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인터뷰] '폼'을 버리고 '진심'으로 다가가라, 쇼비보이(주) 최윤엽 대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인터뷰] '폼'을 버리고 '진심'으로 다가가라, 쇼비보이(주) 최윤엽 대표

[人 스테이지] 배려가 있는 공연,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

국내에서보다 국외에서 환영받는 우리공연이 있다. 뉴욕 브로드웨이, 괌 초청공연, 중국공연, 에딘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최고의 평점 등 유례없는 기록을 세우며 세계무대를 누비고 있는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가 그것. "2004, 2005년도에 뮤지컬 붐이 불었어요. 많은 사람들이 뮤지컬을 수입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었죠. 수입하기 위해 드는 돈은 어마어마했어요. 이익보기가 힘듦에도 왜 수입을 하는가, 공연업계의 보이지 않는 파워를 가져보려는 게 컸죠. 거품이라고 생각했어요. 세계적인 작품을 만들어서 우리나라의 이름으로 수출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죠. 어떻게 해야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을까 고민했어요." 그런 고민 속에 탄생한 작품이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다. 최윤엽 대표는 이 작품을 기획하며 세 가지를 기억했다.

▲ ⓒ프레시안

공연은 온전히 대중의 것, 그들을 향한 배려

"첫째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제거해야했어요. 대사를 없앴고 두 번째, 대사를 없애도 이질감이 느껴지는 것은 피해야한다고 판단했어요. 민족적 색이 강한 소재를 선택해 우리들만의 잔치를 토대로 이해 못할 작품을 만들면 실패하거든요." 그는 글로벌화를 위해서 소통의 문제가 없어야하고 시대적 및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질감을 극복해야 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인간의 공통적 주제를 다루자는 거였죠. 가장 좋은 게 사랑입니다. 사랑과 화합에서 감동을 끌어내려고 했어요. 중요한 건 제작자의 입장이 아닌, 관객의 입장에서 만드는 것이죠." 그러나 공연계에서 냉대를 받기도 했다. 한마디로 '질'이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부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기도 했어요. '연출한 것도 없고만, 나는 더 잘 만들 수 있어' 등. 문제는 그 더 잘 만든다는 것이죠. 완성도를 높일수록 작품의 재미가 사라져요. 거리감이 생기기 시작하죠. 마니아용이 되는 겁니다. 레벨이 나보다 높다고 생각하면 관객들은 기가 죽어요. 반면 우스꽝스러운 얼굴에 허름한 차림을 한 광대를 만나면 부담감이 줄어들죠. 한마디로 친근감이에요."

▲ ⓒ프레시안
그 결과는 놀라웠다. 관객들은 환호했다. 외국에서도 상상 이상의 반응이 나타났다. 놀라웠지만 배려가 있는 기획 및 준비과정을 생각하면 당연한 결과기도 하다.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는 현재 우리 공연을 가지고 외국에 나가 성공한 좋은 사례로 꼽히고 있다. 최윤엽 대표가 후배 창작자들에게 조언했다. "매너리즘에서 벗어나야 해요. 자기가 배운 것을 내세우면 안돼요. 관객이 어떤 이야기에 관심이 있고 어떤 것을 원하는지 알고 그들이 원하는 작품을 만들어야 해요. 너무 잘나서 대화도 안통하면서 예술 한다고 폼 잡고. 자기들만의 세계에 갇혀 있으면 안돼요. 관객에 대한 배려가 기본이죠." 더불어 공연은 온전히 대중의 것이라고 전했다. 그리고 이미 대중의 수준은 창작자를 넘어섰다. "교수 친구에게 물어봤어요. 네 핸드폰으로 전화 걸고 받고, 문자 주고받는 것 외에 할 줄 아는 게 있냐고. 그게 다라고 하더라고요. 학생들은 핸드폰을 가지고 기본적 기능 외에 새로운 것을 더 찾아내 활용해요. 결국 지금의 생활수준이 가르치는 자의 지식, 교육 수준을 넘어선 거죠. 시대착오적인 교육이 이뤄지고 있어요. 학교에서 배운 것 중 써먹어본 게 별로 없다니까. 생활 자체는 이미 첨단이에요. 문화도 마찬가지죠. 국민들의 문화적 생각이나 욕구가 훨씬 더 높아요."

관객에게 먼저 손을 내밀어 소통하는 공연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는 이제 곧 중국으로 떠난다. 얼마 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만난 현지 관계자들의 관심은 뜨거웠다. 그들은 이 작품을 중국이 나가야할 문화적 비즈니스모델로 선택했다. '비보이를 사랑한 발레리나'에 대한 중국의 관심은 그들이 성공하려면 글로벌한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비롯된다. "부족사회, 구역사회, 국가사회, 이제 인류 공통의 사회가 됐어요. 난 그래요, 이 작품을 만들며 세계를 겨냥했다는 게 세계에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공연을 만들고 싶다는 거였어요. 모두가 다 같다, 어느 나라 누구나 다를 바 없다, 성공과 실패에 좌절하는 게 아니라 다 행복할 자격이 있다는 거죠. 서로를 알아주고 화합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진 자와 힘 있는 자가 먼저 양보해야 해요. 기득권이 포기하지 않으면 안돼요. 낮은 자가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는 힘들거은요. 특권층으로 상징되는 발레리나가 거리의 사람 비보이에게 다가가는 거죠." 그렇게 이 공연은 자신을 버리고 관객에게 직접 다가가고 있다.

▲ ⓒ프레시안
'인간'과 접촉하기 위한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최윤엽 대표는 아픈 기억을 꺼냈다. "뉴욕에 갔을 때 1원 하나 지원받은 적이 없어요. 예기치 않은 일들이 벌어지며 공연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왔는데 그 누구 하나, 나라의 어느 기관하나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어요. 파트너와 결별하며 돈이 하나도 없었고 투자받는 데에도 어려움이 생겼죠. 그렇게 공연을 시작했어요. 그 추운 겨울에 단원들이 길거리로 쫓겨나고 밥을 굶고, 정말 고통스러웠지. 세월이 많이 흐르면 책으로 써보고 싶기도 해요. 우리나라의 문화는 대체 어떤 모습으로 있는지, 말로만 문화를 이야기하지 실질적으로 이해하거나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어요. 결국 단원들이 못 견디고 40일 만에 돌아왔어요. 반응이 아무리 좋아도 당장 먹을 것이 없고 잠잘 곳이 없는데 어떻게 버티나. 하소연해도 모른 척 하더라고요. 섭섭했죠."

모든 과정 속에서 최윤엽 대표는 많은 것을 깨닫고 많은 것을 얻었다. 그리고 여전한 것은 관객 중심의 공연을 만들어야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관객들이 잠자고 있던 불씨를 발견하길 바란다. "나도 모르게 잊고 살았던 열정 등을 느끼고 욕구를 발견하고, 또 에너지를 갖고 돌아가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는 여전히 '인간'을 위한 공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같은 부류의 집단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타 부류는 배척시키도록 만드는 것이 대부분의 문화입니다. 사회 이질감을 고착시키죠. 수많은 계층과 부류간의 대립을 융화시키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해요. 서로 하나가 되는 문화, 서로를 보호하고 배려하는 문화, 그런 문화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