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렇게 강박에 몰리는 걸까? 청문회에서 731부대가 '독립군 부대 아니냐' 대답해서 보는 사람들의 어이를 실종시키더니, 왜 그렇게 자상한 체하느라고 남의 빈소 분위기를 썰렁하게 만들어야 하나? 아는 것을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아는 것이라고 공자도 말했지 않나? 국으로 가만히 있으면 2등은 한다는 속담도 있지 않나? (☞관련 기사 : 정운찬 "731부대? 저, 항일 독립군…인가요…")
그분의 '촌놈 정신'이 그립다. 그러고 보니 그 양반 얼굴 본 게 1998년도였나? 그 뒤론 메일만 더러 주고받았을 뿐, 얼굴 본 기억이 없다. 하여튼, 김대중 정부 들어서고 그분이 한국은행 총재 물망에 오르내릴 때였는데, 그분 연구실에 찾아가 둘이 앉았다가 그 얘기가 나오니 이런 취지의 말을 하던 기억이 생생하다.
"나 같은 촌놈이 서울대 교수만도 과분한데, 너무 분수에 넘치는 일 할 생각 없다. 교수 노릇 잘하고 있다가 금융통화위원이라도 맡을 기회가 있으면 학교 밖의 사회를 위해서도 하고 싶은 일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거다."
▲ 정운찬 총리가 이 지경이 된 데는 '촌놈 정신'을 잃어버린 탓이 크지 않을까? ⓒ프레시안 |
"김 선배는 한국 사회의 중심부로부터 바깥으로 바깥으로 도망쳐 나오기만 해 온 사람입니다."
지금 돌이켜 생각하면 한국 사회의 '주류'가 가진 구조적 문제를 아직 철이 없을 때부터 은연중에 감지한 것일지도 모른다. 도덕성의 취약으로 나타나는 이 구조적 문제에 근년 공부 방향이 쏠리고 있는데, 아마 경기중·고등학교 다니면서 이 문제를 막연하게나마 느끼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래서 정운찬 총리처럼 분수를 생각하는 촌놈이 좋았던 것일 게다.
청문회를 보다가 참지 못해 <프레시안>에 올린 '공개 편지'에서 "형님, 어찌 그리 망가지셨습니까?" 한탄했는데, 1998년에 멀쩡하던 양반이 망가져 버린 게 총장 하면서 아닐까싶다. 그리고 망가진 핵심이 그 '촌놈 정신'인 것 같다. (☞관련 기사 : "정운찬 형님, 관두시죠!")
술이 절반 남아 있는 병을 놓고 "절반밖에 없네." 하기보다 "절반이나 있네." 하는 것이 촌놈 정신 아니겠는가. 남들처럼 잘하지 못하는 것을 괴로워하거나 불편해하지 않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잘하겠다는 안빈낙도의 자세가 여기에서 나올 수 있다. 그런 자세는 쓸 데 없는 강박을 받지 않는다. 학문에 적합한 자세일 뿐 아니라 인생을 행복하게 사는 자세라고 나는 생각한다.
731부대가 뭔지 모르겠다는 대답이 왜 못 나왔을까? 청문회를 골든벨로 착각한 건 설마 아니겠지. 나는 그 강박이 싫은 거다. 그분이 총리 아니라 뭘 하더라도 "저는 아는 게 있고 모르는 게 있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할 수 있는 게 있고 할 수 없는 게 있는 사람입니다. 할 수 있는 일을 하게 해주시면 열심히 하겠습니다." 하면 좋다. 그런데 모르는 게 없어야 한다는 강박을 가졌다면 할 수 없는 일도 없다는 강박을 가졌기 쉽다. 한국 주류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태도다.
할 수 없는 일이 없다는 생각, 무서운 것이다. 기술만능주의가 여기서 나오는 것이고, 비인간적 행동이 극단으로 가는 것도 이 생각에서 출발한다. 해서 안 될 일을 "차마 못하는 마음(不忍之心)"을 공자가 무엇보다 앞세운 것도 그 까닭이다. 그러고 보면 행복도시, 4대강과 관련한 정 총리의 납득하기 어려운 행보 역시 이미 기술만능주의에 빠져버린 결과는 아닐까?
총장질이 촌놈 정신 망가지는 계기가 되지 않았나 의심하는 것은 '지도자'로 갑자기 부각되는 과정에서 지나친 충격을 받은 것 같아서다. 어릴 때부터 그분을 봐 오면서 그분의 좋은 점을 많이 인식해 왔지만, 그분이 용기 있는 분이라는 인상은 별로 받은 적이 없다. 겁이 없다는 뜻의 용기가 아니라 자기 존재의 가치에 대한 믿음으로서 용기를 말하는 것이다. 용기가 있다면 생긴 대로 놀 생각을 했겠지. 그러나 그분은 모델 찾기에 바빴을 것 같다.
이현재 선생님과 조순 선생님을 모델로 검토했으리라 짐작된다. 조 선생님을 모델로 했다면 그래도 체질에 웬만큼 맞았을 텐데, 조 선생님은 실패한 모델, 이 선생님은 성공한 모델로 판단해 버린 게 아닐까. 이 선생님은 자기 자신과 체질이 너무 다른 분인 것 같은데…….
'촌놈 정신'을 그리워하면서도 그 안에 이미 함정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주류와 비주류를 구분하는 의식. 존재의 차원에서 내가 비주류, 촌놈이라고 인식하면서도 당위의 차원에서는 주류를 선망하는 마음도 있을 수 있겠다. 그런 마음이 있으면 기회가 있을 때 정체성을 바꾸려 들 수도 있을 것이고.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길을 바꿀 때도 있는 것이다. '변절'이란 이름에 너무 큰 의미를 두지 않으려 애쓴다. 나도 언제든 어떤 사람들에게는 들을 수 있는 말이니까. 그렇지만 길을 바꿔서 인생이 괴롭게 되는 일은 절대 피하려 한다. 이기적인 향락주의가 아니라 정신건강을 위해서다. 내 인생을 편안히 여기며 주변과 사회를 위해 조금이나마 공헌하며 산다는 존재의 자신감만은 버리고 싶지 않은 것이다. 정 총리 인생도 너무 괴롭지 않기만을 빈다.
(☞필자의 블로그 바로 가기)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