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폭력, 희생, 그리고 구원의 이야기를 담은 걸작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폭력, 희생, 그리고 구원의 이야기를 담은 걸작

[뷰포인트]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 <이스턴 프라미스> 리뷰

<이스턴 프라미스>는 현재 러시아 및 유럽 전역에서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 러시아 마피아('오르가니자치야'라고 불린다) 중 최대 조직인 보리 V 자콘 파를 소재로 한다. 자료들에 의하면 보리파는 구소련 강제수용소에 수용된 사람들이 그 안에서 세력을 키웠고, 구소련이 해체된 후 옛 소련땅은 물론 유럽 전체에서 급부상했다. 러시아 마피아 중 보리파가 아닌 신흥조직들도 대체로 보리파의 영향을 받았다. 영화에서 묘사된 대로 복역한 죄와 수용소 및 감옥에서 겪은 경험을 몸에 문신으로 새긴다. 아마도 <대부>가 미국에서 마피아의 존재를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확인하게 해준 영화였다면, <이스턴 프라미스>는 유럽 전역에서의 오르가니자치야의 존재를 처음으로 공식화한 영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와 마찬가지로, <이스턴 프라미스> 역시 실제 범죄조직을 충실히 재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런던에 자리잡은 이민자 사회의 착취자이기도, 보호자이기도 한 범죄조직을 통해 인간사회의 폭력성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대부>가 폭력으로 점철된 미국 역사 및 사회구성에 대한 분석에 가까웠다면, <이스턴 프라미스>는 좀더 실존적이다.

이 과정에서 <이스턴 프라미스>가 취하는 방식이 재미있다. 영화는 범죄조직에 공통적인 '신고식' 살인으로 시작한다. 조직에 들어오고자 하는 사람(주로 미성년자나 젊은 청년)에게 살인을 사주하는 것이다. 이후 장면은 출산이 임박한 채 하혈을 하는 어린 소녀, 타냐로 전환된다. 소녀는 결국 아이를 낳고 죽는다. <대부>에서도 아기의 세례식과 정적 숙청 장면이 교차편집되고 있고 콜레오네 '가족'의 이야기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이스턴 프라미스>는 아예 영화의 중심축이 삶과 죽음의 명확한 대비이다. 이 과정에서 소가 낳은 아기, 크리스틴은 영화의 중심 키가 된다. 아기를 죽이려는 이들과 아기를 지키려는 이들 사이에 무시무시한 투쟁이 벌어지는 것이다. 세묜은 자신의 아들을 살리기 위해 니콜라이를 적의 손에 넘겨주었으면서도 크리스틴을 죽이려 든다. 아버지에 대한 인정투쟁을 벌이고 있던 키릴은 차마 갓난아이를 죽이지 못한다. 안나는 그녀를 자신의 딸로 받아들인다.

▲ <폭력의 역사>에 이은 데이빗 크로넨버그의 걸작, <이스턴 프라미스>

많은 평자들이 적절히 지적하고 있듯, <이스턴 프라미스>는 데이빗 크로넨버그의 전작인 <폭력의 역사>와 댓구를 이룬다. 선량한 가장이자 영웅의 얼굴을 한 킬러, 그리고 킬러의 얼굴을 한 정부 요원이자 수호자, 두 캐릭터 모두 비고 모텐슨의 복잡다단한 연기를 입고 비로소 실체화된다. <폭력의 역사>에서, 새로운 인생을 살고자 했던 톰은 결국 과거의 자신인 '킬러 조이'와 조우한다. <이스턴 프라미스>에서 정부 요원 니콜라이는 보리파에 의해 납치된 여자와 안나의 삼촌을 구하고 안나와 크리스틴을 보호하지만 결국 그 자신은 세묜을 대신해 새로운 보스가 된다. 선과 악은 이토록 한 존재의 양면이며, 선량한 이들의 안전과 보호는 이들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의 폭력에 기대고 있는 부분이 크다. 그렇기에 <이스턴 프라미스>는 <폭력의 역사>의 마지막 장면에서 던져진 질문에 대한 크로넨버그 자신의 대답이기도 하다.

그러나 데이빗 크로넨버그는 폭력의 불가피성을 이야기하면서도 폭력을 옹호하고 있지는 않다. 키릴은 결국 울면서 아버지의 명령을 거부한다. 안나는 니콜라이의 보호를 받긴 하지만, 결국 크리스틴을 구한 것은 안나의 적극적이고도 용기있는 개입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조직의 보스가 된 니콜라이가 여전히 외롭고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과 달리, 영화에서 처음으로 머리를 올리고 원피스 치마를 입은 안나의 표정은 행복에 차있으며 그녀의 집은 밝은 햇살로 가득하다. 안나와 니콜라이는 분명 서로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고 크리스틴의 준-부모의 역할을 하지만 결국 니콜라이가 안나의 가족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여질 수는 없다. 구원의 은총은 때로 폭력의 개입을 거치긴 하더라도, 결국은 생명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과 자기희생의 용기에서 비롯한다. 바로 이 점에서, <이스턴 프라미스>에게 바쳐지는 러시아마피아 판 <대부>'라는 찬사는 당연한 것이면서도 오히려 <이스턴 프라미스>의 가치를 깎는 결과가 된다. 두말할 필요가 없는 걸작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