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다르다. 이때의 말과 지금의 행동이 다르다.
쇄신특위가 미루기로 했단다. 쇄신안을 마련했지만 비정규직법 처리 문제가 매듭지어질 때까지 쇄신안을 청와대에 전달하는 절차를 미루기로 했단다. "비정규직법 처리가 (여권의) 최대 현안이자 관심사"라는 이유 때문이란다. "여야가 비정규직법 처리를 두고 국회에서 치열하게 다투는 상황에서 쇄신특위가 당내 분란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는 것도 이유란다.
어이없다. 쇄신특위의 궁극적 목표가 국정쇄신이라면서 최대 국정사안을 강 건너 불구경 하듯 한다. 당의 전열을 흐트러뜨려서는 안 된다는 '애당심'에 입각해 최대 국정 사안에 뒷짐 진다.
백번 양보하자. 말은 저렇게 해도 심저엔 크고 넓은 확신이 깔려있다고 인심 좋게 받아들이자. 비정규직법 처리를 놓고 여야3당과 양대노총이 5인 연석회의를 벌이고 있으니까, 이 테이블에서 합의를 도출하면 대화 타협 소통의 전형을 창출하는 거니까, 그러면 국정쇄신의 모범이 탄생하는 거니까 기대감에 부풀어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자.
그럼 이건 어떨까? 미디어법 말이다.
여론조사결과가 나왔다. 국민의 70% 이상이 미디어법의 일방처리에 반대하고, 국민의 60% 이상이 한나라당의 미디어법안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왔다(MBC 조사). 국정의 정책기조와 운영기조 모두 반대하는 게 "국민의 입장"이고, 국정의 정책기조와 운영기조 모두를 바꾸라는 게 "국민의 여망"이다.
그런데도 말이 없다. 한나라당 원내지도부가 미디어법을 6월 임시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재삼재사 다짐하는데도 일언반구 말이 없다.
혹시 개별 정책사안은 쇄신특위의 논의 사항이 아니어서 그럴까? 쇄신특위는 국정운영의 설계도를 그리고 당운영의 조감도를 그리는 일에만 몰두하는 기구여서 그럴까? 그런 것 같지는 않다. 쇄신특위에서 '부자 감세'에 대해 논의했다는 보도가 잇따랐던 걸 보면….
어쩔 수 없이 묻는다. 눈 크게 뜨고 귀 활짝 연 다음에 묻는다.
'원희룡 위원장님, 어디서 뭐 하세요?'
저기 멀리서 희끗하게 보인다. 원희룡 위원장의 뒷모습이 살짝 보인다.
쇄신특위가 설문조사를 했단다. 한나라당 소속 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들을 상대로 이명박 대통령의 이른바 '중도실용론'에 대한 의견을 물었단다. 그 결과 응답자의 88.1%가 '청와대의 중도실용주의 국정 운영기조 재정립'에 '공감'했단다. 이를 두고 쇄신특위는 "쇄신특위의 쇄신 방향 및 문제의식과 상당부분 일치했다"고 평가했단다.
▲ 원희룡 의원이 지난 2일 쇄신특위 6차회의 결과를 브리핑한 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원희룡 의원 홈페이지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