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위원장이 모든 책임을 지고, 11월26일 1천4백여개 단위노조 70만 조합원이 일시에 총파업에 들어갈 것을 명령합니다."
비정규직관련법안 철폐, 한일FTA저지, 공무원노동3권 보장, 국가보안법 완전폐지 등을 걸고 전태일열사 분신 34주기인 14일 오후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이 총파업을 선언했다. 최근 수년 내 가장 강력한 총파업을 될 이번 파업은 정부와의 한판 싸움을 예고하고 있다.
***민주노총, 26일 총파업 돌입 선언**
이날 오후 3시.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앞에서 종로타워까지 한치의 틈도 없이 전국에서 상경한 6만여명의 민주노총 조합원들로 가득 메워졌다. 전날 동국대에서 개최된 '전국노동자대회 전야제'에 참석한 이들은 종묘공원, 국회 앞, 서울역 등 서울 곳곳에서 열린 산하 연맹별 결의대회를 마치고 본대회에 참석했다.
이날 대회에서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향후 총파업 일시와 지난달부터 실시한 총파업 찬반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13일 최종 투표 결과 전체조합원 58만9천4백68명 가운데 34만2천1명(58%) 참여해 23만1천8백95명(67.7%)이 찬성했다. 이번 조합원 찬반투표는 지난달 25일부터 실시 12일 최종 마무리됐다.
이 위원장은 결과 발표와 함께 총파업 일시를 오는 26일로 선포했다. 당초 민주노총은 비정규관련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에 상정되는 시점을 총파업 일시로 잠정결의했으나, 13일 민주노총 투쟁본부회의에서 파업일정이 국회일정에 끌려가면 현장단위에서 파업준비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돼 26일로 파업돌입 날짜가 정해졌다.
이 위원장은 "조합원 70만명은 26일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명령한다"며 "향후 모든 투쟁은 민주노총 위원장이 책임을 질 것이고, 조합원들은 오직 민주노총의 지침에 따를 것"을 선언했다. 이 위원장의 발언에 6만여명의 조합원들은 크게 환호성을 보내며, 총파업에 대한 강한 결의를 보였다.
***공무원노조, 경찰 포위망 뚫고 총파업 기습선언**
이와함께 체포영장이 떨어진 이후 중앙본부가 위치한 영등포구 대영빌딩에 반감금 상태던 김영길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이날 기습적으로 총파업을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는 공무원노조 탄압에 비이성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 50여년간 굴종과 자책의 과오를 넘어 공직사회개혁, 부정부패일소를 위해 14만명 조합원이 참여하는 총파업을 15일부로 무기한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김 위원장의 총파업 선언 직후, 조합원들은 '공무원노동3권 보장', '노동탄압중단'등 힘찬 구호로 공무원노조의 파업 지지를 약속했다. 전국에서 상경한 공무원노조 조합원 6천여명(경찰추산)은 집회장 곳곳에서 함께했다. 일부 수배중인 조합원들은 흰색 마스크를 쓰고 동참했다.
***정당, 사회단체 지지발언 이어져**
이날 대회는 민주노총 조합원 뿐만아니라 한국노총, 민주노동당, 시민사회단체들도 대거 참여 총파업을 지지하고 나섰다.
김혜경 민주노동당 대표는 "노무현 대통령은 소득 2만불 시대를 선언했지만, 노동자들이 비정규직으로 전락한다면, 국민소득 2만불, 선진국이 무슨 소용이냐"며 "민주노총과 공무원노조에 대한 정부의 탄압은 민주노동당에 대한 탄압으로 간주한다"고 연대 발언했다.
정광훈 전국민중연대 상임대표도 "노무현 정부는 범죄정부, 불량정부"라고 혹평하며 "노동자, 농민, 빈민 모두가 새 세상 건설을 위해 강력한 연대와 투쟁을 전개하자"고 호소했다.
박대규 비정규노조대표자회의 의장도 "지금까지 정규직 노동자들이 선봉에서 싸웠지만, 앞으로는 비정규노동자들이 직접 자신의 문제에 대해 투쟁할 것"이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차이를 넘는 투쟁만이 정부의 비정규개악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도 "지난 9월 민주노총과 약속한 공동투쟁을 위해 전방위적인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며 "15일부터 국회 앞 천막농성과 경상도·전라도부터 도보행진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21일 한국노총 전국집회에서 7만명의 조합원들이 노무현 정권에 대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며 "양대노총의 단일한 전선으로 위기를 헤쳐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본대회 이후 택시, 철도, 화물 등 운수노동자들이 독자적인 결의대회를 가졌으며, 나머지 조합원들은 거리에 뿌려진 선전물을 수거하는 등 장내 정리에 들어갔다. 공무원노조원들은 중앙본부의 지침에 따라 전야제가 실시될 연세대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했다.
34년전 '근로기준법 준수'를 요구하며 전태일 열사가 한 줌의 재로 산화한 이날 노동자들의 대투쟁은 다시 시작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