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1월 08일 13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제도 밖에 있는 사람들, 21세기에 '아사'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3월 장례이야기
"당신이 있어야 나는 행복한 거야" ㄱ님의 장례에는 곡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장례에 참여한 사실혼 관계의 아내가 빈소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쓰러지듯 누워 ㄱ님을 부르짖었기 때문입니다. 간신히 고인 예식을 진행한 후에는 운구되는 관을 붙잡아 잠시 지체되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아내는 세상과 이별하는 매 순간 ㄱ님을 붙잡았습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장례에 참여
부용구 나눔과나눔 활동가
자녀들이 산골을 하는 동안, 그들은 아픈 눈물을 흘렸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2월 장례이야기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화시킨 무연고 장례 1년 중 가장 짧은 달인 2월엔 막바지에 이른 겨울을 보내고, 새로운 계절인 봄에 대한 설렘과 희망을 이야기하곤 했습니다. 사람들의 뇌리엔 졸업식과 꽃다발, 발렌타인데이 등의 이미지가 흔히 떠오르고, 눈이 녹은 후 움트는 가지가 연상되기도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2020년 2월은 참으로 안타깝고 힘든 달로 기억될
태어나 얼마 살지 못한 아기들, 무연고 사망자로 장례를 치렀습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12월 장례이야기
무연고 사망자가 된 아기들 2020년 12월에는 이름이 없거나 확인되지 않은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가 몇 차례 있었습니다. 그중 두 번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아기의 장례였습니다. 12월 말 장례를 치른 한 무연고 사망자는 지자체로부터 받은 무연고 사망자 장례의뢰 공문에 성명불상으로 지난 11월 초 서울시의 한 노상에 방치되어 사망한 영아시신이었습니
코로나 시대에도 '무연고자' 장례식장엔 사람 사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11월 장례이야기
심각해지는 코로나 상황에 무연고 장례 참여 인원 줄어 2020년 10월까지 잠시 잠잠해지나 싶었던 코로나 상황은 11월 들어 확진자 수의 증가세가 두드러졌고, 최근(12월)에는 하루 5~6백 명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대유행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가 한층 강화되어 11월 중순 이후 무연고 사망자 장례에는 자
무연고 사망자가 된 청년들, 그들도 삶이 있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10월 장례이야기
장애인 무연고 사망자 무연고 장례를 치르면서 만난 수많은 사망자들 중 유독 마음이 아픈 사연들이 있습니다. 이를 테면 아기를 만났을 때, 2~30대의 청년을 만났을 때, 고아로 자란 사연, 그리고 장애가 있는 사망자의 경우가 그렇습니다. 2018년 이후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서울시 공영장례 의전업체를 선정하여 고인에 대한 제대로 된 마지막 예우를 갖춰 장
"저는 무연고 사망자의 아내와 함께 사는 사람입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9월 장례이야기
떡국 끓여주시던 형님 9월 중순 무연고 사망자 ㄱ님의 장례를 준비하던 중 한 통의 문자를 받았습니다. 발신자는 서울시의 한 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 "지역에서 오랜 시간 봬왔던, 가족이 없는 독거어르신이 돌아가셨는데 마지막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서울시 공영장례 상담 업무를 진행하는 나눔과나눔은 의전업체의 화장 예약에 맞춰
저도 수급자라 형의 장례를 치를 수 없었습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8월 장례이야기
TV에서만 보던 그런 죽음 8월 말 한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에 참석한 여성이 영정사진을 꺼냈습니다. "동생이 젊었을 때 찍은 사진밖에 없네요." 위패만 놓여 있던 제단 위에 사진을 올리고 누나는 향을 피웠습니다. 무연고 사망자 ㄱ님은 8월 중순 서울의 한 고시원에서 사망한 채 발견되었습니다. 누나는 연락이 끊어진 지 10년 만에 동생의 사망소식을 듣게
"형님 시신을 결국...코로나는 사람도리도 못하게 하네요"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7월 장례이야기
코로나로 장마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요즘입니다. 서울시 무연고 사망자 장례는 7월 한 달간 총 24회 진행되었고, 모두 마흔여섯 분의 마지막을 함께했습니다. 이중 참석자가 있었던 장례는 14회였고, 묻혀 없어질 뻔한 이야기는 다행히 마지막 순간을 함께한 이들의 입을 통해 다시 살아날 수 있었습니다. "코로나로 형제의 장례를 치르지 못하는 서러운 세
'무연 사회'...올해도 무연고 사망자가 300명을 넘었습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6월 장례이야기
부양하지 않았다 2020년 6월 초 어느 날 무연고 사망자 ㄱ님의 장례가 오후 2시에 예약이 되었습니다. 장례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시립승화원(이하 승화원)으로 가는 나눔과나눔 활동가의 휴대전화가 오전부터 뜨거워졌습니다. 남동생의 무연고 장례에 참석하지 못하는 누나는 자신이 원하는 종교로 장례를 치러달라고 부탁했지만 이미 다른 종교단체가 참석하기로 되어 있
"저는 무연고사망자의 연고자입니다"
[무연사회, 죽음을 기억하다] 5월 장례이야기
보내는 이의 마음 서울시립승화원 공영장례 전용빈소 앞에 새로운 문구가 등장했습니다. "이곳은 가족 해체와 빈곤 등으로 장례를 치르지 못하고 연고 없이 돌아가신 무연고 사망자, 저소득시민을 위한 소박한 빈소입니다. 즉, 가족과 지인이 없거나 재정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장례의식과 빈소도 없이 안치실에서 화장장으로 바로 가는 직장(直葬)방식이 아닌 고인의 삶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