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이미 연재 중인 '문화, 우주를 만나다'에 이어 '별, 시를 만나다'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웹진 <이야진(IYAZINE)>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 50인이 별, 우주를 소재로 한 신작시 50편을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한 편씩 선보인다. 매번 첨부될 시인의 '시작 노트'와 천문학자 이명현 교수(IYA2009 한국조직위원회 문화분과 위원장·연세대 천문대)의 감상은 시 읽는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
은하수와 소년
푸른 수초 사이를 어린 피라미 떼가 헤엄치고 있었다
그걸 잡겠다고 소매를 걷고 손을 넣은 지 몇 핸가
가만 가만 있어라,
따라 돌고 따라 흘렀으나
거기까지 가겠거니 하면 조금 더 가서 알을 슬고
알에서 갓 태어난 것은 녹을 듯 눈송이같이 눈이 맑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은하는 나선은하인데 나선은하를 원반은하라고도 한다. 납작한 원반 모양으로 생긴 곳에 살고 있는 것이다. 지구가 속한 태양계는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우리은하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은하가 원반 모양이기 때문에, 지구에서 주위를 둘러볼 때 아래 위 쪽으로는 별들이 그다지 많이 보이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원반 방향을 바라보면 빙 둘러가면서 수많은 별들이 띠 모양을 이루면서 보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은하수다.
문득, 김정호의 노래 한 소절이 생각난다. 버들잎 따다가 연못 위에 뿌려 놓은 이름 모를 소녀. 그 연못이 은하수이고 버들잎이 피라미 떼가 되어 소년에게 다가간 것은 아닐까 그런 공상이 찾아왔다. 은하수는 여름밤에 봐야 제 맛이다. 어두운 어느 산 속 또는 강변에서 환하게 떠오르던 그 여름밤의 은하수를 이름 모를 소년은 결코 잊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노래가 되고 시가 되었겠지.
별을 올려 보면서 자랐다. 마당에 서서 새로 산 손전등을 들고 하늘을 비춰 보았다. 물론 꾸중을 들었다. 그러나 별을 자세히 보고 싶었다. 푸른 개울이 흐르고, 은빛 피라미 떼가 헤엄치고 있었다. 신생의 별도 있었다. 별과 별 사이 무한하고 광대한 곳에서 바람이 오고 이슬이 오고 눈송이가 왔다. 신기했다. 나는 내가 어떤 연유로 가쁜 숨을 내쉬며 이곳에서 저 별들을 바라보게 되었는지 궁금해졌다.
별이 나를 위로했고, 내가 별을 위로했다. 그것은 서로에게 중심이 되어 주고 둘레가 되어 주는 일이었다. 중심을 내주면서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 어른이 되어서도 별에게는 우리 모두 소년이 되어야 마땅하다. 은하수 속으로 손을 쑤욱 집어넣어 별을 낚아채겠다는 그 당차고 천연한 어린이의 마음 말이다.
문태준은… 1970년생. 1994년 <문예중앙>으로 등단. 시집 <수런거리는 뒤란>, <맨발>, <가재미>, <그늘의 발달> 등. 동서문학상(2004), 노작문학상(2004), 미당문학상(2005), 유심작품상(2005), 소월시문학상(2006) 등 수상.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