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허리가 날씬해지고 다리는 굵어졌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부터다. 지난 10여 년 동안,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한 경우가 늘었다는 이야기다.
한국개발연구원(KDI)가 24일 발표한 보고서 "KDI 이슈분석: 중산층의 정의와 추정"에 따르면, 중산층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6년 68.5%에서 2006년 58.5%로 10%포인트 감소했다. 물론 '중산층'에 대한 정의는 전문가마다 다를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 KDI는 가처분 소득이 중위 소득(전체 소득분포의 중간값)의 50%에서 150% 사이에 있는 경우를 '중산층'이라고 정의했다.
1996년부터 2006년까지 10년 동안, 중산층에서 상류층(가처분 소득이 중위 소득의 150%를 넘는 경우)으로 이동한 가구는 3%포인트에 그쳤다. 반면, 중산층에서 빈곤층(가처분 소득이 중위 소득의 50% 미만인 경우)으로 떨어진 가구는 7%포인트다. 중산층에서 빈곤층으로 전락한 경우가 반대 경우의 두 배를 넘는 셈이다.
빈곤층 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6년 11.3%에서 2006년 17.9%로 계속 증가했다.
단지 빈곤층의 수만 늘어난 게 아니다. 빈곤층 전체는 더 가난해졌다. 하위 20%의 소득점유율은 1996년 7.9%, 2000년 6.2%, 2006년 5.7%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하위 20%의 소득점유율은 전체 소득분포에서 하위20%에 속하는 인구의 소득을 합친 액수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가리킨다.
KDI는 이날 "1990년대 중반까지 중산층의 비중과 소득이 증가해 왔다. 하지만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면서 중산층 가구 비중은 점차 축소돼 왔다"고 밝혔다.
이처럼 중산층 관련 지수가 악화한 원인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형태의 설명이 나왔었다. KDI는 이날 "자영업 부문의 구조조정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추락과 가족 해체에 따른 1인 가구 증가"도 원인 중 하나로 꼽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