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이미 연재 중인 '문화, 우주를 만나다'에 이어 '별, 시를 만나다'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웹진 <이야진(IYAZINE)>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 50인이 별, 우주를 소재로 한 신작시 50편을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한 편씩 선보인다. 매번 첨부될 시인의 '시작 노트'와 천문학자 이명현 교수(IYA2009 한국조직위원회 문화분과 위원장·연세대 천문대)의 감상은 시 읽는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
블랙홀 언젠가 터질 울음처럼
나의 슬픔은 무한히 커져 가고 당신이 마침표를 찍을 때마다 초끈의 피라미들이 진저리를 치며 그걸 지웁니다 나는 주름으로 결로 지금 이 찰나에도 다시 태어나 우주 태풍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노래합니다
떠나시다니요 떠나시다니요
천만번 약속하고 떠나시다니요
당신은 우주를 폭식하고 나는 삼다수를 마시고 당신은 나의 부레와 아가미를 마침표 안에 가두고 나는 은하수 긴 머리칼을 자르고 당신도 알까요 내 사랑은 왠지 허덕여 왔어요 당신이 곁에 있어도 난 당신이 그리웠어요 사막에서 눈물을 훔치며 별을 봐요 별들은 자기들끼리 이야기하지 않고 꼭 우리에게 대답하는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모든 별자리마다 허기진 음악이 태어나고 그 소리가 태초의 먼지를 잠 깨울 때 별들은 진동하며 목을 놓아요
돌이킬 수 없는 걸 돌이키려 하진 않겠어요
블랙홀 언젠가 터질 울음처럼 당신의 검은 입 속으로 걷잡을 수 없이 빨려 들어가는 내 문장들을 놔둘 거야 이 깊은 잠을 건널 거야 난 당신의 무한 질량을 이기고 거울로 새로운 브랜드의 핑크 쿼크로 순수한 떨림만이 있는 에너지로 다시 태어날 거야
들어 봐요 당신도 나도 없어지고
백억 년 후에 연주될
내 음악 속에서 잠자는
봄날의 대폭발을
초끈 이야기는 우선 좀 미뤄두기로 하고 블랙홀 이야기에 집중해 보자. 블랙홀은 중력이 매우 강해서 빛조차도 빠져 나올 수 없는 시공간을 말한다. 탈출 속도가 빛의 속도인 지점들을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한다. 일단,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가면 결코 되돌아 나올 수 없다. 탈출 속도가 빛보다 큰 곳인데,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에서는 빛이 가장 빠르니… 공간의 자유를 상실하고 결코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사건의 지평선을 향해서 다가가고 있는 시인이 있다고 하자. 다가가면 갈수록 중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우리가 관측하는 시인의 시계는 느리게 갈 것이다. 즉, 시인의 시간 간격은 점점 길어지는 것으로 관측될 것이다. 시인이 드디어 사건의 지평선에 이르면 우리들은 시인의 시간이 멈춰버린 것으로 관측하게 될 것이다. 시인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서 블랙홀 속으로 점점 더 빨려 들어갈 테지만, 정작 우리들은 그 장면을 목격할 수 없을 것이다. 사건의 지평선 너머에서는 빛조차도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이고, 우리는 그 안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결코 알 도리가 없을 것이다.
시에 있어서 마침표란 곧 사건의 지평선이 아닐까. 그래서 일까 아니면 미련 때문일까. 시인은 결코 마침표를 찍지 않았다.
무한히 빨려 들어가면 결국은 없어진다. 그러나 그것이 끝은 아니다. 거기서 슬픔의 파장이 파닥거리고 그 파닥임의 초끈은 다시 대폭발로 이어진다. 마침표를 찍을 때마다 하나의 문장이 죽는 심연을 마주 대한다. 그러나 그 심연을 건너 다음 문장이 터진다. 사랑하는 이여, 당신을 위해 나를 바치니 당신은 나의 블랙홀. 헤어짐이 탄생하고 헤어짐에서 새로운 시간이 폭발한다. 한용운 선생의 시구대로 "이별은 미의 창조"다. 빨려 들어가고 가득한 분비물로 터져 다시 태어나고. 그것이 우주의, 사랑의 운동 방식이다.
성기완은… 1967년생. 1994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 시집 <쇼핑 갔다 오십니까?>, <유리 이야기>, <당신의 텍스트> 등.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