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2시부터 서울 마포구 공덕동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진행된 막판 조정회의에서 노조와 사용자 측은 △임금 인상 △의료민영화 정책 △미국산 쇠고기 병원 급식 사용 여부 △병원 인력 확충 등을 놓고 협상을 벌였다.
밤 사이 세 차례나 협상 시한을 연장하며 진행된 조정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임금 인상 문제였다. 노조는 "지난 4년 간의 산별교섭에서 전반적으로 임금이 하향평준화된 경향이 있다"며 임금 7.5%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병원사용자협의회는 사립대 병원과 국립대 병원이 1.5%에서 2.5% 수준의 인상안을 내놓고 있어 협상 타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임금 문제부터 어려움을 겪으면서 그 외의 정책적 문제는 제대로 논의조차 안 되며 묻혀버린 상황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전날 고려대 안암병원, 한양대병원 등 전국 15개 병원에서 조합원 89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파업 전야제를 열었다. 하지만 노조가 일단 협상 상황을 지켜보면서 총파업 등 이후 행동 지침을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조합원들은 일단 근무지로 복귀했다.
앞서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16~18일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해 투표율 76.5%에 찬성률 73.8%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노조가 일단 파업을 뒤로 미루고 협상에 총력을 다하기로 한 것은 지난해 직권중재가 폐지된 이후 열린 합법 파업의 공간에서 자칫하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파업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강제로 중노위가 조정안을 내놓고 이를 노사 양측이 수용해야 하는 직권중재 대신 도입된 필수유지업무제도도 노조 파업의 걸림돌이다.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22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고대의료원 등에 "노조는 파업 시 총원을 기준으로 중환자실 100%, 응급실 100% 뿐 아니라 수술실 70%, 환자급식 업무 70% 등을 유지해야 한다"고 통보했다.
노조는 "총원 대비 70% 유지율은 실제 근무했던 사람보다 오히려 더 넘쳐 파업권을 훼손한다"며 "교대제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무지의 소치"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