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절반 가량은 자녀를 해외에 유학보내고 싶어하며 학부모 5명중 4명은 교육비 지출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쟁가능성 등 국가안보에 대한 불안보다는 먹을거리나 교통사고 등 생활과 밀접한 안전문제에 대해 훨씬 큰 걱정을 갖고 있다.
환경이나 공해문제와 관련해서는 소음문제가 가장 악화된 것으로 느끼고 있으며 황사를 가장 불안한 요인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5월 전국 2만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 약 4만2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통계조사(교육.안전.환경)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 학부모 절반이 자녀유학 희망
30세 이상 학부모의 48.3%가 자녀의 유학을 희망했다. 원하는 유학단계는 대학교(48.7%)가 가장 많았지만 중학교(14.8%)와 고등학교(14.7%), 초등학교(12.3%) 등 초중등학교부터 조기 유학을 희망하는 학부모도 41.8%나 됐다. 대학원 이상은 9.4%에 그쳤다.
학부모 직업별로 자녀의 유학 희망자 비율을 보면 전문관리직(61.4%)이 가장 높았고 사무직(54.3%), 서비스판매(46.4%) 순이었으며 농어업(28.9%)이 제일 낮았다.
유학을 원하는 이유로는 '국제적 안목을 지닌 인재로 키우기 위해'가 36.4%로 가장 많았지만 '한국의 교육제도가 싫어서'도 23.7%나 됐다. 이어 '자녀 능력과 재능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16.6%), '외국어 습득이 쉬워서'(13.1%), '외국학력을 더 인정하는 풍토 때문에'(6.1%), '사교육비가 많이 들어서'(3.9%) 등의 순이었다.
원하는 유학단계별로 보면 '한국 교육제도가 싫어서'로 답한 비율이 초등학교(43.4%), 중학교(38.0%), 고등학교(30.9%) 등으로 중고등학교 단계에선 많았지만 단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대학과 대학원 단계에서는 국제적 안목을 지닌 인재로 키우기 위해서라고 답한 비율이 50% 안팎이었다.
◇ 10가구중 8가구 "소득대비 교육비 부담"
자녀 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이 된다는 가구는 전체의 79.8%로 2000년(73.4%), 2004년(77.4%)에 이어 증가 추세가 계속됐다. 가구주의 연령별로는 중고생 및 대학생을 둔 40대(82.7%) 및 50대(82.6%)가 부담을 가장 많이 느꼈다.
교육비의 부담요인은 보충교육비가 73.0%로 가장 높은 가운데 2000년(58.0%), 2004년(64.8%)에 이어 사교육비 부담이 계속 커졌다. 반면 등록금 등 학교납입비를 부담으로 꼽은 경우는 2000년 36.1%에서 2004년 30.8%, 올해는 23.8%로 줄었다.
보충교육비 부담이 가장 큰 연령층은 중고생을 둔 30대와 40대 학부모였고 학교납입금의 경우 대학생을 둔 50대와 60세 이상에서 부담이 심했다.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51.0%로 2002년(41.3%)에 비해 10%포인트 가량 높아졌고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답변은 5.9%에 그쳤다. 부문별 만족도는 교우관계(70.0%), 교육내용(50.8%), 교사와의 관계(46.9%) 순이었다.
학교교육이 효과가 '있다'는 대답 중 지식.기술 습득(42.5%)에서 가장 높았고 '없다'는 답은 '생활.직업.취업에의 활용'(24.3%), '국가관.사회관 정립'(24.0%), '인격형성'(21.5%) 등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교육받았다는 사람은 39.9%로 2000년(24.5%)보다 크게 높아진 가운데 여자보다 남자가, 연령이 낮을수록 만족비율이 높았다.
전공 분야와 직업의 일치도에 대해서는 아직 불일치(38.7%)가 일치(37.7%)보다 많지만 일치도는 2000년(29.3%)보다 높아졌다.
초중고교 재학생을 둔 30세 이상 부모 가운데 자녀의 학교운영에 참여하는 경우는 21.1%로 나타난 가운데 소득이 많을수록 참여도가 높았다.
◇ "먹을거리가 가장 불안하다"
우리 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은 모든 분야에서 '불안하다'는 응답이 '안전하다'는 답변보다 많았다.
분야별로 '불안하다'는 응답률을 보면 먹을거리(유해식품, 식중독 등)가 69.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식량안보(68.6%), 정보보안(65.1%), 교통사고(61.2%), 화재(42.1%) 등이 뒤를 이었고 국가안보(전쟁가능성, 북핵문제 등)는 32.5%로 가장 낮았다. 이는 조사 당시 미 쇠고기에 대한 광우병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사회의 안전상태 변화를 묻는 질문에 10년 전보다 위험해졌다는 응답이 61.4%인 반면 안전해졌다는 응답은 15.9%에 그쳤다. 10년 후에 위험해질 것이라는 응답도 54.1%에 이른 반면 안전해질 것이란 답변은 19.2%로 조사됐다.
사회의 가장 주된 불안요인으로는 범죄발생(18.3%)과 경제적 위험(15.4%), 환경오염(13.5%), 국가안보(10.5%) 등의 순으로 꼽혔으며 남자는 경제적 위험(16.8%)을, 여자는 범죄발생(22.1%)을 가장 주된 사회 불안요인으로 생각했다.
범죄 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는 응답률은 40.0%에 달했으나 2005년의 조사(57.9%)보다는 17.9%포인트 줄었다. 두려움을 느낀다는 비율은 농어촌지역(36.7%)보다 도시지역(40.8%)이, 남자(30.5%)보다 여자(49.1%)가 높았다.
최근 1년간 범죄피해(절도, 사기, 강도, 폭행 등)를 신고한 경우는 38.8%로 10건 중 6건은 범죄피해를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범죄피해 신고율은 2001년 31.5%에서 2005년 32.9%, 2008년 38.8%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자기 자신이 법을 지킨다는 응답자는 56.9%에 이른 반면 다른 사람이 법을 지킨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26.0%로 조사돼 자기평가는 후한 반면 타인평가는 인색했다.
집 근처에 밤에 혼자 걷기 두려운 곳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있다'가 40.8%를 차지했지만 2001년 48.6%, 2005년 42.6%에 비해 낮아졌다.
◇ 체감공해 소음 1위..환경세는 '찬성'이 많아
환경오염.공해 분야에서 일반 국민들이 가장 나빠졌다고 느낀 분야는 소음공해로,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답한 비율은 46.8% 였다.
이에 비해 대기오염(39.1%), 수질오염(31.4%), 토양오염(35.6%), 녹지 등 주위환경 훼손(34.5%) 등은 '나빠졌다'는 답이 40%를 넘지 않았다.
기후변화(지구온난화 등)와 유전자 변형식품, 황사현상, 원자력 관련 시설 등의 항목을 대상으로 실시된 불안도 조사에서는 황사현상에 대해 '불안하다'(74.1%)는 답이 가장 많이 나왔고 이어 유전자 변형식품(68.8%), 기후변화(65.6%) 순이었다.
이에 비해 방사선 누출과 원자력 폐기물 등 원자력 관련시설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은 45.7%로 가장 낮았다.
농산물의 농약 오염 가능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는 국산에 대한 불안도가 40.4%로, 2005년 조사(50.1%)에 비해 10%포인트 가까이 낮아진 데 비해 수입 농산물에 대해서는 두 배 이상 많은 87.0%가 '불안하다'고 답했고 2005년(87.8%)에 비해서도 별로 낮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환경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쓰레기 분리배출'이 77.6%로 가장 높은 답이 나왔고 이어 ▲음식물 낭비 줄이기(69.8%) ▲일회용품 사용자제(57.2%) 순으로 높은 응답률이 나왔다.
주목할 만한 변화는 환경보호를 위한 세금 부담의사에서 나타났다. 2001년과 2005년 조사에서는 '찬성'이 각각 27.3%, 24.9%로, 각각 39.4%, 37.3%씩 나온 '찬성하지 않음'에 상당폭 뒤졌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찬성'이 33.5%로, '찬성하지 않음'(30.1%)을 앞질렀다.
특히 '찬성' 응답은 도시(33.1%)보다 농어촌(35.5%)에서 높게 나왔고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38.5%)에서 가장 높게 나오는 등 학력이 높을수록 찬성률이 높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