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의 최대 국영기업인 두바이월드의 채무상환유예(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시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두바이 다음으로 위기를 맞을 국가가 중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라 나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출입 등 중국이 한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중국경제의 몰락은 한국에도 큰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 등 외부 변수와 상관 없이도 '부동산 거품'으로 한국경제 역시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금리를 올릴 경우 는 경고도 나왔다.
"두바이에 이어 중국에서도 위기 터질 수 있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인 <세계 경제의 몰락, 달러의 위기>의 저자인 리처드 던컨이 두바이 다음으로 중국에서도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던컨은 1일 하나금융그룹 출범 4주년 기념 국제콘퍼런스에서 "대출과 정부 지출 등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있는 중국도 두바이처럼 대규모 건물 공사와 은행 대출 기반의 성장 전략으로 부실을 키워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 경제는 이미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며 "은행 대출은 급증하고 있으나 대출을 받은 사업에서 이익을 내지 못하고 부실자산은 쌓여 금융시스템의 안정성도 떨어지고 있으며 정부의 부양책은 효과를 내지 못하고 낭비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적자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14%까지 커졌으나 경제성장률은 10%밖에 안된다는 사실도 놀랍다"며 "다만 중국은 아직 정부 부채가 높은 수준은 아니어서 당장 큰 위험에 빠지거나 대공황 같은 엄청난 재앙을 맞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2년 美 금리 올리면 중국 큰 타격 받아"
엔디시에 전 모건스탠리 아태지역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이날 컨퍼런스에서 "2012년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캐리 트레이드가 줄어들면 중국은 큰 타격을 받는다"고 경고했다.
엔디시에는 "중국의 수출이 줄어들고 있고 부동산 버블이 생기고 있다"면서 "문제는 자본, 생산이 아니라 돈의 배분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의 과잉 저축이 중국내 소비를 촉진시키지 못한다"면서 "앞으로 수출위주 모델로는 위기를 이겨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2년 중국이 유동성 긴축에 제대로 대응하면 또 하나의 황금기를 맞을 것"이라면서 "지금 황금기는 98년 주택민영화, 국영기업 현대화 등의 개혁을 추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 80년대 日 경제 전철을 밟고 있어"
엔디시에는 한국경제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한국의 레버리지(차입)가 심각한 상태"라면서 "예대율은 100%를 넘었고 대출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모든 현상이 의미하는 것은 잉여자본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다는 것"이라고 부동산 거품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시중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레버리지 투자도 심각한 상태에 빠져있어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금리가 인상되면 수년내 무너질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KDI가 5%대의 성장률을 전망하고 있는 내년 한국경제에 대해서도 "4% 성장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다소 비관적 전망을 했다. 엔디시에는 "수출은 지금이 최고치를 기록해 앞으로는 떨어질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려면 새로운 산업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데 긴 여정이 될 것이다. 경기부양책을 보면 경제성장이 빠르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에서는 현 세대가 갖고 있는 저축을 어떻게 생산적인 부분에 투자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저축을 해외에 투자하면 자산가격은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올라간다. 국내 저축을 그대로 유지하는 정책은 금리하락과 자산가치 상승을 부추긴다. 이는 80년대 일본이 저질렀던 실수와 같다"며 한국이 현재 봉착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지적했다.
한편 엔디시에는 세계경제 흐름에 대해 "다음의 위기는 2012년에 인플레이션 때문에 유발될 수 있으나 크지는 않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세계 각국 정부가 부채를 쌓아간다면 5~7년 후에는 큰 위기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일단 버블이 꺼진 다음에 고통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미루고 있어 위험이 커지고 있다"면서 "언젠가는 정부 부채로 인한 위기가 발생할 것이며 이는 지난 번 위기보다 더 클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