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안>은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이미 연재 중인 '문화, 우주를 만나다'에 이어 '별, 시를 만나다' 연재를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웹진 <이야진(IYAZINE)>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한국 시단을 대표하는 시인 50인이 별, 우주를 소재로 한 신작시 50편을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한 편씩 선보인다. 매번 첨부될 시인의 '시작 노트'와 천문학자 이명현 교수(IYA2009 한국조직위원회 문화분과 위원장·연세대 천문대)의 감상은 시 읽는 즐거움을 더해 줄 것이다. |
초제
안드로메다 대성운
너머서
직접 온 것들,
여치나
내 사랑하는 사람이나 어머니나
여치는
몇 억 광년 전부터
꽃잎으로 흩날린다
거미도 거미줄도
긴꼬리제비나비도
몇 억 광년 전부터
사실 우리는 모두 처음부터 거기에 있었다. 빅뱅 우주 속에서 수소와 헬륨이 생길 때도, 별 속에서 산소와 질소와 탄소가 만들어질 때도. 별들이 죽어가면서 초신성이 되어 폭발하고 죽어가면서 철을 만들어내고 우주 공간으로 이들을 날려 보내는 바로 그 순간에도. 초신성 잔해가 뭉쳐져서 다시 별이 되었을 때도 그 별의 한 행성 속에서 생명이 태어났을 때도, 우리는 거기에 있었다. 진화한 모습이 제각각이어서 서로 다른 가면을 쓰고 있지만, 처음부터 네가 나이고 내가 너인 것을.
밤하늘 별을 올려다보면, 그들이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 빈센트도 이제 고향으로 간다고 하지 않았는가. 고향이 우리를 부른다. 내가 나를 부른다.
지구상의 모든 철(鐵)이 별에서 온 것이고 우리 몸의 피가 철(鐵)로 되어 있다면 우리는 모두 별에서 온 존재…. 그 별빛 같은 눈동자로 종(鍾)을 만들고 그 종에 소의 피를 발라 생명을 부여하는 의식인 그 흔종(釁鍾)도, 그 모든 희생(犧牲)의 피도, 십자가의 보혈(寶血)도 다 결국은 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인 초제(醮祭)인 것이다. 아니 일생 살아 있음이 초제 아닌가. 그 죽음까지도.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하고 노래한 윤동주는 그런 식으로 초제를 드린 것. 그런 윤동주는 그런 노래를 부르며 그 별 밑에 있었다. "오늘 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노래하며 말이다.
철(鐵)이, 피가 별에서 온 것이라면 살아 있음 때문에 쓰는 철가면, 철면피도 결국은 "번뇌는 별빛"(조지훈, '승무')이다.
지난 음력 3월 2일은 어머니 3주기, 그다음 날인 일요일 강화 어머니 묘소에서 문득 연기 피어오르는 들판을 바라보다가 하늘을 올려 보았다. 감탄고토의 본능이 지배하는 이 철기시대에도 사랑이니 용서니 하는 말은 분명 별에서 온 말 아닌가. 봉분도 피라미드도 우주 쇼의 지향성을 갖는 것도 같다. 그 어머니 계시는 파라다이스 납골원 경내에 핀 진달래도 그 진달래 꽃술도.
김영승은… 1958년 생. 시집 <반성>, <車에 실려가는 車>, <취객의 꿈>, <심판처럼 두려운 사랑>, <아름다운 폐인>, <몸 하나의 사랑>, <권태>, <무소유보다도 찬란한 극빈>, <화창> 등. 인천문학상(1991), 현대시작품상(2002) 수상.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