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이 미진하거나 경기 회복이 내년 하반기로 지연되면 국내 은행들이 모두 영업 적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우리나라 금융권의 전체 운용자산 중 4분의 1인 348조 원이 잠재적 부실 자산인데, 구조조정이 미진하거나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최대 70조 원의 부실채권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다.
한화증권은 22일 '2009년 은행업종 전망' 보고서에서 9월말 기준 국내 금융권의 총운용자산 1414조원(은행 1190조 원, 비은행 224조 원) 중에서 잠재적 부실자산 규모는 전체의 24.6% 수준인 348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박정현 연구원은 "348조 원의 잠재적 위험자산은 향후 구조조정의 과정에서 금융권에 손실을 줄 위험이 높다"며 "특히 건설업, 키코(KIKO) 관련 중소기업 여신, 신생조선업에 대한 여신, 소호(SOHO)에 대한 여신이 손실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저축은행 등 금융권의 PF 대출이 부실화될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2006년말 기준으로 부동산 관련업종의 비중이 전체 여신의 50.2%를 차지한다. 은행권도 총여신대비 14.9%(6월말 기준)가 건설·부동산 관련대출이며, 주택담보대출까지 포함할 경우 비중은 40% 이상이다.
박 연구원은 "위험자산 348조 원은 정부정책 및 구조조정의 방향과 시기, 경기회복 시점에 따라 최종 손실폭이 결정될 것"이라며 "경기가 만약 내년 2/4분기를 저점으로 소폭 반등한다면 국내 상장은행의 신규 부실채권 규모는 32조 원 가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약 16조 원의 충당금이 소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국내 경기가 내년 1/4분기를 저점으로 조기 회복되고 실물부문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진다면 부실채권 규모는 18조 원으로 줄어들어 국내 상장은행의 충당금도 8조3000억 원으로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만약 경기저점이 내년 하반기 이후로 지연되거나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내년에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 금융권 부실채권이 70조 원에 이르고, 국내 은행들이 모두 영업적자로 전환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