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늑대 3마리의 혈청과 난자를 제공한 개의 세포 등에 대한 검사뿐만 아니라 결과 발표까지 복수의 외부 기관에 맡긴 것은 '늑대복제' 논문에 대한 고강도 조사를 벌이겠다는 의지로 판단된다.
서울대 연구처 산하 연구진실성위원회는 늑대 복제 실험이 이뤄진 이병천 교수(수의산과학)의 연구실에서 확보한 자료를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에 검사 의뢰했다고 10일 밝혔다.
서울대는 또 이들 기관이 검사 원자료(原資料)를 공개하고 결과를 직접 발표토록 하며 검사 결과가 상충될 경우 재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검사를 맡은 기관들이 내놓은 결과가 서로 다를 경우 의혹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부담을 무릅쓰더라도 이들 기관에게 직접 원자료 공개와 결과 발표를 맡겨 '봐주기'나 '면죄부' 등의 비난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작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 사태 당시 서울대 조사위원회가 나서서 조사 결과를 발표한 것에 비해 검사를 진행한 외부 기관들이 직접 결과를 설명하게 함으로써 조사의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국양 연구처장은 "서울대의 명예 회복을 위해 철저히 조사하겠다. 외부 기관에 검사를 의뢰하고 발표까지 맡긴 것은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해 고강도 조사 의지를 내비쳤다.
또한 '늑대복제' 논문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 가운데 핵심으로 꼽히는 늑대와 개의 염기 서열을 분석한 '표2'에 나타난 오류의 고의성 여부를 우선적으로 규명하겠다는 의지도 함께 읽힌다.
당초 '스너피'의 복제 효율을 축소 표기해 상대적으로 늑대 복제 성공률을 부풀렸다는 지적이 제기됐을 때만 해도 이 교수가 '수치 계산을 실수한 것'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었지만 곧이어 '표2'의 오류가 지적되면서 분위기는 '조사 착수'로 급선회했다.
논문 오류를 처음으로 지적한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사이트 '브릭'에서도 "성공률 표기는 단순 실수라고 치더라도 염기 서열을 분석한 '표2'에서 데이터가 잘못 표기된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비판이 제기됐었다.
따라서 서울대가 개와 늑대의 혈청 및 세포 분석을 검사 의뢰한 것은 외부 기관의 공신력을 빌려 사태를 '조작 의혹'으로 몰고 간 핵심을 먼저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수의대의 한 교수는 "샘플 채취는 디옥시리보핵산(DNA) 검사를 통해 염기 서열표를 검증하고 복제 여부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연구처가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예비조사를 10일간 벌이게 돼 있다고 밝힌 만큼 외부 기관에서 진행하는 검사가 마무리되는 이달 중순이 '늑대복제' 의혹의 해소 여부를 가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