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친일인명사전' 폐기 노리는 '동아-조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친일인명사전' 폐기 노리는 '동아-조선'

[김종배의 it] 내용 검증보다 '좌파' 낙인찍기

민족문제연구소는 낙관했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한 만큼 논란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하지만 반발한다. 민족문제연구소의 낙관에도 불구하고 '친일인명사전'에 '창업주 김성수'와 '사장 방응모'의 이름이 오른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격하게 반발한다.

"객관적인 자료"가 아니다. 이들이 주되게 반박하는 건 내용이 아니라 발간 주체다. '동아일보'는 사설 한 귀퉁이에서, '조선일보'는 단신 처리한 사실기사에서 "객관적인 자료"의 신빙성과 친일 행적 선정 기준을 잠깐 문제 삼기는 했지만 공격 포인트는 발간 주체에 맞추고 있다.

'동아일보'는 민족문제연구소의 임헌영 소장이 "공산주의 지하조직"이었던 '남민전'에 가담한 전력을 부각시킨 뒤에, 또 좌파 인사들의 친일 행적에 대해 너그럽게 평가한 점을 제기한 뒤에 규정했다. '친일인명사전'을 "좌파사관"의 소산으로 치부했다. <사설 전문보기>

'조선일보'는 '친일인명사전' 발간 주체를 "조국 광복 운동에 손가락 하나 담근 적이 없는 정체불명의 인사들"로 규정한 뒤에, 또 해방 직후 반민특위가 가려낸 친일인사(688명)와 광복회가 2002년 내놓은 친일인사 명단(692명)보다 훨씬 많은 4389명을 추린 점을 부각시킨 뒤에 저의를 의심했다.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가 열린 곳에서 '박정희는 친일잔당'과 같은 "붉은색 구호들"이 쓰여 있었던 점을 들어, 또 같은 곳에서 '대통령 선거 다시 하자'는 피켓이 등장하고 애국의례 대신 민중의례가 진행된 점을 들어 규정했다. '친일인명사전' 발간을 "대한민국 정통성(을) 다시 갉아먹은" 행위로 규정했다. <사설 전문보기>

왜일까? 왜 두 신문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제시한 "객관적인 자료"에 대한 논박보다는 발간 주체의 '정체'를 공격하는 데 주력했을까?

'서론'만 놓고보면 답이 얼추 나온다. 오늘 제기한 문제만 놓고 보면 '저의'가 대충 읽힌다.
▲ 윤경로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장이 8일 백범 김구 선생 묘 앞에 '친일인명사전'을 헌정하고 있다. ⓒ프레시안

상승한다. '친일인명사전'이 제시한 "객관적인 자료"를 논박하면 논란이 커진다. 최종적인 사실규명(그들 입장에서)에 이를 때까지 그들이 '보위'하려는 사람들의 친일 행적은 국민적 화두가 된다.

달갑지 않은 일이다. 그런 논란 자체가 이면을 들추는 일이다. 국민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또는 혐의)을 부각시키는 결과를 빚는다. 더구나 '친일인명사전'이 제시한 "객관적 자료"를 근저에서 부정하는 사실 규명이 아니라 공과 과를 함께 봐야 한다는 식의 가치 평가로 논란이 전개되면 친일 행적은 부분적이라 해도 사실로 굳어진다.

효율적인 방법은 '권위'를 깨는 것이다. '친일인명사전' 발간 주체의 대표성과 정통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면 격하시킬 수 있다. 발간 주체를 "정체불명의 인사들" 또는 '좌파'로 몰면 그들이 만들어낸 '친일인명사전'의 의미를 자동으로 삭감시킬 수 있다. "정체불명의 인사들"의 놀음 결과, 또는 '좌파'의 이념공세 부산물쯤으로 평가절하 할 수 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친일인명사전'의 수정이 아니라 폐기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