어린아이부터 70세된 노인에 이르기까지 담배를 피웠으며, 양반은 물론이고
2004.11.16 17:48:00
담배 장사를 하여 큰 돈을 벌 수 있었다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6>
담배는 전래되자마자 급속히 보급되었다. 그리하여 남녀노소 상하귀천을 막론하고 담배를 피웠다. 그리하여 전래 초기에는 담배의 가격이 비쌌으며, 심지어는 은(銀)의 중량으로 담배를 거래할 정도로 비쌌다. 그에 따라 많은 농민들이 담배를 재배하였다. 농민들은 담배를
2004.11.05 16:19:00
담배의 주요산지가 출현하다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5>
담배는 전래된 후 급속히 보급되었다. 담배는 모든 계층에 확대되어 남녀노소 귀천을 막론하고 피우지 않는 사람이 없게 되었다. 남자건 여자건, 양반이건 천민이건, 부유한 사람이건 가난한 사람이건 담배는 모두 피웠다. 아울러 가난한 사람일지라도 담배를 소비하는 데 드
2004.10.19 15:52:00
17세기 동북아시아의 문제아, 담배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4>
컬럼버스가 담배를 아메리카로부터 유럽으로 전래한 이래, 담배는 유럽에서 아시아로 전파되었다. 유럽에서 동북아시아로 전래된 경로는 크게 세 가지로 이야기되고 있다. 첫째는 바다길을 통하여 인도를 거쳐, 필리핀을 지나 일본을 통하여 조선에 전래되었다는 설이다. 둘
2004.10.07 17:24:00
금연론자와 흡연론자의 논쟁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3>
담배는 우리나라에 전래되자마자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급속히 전파되었다. 나아가 담배가 처음에는 약초로 전래되고 보급되었으니, 전국적으로 모든 계층에 빠른 속도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담배를 오래 피우게 되면서, 몸에 해롭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2004.10.02 11:42:00
조선시대에는 5세때부터 담배를 피웠다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2>
담배는 전래되자마자 급속히 전파되었다. 전래될 초기에는 담배가 약초로서 인식되어 전파력이 컸다. “병든 사람이 피우면 좋다”라든지 “술을 깨게 한다”든지 혹은 “소화를 잘 되게 한다”는 등의 소문과 함께 담배는 빠르게 전파되었다. 아울러 한번 담배를 피우면 인
이영학 외국어대 교수, 한국사
2004.09.22 10:55:00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은 언제인가
한국역사연구회와 함께 하는 '이영학의 담배이야기' <1>
‘눈이 내린 깊은 겨울밤에 아이들은 할머니의 주위에 몰려든다. 초가집 지붕 위에 눈이 많이 쌓이고, 창호지를 바른 문틈 사이로 매서운 바람이 새어 들어온다. 아이들은 저마다 뜨거운 아랫목을 차지하기 위해서 궁둥이를 서로 들이민다. 아궁이에 군불을 때고, 방안에는
이영학 외국어대 교수
2004.09.15 16:5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