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날뛰는 깡패같은 영화배우 수타(강지환)와, 영화배우를 동경하던 깡패인 강패(소지섭)가 한 액션영화의 주인공으로 나란히 출연하면서 계약을 맺는다. '가짜 말고, 진짜로 하자.' 영화가 80% 이상 할애하고 있는 공간은 제목은 알려지지 않은 극 중 극을 촬영하는 현장이다. 카메라 앞이 서툰 '신인배우' 강패에게 수타는 "연기, 생각보다 어렵지?" "날 보면 어떡해? 카메라를 봐야지."라며 이죽거린다. 하지만 수타가 잘난 척할 수 있는 시간도 그리 길지는 않다. 상대배우를 둘이나 정말로 때려 병원에 보낸 전적이 있는 수타는 강패와 진짜로 치고받는 액션씬을 찍으면서 주먹 한 번 쓰질 못한다. 강패는 수타가 자신에게 빈정거리며 했던 말을 그대로 돌려준다. 철부지 스타가 제대로 임자 만나 고생하다가 사람 돼가는 영화, 혹은 현실에서는 도저히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았던 꿈의 단맛과 쓴맛을 현실에서 맛보게 되는 남자의 영화, 그 어느 쪽으로 봐도 이 영화는 재미있다. 감독은 두 캐릭터의 서로 다른 세계에 장면을 골고루 안배하며 두 캐릭터를 경쟁시킨다. 두 남자는 각자의 세계에서 나름의 실력이 있으며 최소한의 자존심만은 지키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 둘이 서로의 세계를 탐하며 자기가 가진 능력의 최상의 것을 끌어올려 맞부닥친다. 이때 생성되는 에너지의 쾌감이 꽤 크다. 두 캐릭터가 부딪힐 때마다 불꽃이 튀며 에너지가 폭발한다. 또한 둘은 비슷한 시기에 각자 자기 인생 최악의 위기를 겪고, 이를 다소 위험한 방식으로 돌파하고자 한다. 바로 이 순간에 둘 사이엔 다소 기묘한 연대가 형성된다.
|
|
영화는 영화다 |
토털러지(동어반복) 문장을 제목으로 차용한 영화답게, <영화는 영화다>는 두 캐릭터간 대결을 그린 액션영화의 틀을 통해 영화의 본질을 탐색하는 메타-영화의 성격을 드러낸다. 두 캐릭터는 각각 영화배우와 진짜 강패라는 점에서 허구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를 대변한다. 아무리 사고뭉치 싸움꾼이라 해도 배우는 싸움을 '흉내내고 모방하는' 데에 그칠 뿐이며, 깡패는 주먹질 외에 다른 것들을 카메라 앞에서 재현하는 데에 서툴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두 캐릭터가 대결하는 영화촬영 현장은 현실과 허구가 격렬하게 부딪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러나 영화가 기반하고 있는 허구의 세계는 현실을 모방하고 반영하지만 한편으로는 현실에 영향을 끼친다. 수타와 강패는 서로 허구와 현실의 세계를 대변하며 대립하지만, 촬영현장의 카메라가 돌아가는 순간 그들의 몸과 정신은 각각 그들의 진짜 모습과 그들이 그려내는 허구의 캐릭터 간 대립과 통합이 일어나는 전쟁터로 내줘야 한다. 그런데 허구와 현실이 정말 그렇게 서로 대립할 수밖에 없는 이항대립항은 아니지 않은가? 수타와 강패가 살아온 각자의 삶과 일상은 고스란히 그들이 그려내는 캐릭터의 바탕이 되며, 촬영장에서의 경험은 다시 그들의 일상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현실의 모방이자 반영인 영화가 현실에 영향을 주며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두 캐릭터가 그대로 재현하고 있는 것. 그렇기에 그들은 때로 현실과 허구를 혼동하며 실수를 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허구와 현실은 다르다. 보통은 지리멸렬하기 짝이 없는 현실의 세계는 때로 허구의 세계도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드라마틱한 갈등과 긴장을 선사하며, 때로는 허구의 세계보다 훨씬 잔혹한 비극의 현장이 되기도 한다. 서로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접점도 있으나 결국 두 세계는 분리돼 있는 별개의 세계다. 일반인이나 영화배우나 깡패나 같다. 게다가 일반 관객들에게 깡패가 속해있는 세계 역시 영화배우의 세계만큼이나 현실 저 너머에 있는 듯 여겨지는 건 마찬가지다.
|
|
영화는 영화다 |
그렇다면 가짜는 모두 진짜보다 열등한가? 수타와 강패가 대립할수록, 가짜와 진짜가 맞붙고 허구와 현실이 충돌할수록 오히려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것은 두 세계가 끝없이 대립하는 와중에도 상대를 보다 완전하게 완성해준다는 점이다. 현실의 세계에 묶여있는 우리는 얼마나 허구의 세계에 많이 의존하며 살고 있는가. 또한 우리가 꿈이라고만 치부했던 세계는 얼마나 종종 진짜 현실화되는가. 수타와 강패에게 각자 위기가 닥쳤을 때 각자의 방식으로 상대에게 도움을 주며 협력관계가 이루어지는 것 역시 현실과 허구의 세계를 그대로 은유한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진흙바닥에서 최후의 결투를 벌이는 두 사람은 주먹질이 계속될수록 점점 온몸에 진흙을 뒤집어쓴 채 누가 수타고 누가 강패인지 도저히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한 덩어리가 된다. 허구와 현실은 다르지만, 이 둘이 섞여 하나가 되는 그 짧은 순간이야말로 이 영화가 진정으로 관객에게 보여주고 싶은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허구와 현실의 변증법의 결과물이다. 스티븐 킹은 소설의 본질을 "진실을 이야기하는 거짓말"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허구와 현실의 상관관계를 한 마디로 드러내는 명문이기도 하지만, 흔히 가짜라고 손가락질을 받는 허구의 세계의 가치를 변호해주는 말 중 이만큼 멋진 말도 드물다. 그리고 이 말은 소설뿐 아니라 영화에도 해당된다. 허구와 거짓말이 없는 현실이란 삭막하고 재미없는 모래사막과 같은 공간일 수밖에 없다. 꿈은 현실을 더욱 현실답게, 현실은 꿈을 더욱 꿈답게 만든다. 가짜인 허구가 진짜인 현실만큼이나 우리에게 소중한 이유는 그것이 '진실'을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허구에 기반한 온갖 예술장르가 그토록 오랫동안 끈질기게 살아남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영화는 영화다."라는 말에는 참으로 복잡다단한 의미와 감정이 들어있다. 9월 11일 개봉.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