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취업자의 경우 20대 후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다 30대 초반에 최저점을 기록, 30대 후반에 노동시장 재진입이 급증하지만, 대부분 비정규직으로 취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취업자, 20대 후반 감소 - 30대초반 최저점 - 40대초반 재취업 최고점**
26일 중앙고용정보원(원장 강순희) '산별-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에 따르면, 여성의 경우 취업자수가 증가하다가 20대 후반 이후 결혼, 육아 등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30대 초반에 최저점을 기록, 30대 후반에 노동시장 재진입이 이뤄지면서 점차 증가하여 40대 초반 최고를 이루고 다시 하강하는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취업자 연령대별 분포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M 자 곡선이 그대로 나타난 것이다.
<그림1>
***재취업 대부분 비정규직**
또 노동시장 재진입이 정점이 이르는 40대 초반의 취업자를 분석한 결과, 정규직 비중이 크게 준 반면, 비정규직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이 출산과 육아 후 재취업하는 연령인 40대 초반은 비정규직 비율이 42.7%로 20대 후반의 비정규직 비율 20.3%보다 2배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경우 40대 초반의 비정규직 비율이 18.5%로 20대 후반(21.1%)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2>
직종별로 보면, 20대 후반 여성 정규직 중 비중이 높았던 경리, 회계, 교사 직종 중 교사 만이 40대 초반 정규직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을 뿐, 대다수 직종은 주방보조, 접객, 파출부, 보험 모집인 등 비정규직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혼, 출산 등으로 노동시장에서 일단 퇴출된 경우에는 비정규직으로 재진입하거나 다른 비정규직 직종으로 대체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여성의 경우 비정규직 내에서도 40대 직종이 20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학력, 기술 등이 많이 요구되지 않아 노동시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직종 취업이 많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이번 조사는 중앙고용정보원이 2001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가구 단위 표본조사로서, 추출된 5만 가구에 거주하는 취업자 7만여명으로부터 조사된 직업(3백84개)과 산업(196개)별 임금, 종사자수, 근로시간, 여성비율, 종사상 지위 등 고용과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